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공무원의 체면민감도 척도개발 연구: 척도 타당화를 중심으로

        유민봉 ( Min Bong You ),심형인 ( Hyung In Shim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3

        이 연구는 행정학의 한국화를 위해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척도를 사용하고 현장에서 의미 있는 주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척도 개발의 타당화 기준에 따라, 공무원의 체면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체면민감도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체면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심층면접과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측정 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및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체면민감도를 측정하는 17개 문항을 확정하였으며, 이들은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6개의 요인(품위체면의식, 능력체면의식, 인격체면의식, 인격체면손상 시 감정, 권위체면손상 시 감정, 능력체면손상 시 감정)으로 분류되고, 6개 요인은 다시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체면의식``과 ``체면손상시 감정``의 하위요소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이 척도는 앞으로 공무원의 근무태도, 동기부여,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협상 등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use of the questionnaire scale and developed a Face (Chemyon) Sensitivity scale, starting from the recognition that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the study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is the use of valid measures and meaningful subjects. Recognizing such research issues, this study developed the Face Sensitivity scale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chemyon, and developing questionnaire items, factor analysis, and test of model fit as well as construct validity. Thus, 17 questionnaire items were confirmed to construct a good measurement model. They were grouped into 6 factors and further categorized into two second-order latent variables: face consciousness and emotional state due to losing face. We expect the use of this scale shall motivate the study of various subjects related to face, includ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정책분석틀로서의 정책논변모형

        유민봉 ( You,Min - Bong ) 한국행정학회 1994 韓國行政學報 Vol.28 No.4

        政策分析에 적용될 수 있는 많은 접근방법, 기법, 모형 등이 교과서나 논문을 통해 이미 소개되어 있고 외국 학위 논문의 경우 이들을 실제 적용한 예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몇몇 통계기법을 제외하고는 그러한 방법론적 지식이 실제 정책문제해결이나 분석에 적용된 사례가 드문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근래 後期實證主義 입장의 정책학자들로부터 지지를 얻고 있는 정책논변모형(policy argument model)이 실제 정책분석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두 사례를 통해 보여 주고자 한다. 첫번째 적용 예는 정책논변모형을 통해 정책주장을 전개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서울시 쓰레기 수거 서비스 방식에서의 민영화 주장을 분석하였다. 이론적·경험적 논의를 모두 포괄하여 보다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예이다. 또 하나의 적용 예는 정책주장자 1인의 정책주장이 갖는 주관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것이다. 정보공개에 관한 일반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설문에 응한 전문가들이 간접적으로 논의에 참여하게 되어 논거를 보강해 나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장에 대한 확신정도도 점차 수렴되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수렴치는 1인의 정책주장보다 훨씬 객관적이고 타당한 결과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는 정책현상은 다수의 참여자와 다양한 가치가 복잡하게 반영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에 엄격한 과학적 분석이나 경제적 합리성은 정책결정자에게 유용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정책논변모형은 다양한 이해를 분석에 포함시킴으로써 문제해결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