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MD 헤드램프 차량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

        원용희(Yonghee Won),이혁민(Hyukmin Lee),한성연(Sunghyun Han),성준영(Junyoung Sung),이성훈(Sunghun Lee),임정욱(Jugnwook L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8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8 No.6

        Adaptive Driving Beam (ADB) is one of most famous technology in automotive headlamp. In a few years, there are many ADB systems were developed such as Matrix, Multi-Beam and DMD headlamp. Among these technologies, DMD headlamp is classified as a high-end technology because it could control hundreds of thousands of micro-mirror. This paper discussed the effects of DMD Headlamp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 보행자 대상 노면 정보 구현 연구

        원용희(Yonghee Won),한길원(Gilwon Han),이혁민(Hyukmin Lee),Dominik Bloemer,Maximilian Baumann,Cornelius Neumann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차량용 헤드램프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인해 새로운 조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헤드램프가 구현할 수 있는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주행 정보를 다양한 형상과 기호로 도로에 투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능은 구현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정보 제공 및 경고 장치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보행자, 자전거와 같은 다른 도로 사용자와의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행자와 차량 간의 노면 정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려면 다양한 것들을 고려해야합니다. 이 연구의 초점은 투영된 형상의 목적에 있으며 보행자를 멈추게 하여 도로를 건너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여기서 대답해야 할 질문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명확한 의미를 전달하는 노면 정보 형상이 있냐는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은 연령, 교육수준 또는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수신자를 항상 동일한 행동을 유도해야 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제약적인 조건 안에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명확한 의미를 전달하며 모든 수신자에게 동일한 반응을 유도하는 특정한 형상을 찾았습니다. 성인과 어린이들에게서 일부 다른 결과가 나왔으며 참가자들의 모든 연구 참여 내용을 기록하였습니다. 형상의 평가를 위해 인식률과 다양한 매개변수가 사용되었습니다.

      • ADB(Adaptive Driving Beam) 시스템 라인업 개발

        이현수(Hyunsoo Lee),원용희(Yonghee Won),송기룡(Giryong Song),한성연(Sungyeon Han),이혁민(Hyukmi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7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7 No.11

        The economic matrix beam is needed on the market. In this study, Bi-Function matrix module is suggested to meet the needs. The study is carried out by approaching the minimizing size and the enhancing performance of the matrix headlamp including low beam and high beam. To find the solution, the study defined the target of the development and verified concepts of some optical modules which can meet the target. After that, I fixed the optical concept to realize the performance what we want. The optic and structure are designed and simulated by CATIA, SPEOS and Light tools. During the design, there are many kinds of problems. For example, Pattern gap between the low beam and high beam, structural and optical limitation of the optic, Color aberration, Material, Tolerance, Operation logic and so on. The study shows that all the solution what I approached to overcome side effects to meet the target performance. Those are not perfect solutions. And also one of them might be not a real solution on the market. But the study was trying to discuss all in terms of the solution. Finally, real mock-up module was made and tested by LMT machine. The light distribution was almost same as what I simulated. And it works well following the virtual logic which is designed by assuming certain driving condition. Unfortunately, the study could not include the result of real car testing about the matrix beam. It will be a next step of this study. At the end of thesis, I suggested the new technology for the future briefly. In the future, Autonomous cars are expected on the market mainly. The role of headlamp should be change to meet the new requirements of future market needs.

      • KCI등재

        미술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증진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유진 ( Han Eugene ),강민수 ( Kang Minsoo ),안복희 ( An Bogheui ),원용희 ( Won Yongh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우선, 관련 선행연구 및 요구조사를 수행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미술놀이치료 방법을 접목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4곳, 민간 어린이집 내 누리과정 담임교사로서, 경력이 2∼3년 이상인 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총 10회기를 시행하였다. 그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나눈 후,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매 회기 놀이에 대한 교육 및 그에 따른 미술놀이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반면에 통제집단은 해당 교육이 수행되지 않았다. 그 결과, 미술놀이치료를 활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향상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는 새로운 누리과정 교육 개편에 맞는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유아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으로써 앞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현직 유아교사 교사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irst, the preliminary studies and the dem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extract the necessary components, and then based on that, the program was composed by combining art play therapy methods. A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a total of ten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at four different private nursery schools in Seoul, for twenty teachers who have two or three years of experience as a teacher and are in the Nuri curriculum. The teacher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fter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education on play each session and the art play experience accordingly,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teacher education program using art play therapy was very useful for improving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 can reflect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s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reorganization of new Nuri curriculum, and can be applied to in-service sites for teacher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