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남산의 근,현대 수난사: 종교적 상징의 이식과 “空間化(공간화)” 과정

        유기쁨 ( Ki Bbcum Yoo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1

        이 글에서는 근현대기에 남산에 부여되어 온 상징적 의미들 및 그러한 의미화의 장치로서 의례들이 수행되어온 지난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근현대기 남산은 사람들의 남산 경험과는 무관하게 수많은 종교적 상징들이 과잉으로 이식/해체/덧씌워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오히려 종교적, 상징적 의미가 희박해지며 어떠한 상징도 이식될 수 있는 텅 빈 배경인 마냥 ‘空間化’되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II 장에서는 근현대 남산 수난사의 배경으로, 조선시대 남산의 위상을 살펴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한말 일제 강점기에 남산이 식민정당화의 상징적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 및 한민족 상징의 전유, 해체 및 재구성의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IV장에서는 해방후 일본식 상징의 해체와 새로운 상징 덧씌우기가 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남산이라는 공간이 다양한 목적을 위해, 특정한 종교적 장치들을 통해서, 특정한 의미를 이식하기 위한 장소로 전략적으로 재구성되는 가운데 종교적 상징의 일방적 이식이 가져오게 된 결과의 의미를 짚어볼 것이다. This article shows how Namsan has been exploited by state power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focusing on transplanting religious symbols and practicing rituals as apparatus of justification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Namsan was treated like an empty ‘space’ where any symbols could be implanted irrelevant to Korean people’s emotion and experience of Namsan.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the environment of Korean society rapidly has changed, Korean people’s attitude to Namsan have not changed so much. Namsan have been flourished with so many religious symbols for dissolving, substituting, or covering Japanese symbols. Through those all processes, Namsan have been treated just like a passive, empty, meaningless space. Ch. 2 looks into symbolic location of Namsan during Chosun period briefly. In Ch. 3, I analyze the process of the rearrangement of Namsan as a symbolic center of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appropriation/dissolution of Chosun’s Symbols. In Ch. 4, I show the dissolution of Japanese Symbols and the recover of new symbols onto it sinc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