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rucella 양성유즙의 성질과 각종요인이 Milk Ring Test에 미치는 영향

        우종태,Woo Jong Tae 대한수의사회 1982 대한수의사회지 Vol.18 No.5

        Now in Korea Brucellosis was diagnosed by individual periodic blood tests. Author hope that individual periodic blood tests was performed after Milk Ring Test, because if Cattles show negative reaction to Milk Ring Test, Periodic blood tests are needless.

      • KCI등재

        터널 유지관리계측의 응력 관리기준치 설정에 관한 연구

        우종태,Woo, Jong-Ta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7 No.1

        본 논문은 터널 유지관리계측의 응력 관리기준치 설정에 대한 연구로 계측 초기에 설정된 지하철계측 초기 관리기준치를 토대로 서울지하철 6,7,9호선 7개 대표단면의 콘크리트라이닝 응력, 콘크리트라이닝 철근응력, 콘크리트라이닝 내공변위에 대하여 약 5년에 걸친 계측 실적을 분석하고, 국외 계측관리기준을 비교하여 향후 터널 유지관리계측에 적용할 응력 계측관리기준치 설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향후에 터널에 적용할 유지관리계측의 응력 관리기준치는 국내적용 계측관리기준치와 국외적용 계측관리기준치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안전단계는 허용응력의 60%, 주의단계는 허용응력의 80%, 정밀분석단계는 허용응력의 100%로 실무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절대치에 의한 계측관리방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monitoring data, based on the initial limit values of monitoring in subway, of concrete lining stress and reinforcement stress. The data is obtained from 7 sections of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line No 6, 7, and 9 in about 5 years. Also, a research is performed to set up the limit values of management monitoring, which will be applied to management monitoring in tunnel, through comparing the limit values of overseas management monitoring data and that of domestic management monitoring data. And the result obtained from comparison shows that the safety phase is 60% of allowable stress, the attention phase is 80% of allowable stress and the precision analysis phase is 100% of allowable stress. Also, we presented a method of management monitoring by the absolute value which can be easily applied in practical affairs.

      • KCI등재

        지하철 터널 유지관리 계측센서의 총 손망실율 산정 연구

        우종태,Woo, Jong-Ta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3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5 No.1

        In this study, the total loss and damage ratio of maintenance monitoring which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domestic and foreign tunnel structure is researched and analyzed for estimating the loss and damage ratio of maintenance monitoring sensor of subway tunnel. The total loss and damage ratio at the elapsed time of 5-6 years after installation is 14.2% in the Seoul metro line no.5,6 and 7, 14.8% in the section 1 of the Seoul metro line no.9, 13.9% in the Channel tunnel of England and all of them are close to 15%.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flect that the total loss and damage ratio of maintenance monitoring sensor of subway tunnel is estimated provisionally 15% on design, and hence the study of the loss and damage ratio with the number of elapsed years in long-term by the measurement category will be needed. 본 논문은 지하철 터널 유지관리 계측센서의 총 손망실율을 산정하기 위해 국내와 국외의 지하철 터널구조물에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는 유지관리 계측센서의 손망실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철 터널 유지관리 계측센서 설치 후 5~6년 경과된 시점을 기준하여 총 손망실율은 서울지하철5,6,7호선에서 14.2%, 서울지하철9호선1단계구간에서 14.8%, 영국의 Channel tunnel에서 13.9%로 모두 15%에 근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철 터널 유지관리 계측센서의 총 손망실율은 잠정적으로 15%로 설정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장기간의 경과년수에 따른 계측항목별 손망실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규정 분석 연구

        우종태,Woo, Jong-Ta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8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은 지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규정 분석 연구로 국내 건설공사 발주기관의 건설 계측센서에 대한 내구연한 기준을 조사 분석하고, 법인세 시행규칙에서 건축물 등의 기준 내용연수 및 조달청의 건설계측 및 건설기계 관련 내용연수 기준을 분석하였다. 지하 구조물에 설치되기 전 조달청에서 물품 자체로 구매하는 경사계와 변형률계 등의 내구연한 기준은 8년에서 10년을 제시하고 있으나, 건설공사 시 원 지반 및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된 계측센서는 지하수 영향 및 다짐 등 여러 가지 불리한 요인으로 물품 자체의 내용연수보다는 상당 기간 단축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gulation of durability standard of underground structures monitoring sensors. The durability criteria for construction monitoring sensors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the standard years of contents such as buildings on the income tax implementation regulations, and the standards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construction monito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were analyzed. The durability criterion on products such as the inclination meter and the strain gauge, which are purchased from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rior to installation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8 to 10 year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nitoring sensor installed in the paperboard and the concrete structur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ill have considerably shortened service life rather than the useful life of the product itself due to various adverse factors such as groundwater influence and compaction.

      • KCI등재

        터널 유지관리계측의 압력 관리기준치 설정에 관한 연구

        우종태,Woo, Jong-Ta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8 No.1

        본 논문은 터널 유지관리계측의 압력 관리기준치 설정에 대한 연구로 계측 초기에 설정된 지하철계측 초기 관리기준치를 토대로 서울지하철 6,7,9호선 8개 대표단면의 터널 콘크리트라이닝의 토압과 간극수압에 대하여 약 5년에 걸친 계측 실적을 분석하고, 국외 계측관리기준을 비교하여 향후 터널 유지관리계측에 적용할 압력 계측관리기준치 설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향후에 터널에 적용할 유지관리계측의 압력 관리기준치는 국내적용 계측관리기준치와 국외적용 계측관리기준치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안전단계는 허용압력의 60%, 주의단계는 허용압력의 80%, 정밀분석단계는 허용압력의 100%로 실무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절대치에 의한 계측관리방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monitoring data, based on the initial limit values of monitoring in subway, of earth pressure and pore water pressure. The data is obtained from 8 sections of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line No 6, 7 and 9 in about 5 years. Also, a research is performed to set up the limit values of management monitoring, which will be applied to management monitoring in tunnel, through comparing the limit values of overseas management monitoring data and that of domestic management monitoring data. And the result obtained from comparison show that the safety phase is 60% of allowable pressure, the attention phase is 80% of allowable pressure and the precision analysis phase is 100% of allowable pressure. Also, we presented a method of management monitoring by the absolute value which can be easily applied easily in practical affairs.

      • KCI등재

        지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분석적 연구

        우종태,Woo, Jong-Tae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1

        연구목적 및 방법: 본 논문은 지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분석적 연구로 국내 건설공사 발주기관의 건설 계측센서에 대한 내구연한 기준과 조달청의 건설계측 및 건설기계 관련 내용연수 기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반구조물에 설치되기 전 조달청에서 물품 자체로 구매하는 경사계와 변형률계 등의 내구연한 기준은 8년에서 10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국내외 댐에 설치된 각종 계측센서의 신뢰성 비교를 통한 실제적인 내구연한 분석과 터널에 설치된 유지관리 계측센서의 경과연수에 대한 손망실율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 구조물이나 지반에 설치된 국내 간극수압계 및 토압계 등의 매립식 계측센서의 적정 내구연한은 5년에서 8년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durability standard of ground structures monitoring sensors. A survey on the durability criteria for construction monitoring sensors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income tax implementation regulations, the standard years of contents such as buildings and the standards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construction monito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were analyzed. Result: The durability criterion such as the inclination meter and the strain gauge, which are purchased from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rior to installation on the ground structure, is 8 to 10 years. Conclusion: The actual durability analysis by comparing the reliability of various monitoring sensors installed in dams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study on the loss and damage rate of the maintenance monitoring sensor installed in the tunnel, the proper durability period of the built-in type monitoring sensor such as domestic pore pressure meter and earth pressure meter installed in the structure or the ground is 5 to 8 years it seems reasonable.

      • KCI등재

        역해석 프로그램에 의한 단선터널 라이닝의 최적 계측 측점수 산정 연구

        우종태,Woo, Jong-Ta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4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6 No.1

        본 논문은 단선터널 라이닝의 최적 계측 측점수를 산정하기 위해 단순보 형태로 모델링하여 터널 라이닝 역해석 프로그램에 적용한 결과와 상용 프로그램에 적용한 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단선터널을 대상으로 터널 라이닝에 대칭 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와 비대칭 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터널해석 시 널리 사용되는 상용 프로그램에 하중조건을 입력시켜 터널 라이닝의 단면 위치별 변위와 응력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변위를 계측 측점수 3점, 5점, 7점으로 터널 라이닝 역해석 프로그램에 입력시켜서 구한 응력과 변위를 비교하여 최적 계측 측점수를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실무적으로 계측 수행의 경제성과 터널 계측의 손망실률을 고려한 계측 측점수가 최소 5점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monitoring points in single-track tunnel lining, this thesis compares and evaluates the results of two cases: when the tunnel lining is modeled into a simple beam form and then is applied to 1) the tunnel lining inverse analysis program, and to 2) the commercially-used program. The displacement and stress of specific tunnel lining cross-sections are determined by entering the load conditions into the commercially-used program for tunnel interpretations. In doing so, two cases were assumed: where a symmetrically-distributed load was acting upon the tunnel lining of a single-track tunnel and where an asymmetrically-distributed load was in action. By comparing the computed displacement with the stress and displacement determined by entering side numbers 3, 5, and 7 into the tunnel lining inverse analysis program, the optimal number of monitoring points is determined.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 number of monitoring points needs to be at least 5 points,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monitoring in practice and the loss-and-damage rate of tunnel monitoring.

      • KCI등재

        서울지하철 터널내의 지하수 유입량에 대한 비교 연구

        우종태,Woo, Jong-Ta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9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1 No.4

        As ground water influx quantity which flows into the tunnel inside from the 7.937 km section of Han River and small and 7 medium-sized rivers which pass through subway line 5 is average $34,444\;m^3/day$ and it's 55.3% of the underground water influx quantity $62,272\;m^3/day$ which flows into whole tunnel section 31.29 km. If we suppressed the underground water influx from the rivers, it would be expect that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expenses would be able to reduce a lot.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water influx quantity which flows into the river section and that of the design standard, the ground water influx quantity is $3.01\;m^3/min$ and it is flowing to similar level of tunnel design standard $3.00\;m^3/min$. However, when it is compared with tunnel average influx quantity $1.38\;m^3/min$, it has been found that 2.18 times of ground water flows into rivers. 서울지하철 5호선을 통과하고 있는 한강 및 중소 7개 하천 7.937 km구간의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 유입량은 평균 $34,444\;m^3/day$로 터널 전구간 31.29 km로 유입되는 지하수량 $62,272\;m^3/day$의 55.3%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하천구간에서 지하수 유입을 억제한다면 유지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천구간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양을 설계기준과 비교한 결과 유입량이 $3.01\;m^3/min/km$로서 터널 설계기준 $3.0\;m^3/min/km$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입되고 있었으나, 터널평균 유입량 $1.38\;m^3/min/km$와 비교했을 때 하천구간에서는 2.18배의 지하수가 더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