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리 낯설지 않은 동료들: 1960년대 인도네시아-북한 관계

        요하네스술라이만 ( Yohanes Sulaima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6 東亞 硏究 Vol.35 No.2

        인도네시아는, 한국과의 관계가 급속히 발전했지만, 꽤 많은 국민들이 북한을 긍정적으로 보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국가다. 이 현상은 1960년대 인도네시아의 혼란기에 일어났던 인도네시아-북한 관계의 형성, 강화, 정점을 보면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 시기에 동아시아 및 동남아에서 중국의 공격적 정책을 초래하였던 냉전 정치, 특히 중소 분열이 인도네시아와 북한의 대외정책 목표상 집중된 관심사였고, 이 3개 국가 관계를 심화 시키도록 이끌었다. 반대로, 이 3개국, 즉 인도네시아, 북한, 중국은 자국 국내 정치의 역동성으로 인해 동일한 대외정책 목적을 공유할 수 없게 되었고, 3자 관계는 냉각되었으며, 마침내 인도네시아-북한 관계는 그로부터 침체기에 처하게 되었다. Indonesia remains one of the few countries in the world where a significant percentage of its population still thinks positively about North Korea despite the burgeoning relationship between Indonesia and South Korea. This phenomenon can partly be explained by looking at the formation, strengthening, and the peak of Indonesia-North Korea relations, which took place during Indonesia`s own tumultuous period of the 1960s. In this period, Cold War politics, notably the Sino-Soviet split that led to China`s aggressive polici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converged with both Indonesia and North Korea`s foreign policy goals, leading to a deepening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countries. Conversely, once these three countries? Indonesia, North Korea and China?no longer shared the same foreign policy objectives due to the dynamics of their own domestic politics, the tripartite relationship cooled, an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nesia and North Korea has been on the doldrums since t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