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代 日本 論語 木簡의 特質-한반도 출토 論語 木簡과의 비교를 통해서-

        三上 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5

        본고는 古代 日本의 『論語』 수용과 그 特質을 論語 木簡의 검토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論語 木簡이란 論語의 일부를 기록하고 있는 木簡과 「論語」라고 하는 글자가 쓰여 있는 木簡 등을 말한다. 日本에서는 지금까지 30점이 넘는 論語 木簡이 출토되었다. 論語 木簡이 출토된 지역별 수량을 살펴보면 飛鳥지역에서 6점, 藤原宮·京에서 4점, 平城宮·京에서 14점, 都城 이외에서 11점이 출토되었다. 작성 시기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전반에 집중되어 있어, 문자의 習得과 論語 木簡의 존재가 밀접하게 관련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日本에서 출토된 論語 木簡에는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論語 木簡이 출토된 유적의 성격이다. 이미 지방 출토 論語 木簡에 대해서는 초기 国府가 두어졌던 것으로 알려진 유적과 중앙 관인이 왕래한 駅家로 알려진 유적 등 중앙에서 관인이 파견된 유적에서 論語 木簡이 출토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7세기 후반 『論語』의 지방 전파는 国司의 전신인 国宰가 커다란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또 『論語』뿐만 아니라 중국의 古典 등의 문자 텍스트(서적 및 교과서)가 변경의 城柵 유적에서 발견되는것도 주목된다. 국가의 경계와 접해 있는 城柵 유적에서는 지배의 先進性과 문명 세계의 상징으로서 중국 텍스트(경전 및 교과서)의 수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이 아닐까. 한국 계양산성에서 출토된 論語 木簡도 이러한 관점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論語 木簡의 習書 패턴을 보면 學而篇의 첫 구절을 기록한 것이 다수 출토되는 등 그 경향이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텍스트를 실용적으로 습득하기보다 오히려 텍스트의 첫 구절을 암송하거나 문자화할 수 있는 데 큰 의미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論語』는 문자 문화를 습득하는 관인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던 텍스트였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寺院 유적에서도 論語 木簡이 출토된다는 점이다. 유교의 문자 텍스트(서적 및 교과서)가 불교의 경전과 함께 寺院에서 학습 대상이 되었던 것은 불교와 유교가 지배자 집단 사이에 널리 퍼져 국가의 지배이념을 가진 사상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고 하는 역사적 배경과 큰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古代 日本의 論語 木簡의 이러한 특징은 중국에서 『論語』가 전해진 한반도에서도 공통되는지 아닌지는 아직 한국의 사례가 많지 않아 확실하지 않지만 이후 발굴 사례가 증가하면 추후 검토가 가능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consider the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n ancient Japan and i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examination of so-called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The term “The Analects Of confusius” here refers to a Wooden Documents in which a passag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s written, or a Wooden Documents in which the title “The Analects Of confusius” is written. The number of excavated points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in Japan has exceeded 30 so far. Looking at the breakdown, 6 points were excavated in the Asuka area, 4 points were excavated in Fujiwara Palace ·Kyo, 14 points were excavated in Heijo Palace ·Kyo, and 11 points were excavated outside Miyakonojo. The period is concentr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acquisition of letters and the existenc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are closely related. If you look at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excavated from various parts of Japan, you can point out some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nature of the ruins where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was excavated. In particular,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excavated in rural areas tend to be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where officials are dispatched from the center, such as archaeological sites where the early Kokufu was supposed to be located and archaeological sites where central officials come and go.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re is. It is thought that the predecessor of the Kokushi, the Kokushi, played a major role in the local spread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It is also noteworthy that not only “The Analects Of confusius” but also Chinese classics and other texts have been found at the remote castle fence ruins. At the castle fence ruins, which borders outside the borders of the nation, the Chinese texts may have been actively accepted as a symbol of the advanced rule and the civilized world. The meaning of the excav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from Gyeyang Mountain Castle in South Korea can be understood from such a viewpoint. Secondly, paying attention to the pattern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study book, it can be seen that the tendency is biased, such as the excavation of many articles with the beginning of the essay. These characteristics show that it was more important to be able to recite or transliterate the beginning of the text, rather than to learn the text practically. In other words, “The Analects Of confusius” was a text that had a symbolic meaning for officials who mastered the character culture. Thirdly, it is noteworthy that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was excavated from the temple ruins. Along with the Buddhist scriptures, Confucian texts were the subject of study in the temple, as Buddhism and Confucianism first spread among the rulers, and they were taken as an idea that supported the rule of the nation. It is thought 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it was being used is greatly related. Whether or no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Japanese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are common to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Analects Of confusius” was also transmitted from China, is still rare in South Korea, but it will be examined as the number of excavation cases increases in the future. Will be possible.

      • KCI등재

        月城垓字 출토 木簡과 日本 古代木簡의 비교

        渡?晃宏(Watanabe akihiro),오택현()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월성 해자 출토 목간을 이해하기 위해 일본 목간을 비교·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월성 해자 목간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에서 출토된 목간과의 비교·검토해보고자 한다. 일본 출토 목간을 보면 다면기재보다는 여러 행에 기재되는 형식이 계승되었다. 이는 율령 문서 행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시기는 8세기로 추정된다. 반면 한반도 출토 목간을 보면 다면기재와 여러 행에 기재되는 형식이 병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에는 백제에서만 여러 행에 기재되는 형식이 보였는데, 이번 월성 해자 출토 목간에서도 신라에서 여러 행으로 기재되는 형식이 사용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다면기재 목간의 전파에 대해서도 새로운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다만 본고는 일본 목간 연구의 입장에서 비교·검토가 진행되어 충분한 해답을 내릴 수 없기 때문에 이 문제는 추후 과제로 남겨놓고자 한다. It seems necessary to examine and compare with Japanese wooden strips to understand those excavated at the moat of the in Gyeongju. This paper aims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wooden strips the moat of the Weolseong Fortress with those discovered in Japan. Traditionally, Japanese wooden strips are inscribed in many lines instead of on a number of pages. This is regarded being related to the legal documents and administrative tasks, assumingly, around the 8th century. On the other hand, wooden strip sonthe Korean peninsula showed both style of multi-numbered pages and multi-line inscription simultaneously. Previously, it was thought multi-line inscription was used in Baekje but the Weolseong wooden strips confirmed Shilla also used the same style of inscription. It is also required to reexamine the spread of multi-paged wooden strip but it is beyond the scope of this study and should be explor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일본 출토 고대 목간

        三上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매년 최근 일본에서 출토된 목간 중에서 주목되는 것을 선택해 소개했지만, 이번에는 목간이 아닌 필자가 조사에 관여한 漆紙文書의 출토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漆紙文書란 古代에 漆의 상태를 양호하게 보존하기 위해 漆을 종이로 덮었는데 이로 인해 그 종이에는 漆이 스며들어 부식되지 않은 상태로 땅 속에 남겨졌던 것이다. 그때에 사용된 종이는 대다수가 문서의 이면서(反故文書)여서 고대문서가 땅 속에서 발견될 수 있었던 것이다. 漆은 상당히 예민한 물질인 반면, 일단 건조되면 어떤 조건에서도 부식되지 않는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漆이 부착되어 있는 물질은 땅 속에서도 부식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는 것이다. 付着物이 종이 문서일 경우, 漆이 부착된 종이 문서는 부식되지 않고 땅속에 남게 된다. 이렇게 고대의 문서가 발굴조사에 의해 출토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조사 사례의 하나인 2017년 秋田県 大仙市의 払田柵跡에서 출토된 漆紙文書를 살펴보고자 한다. 秋田県 大仙市에 소재하고 있는 払田柵跡은 9세기 초에 만들어진 고대 城柵으로, 고대의 행정구역으로 말하면 出羽国에 소재하고 있는 城柵이다. 出羽国에는 秋田城과 雄勝城, 2개의 고대 城柵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문헌 사료에 남겨져 있어, 払田柵跡이 어느 단계에서는 雄勝城이 되었다고 하는 설이 유력하다. 본 漆紙文書는 원래 漆이 부착된 면을 안쪽으로 하고, 4번 접어서 폐기했다. 해독을 위해 4번 접어졌던 漆紙文書를 펴고, 적외선 관찰에 의해 해독을 실시했다. 그 결과 종이의 양면에 문자가 확인되었다. 한쪽 면(A면)은 秋田城에서 지출한 兵粮의 수량과 狄俘에서 지급한 식량의 수량을 지출할 때마다 기록한 후, 出羽国의 大目(第4等官)이 매번 확인·서명한 장부이다. 出羽国에서 大目의 관직이 두어졌던 天長 7年(830) 이후에 작성되었다고 생각된다. B면은 漆 부착면이기 때문에 문자가 2행 정도만 확인되지만, 官職·位階·人名이 쓰여졌었다고 생각된다. A面과 B面은 쓰여진 문자의 분위기가 다르고, 표면과 裏面이 내용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래서 어떤 면이 폐기된 뒤 반대 면이 재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이 漆紙文書의 발견에 의해 払田柵에서 秋田城으로 兵粮의 지출이 행해지고 있었던 것과 狄俘(복속시킨 蝦狄)에게 식량을 지급했던 것, 그리고 그것들은 国司의 大目이 관계되어 있었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払田柵에는 出羽国司가 깊이 관련되어 秋田城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고대 城柵의 기능을 생각해도 흥미로운 자료라고 생각된다. Every year, the author has introduced some of the bamboo strips which were excavated in Japan recently and deemed noteworthy but this year, it is lacquered documents discovered in the investigation the author participated that will be introduced. Lacquered documents (漆紙文書) were preserved undecayed because the paper was coated with lacquer in ancient times. At first, the lacquer was covered by the paper for protection but the paper has been smeared by the lacquer made undecayed. The paper used then was mostly recycled paper from old documents(反故文書) which is now being unearthed in the excavation process. Lacquer is extremely sensitive but at the same time became stronger when dried and incorrodible under any conditions. That is how lacquered materials remain uncorroded even when buried underground. If the material was pieces of paper, documents made of the paper remained intact in the ground. This explains the way ancient document are discovered in the excavation surve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lacquered document found in the ancient wall of Hotta in Daisen, Akita Prefecture in Japan in 2017. The wall in Hotta was built in the early 9th century and located in the ancient Dewa province. According to historic literature, there had been two ancient castles with a palisade, Akita Castle(秋田城) and Ogachi Castle (雄勝城), in Dewa province; it seems plausible to believe that the wall of Hotta turned into Ogachi Castle at some time in history. This lacquered document had been folded four times with lacquered side facing each other before throwing away. To read the document, it was unfolded and read by infrared observations. As a result, characters were identified on both sides of the paper. A side(Side A) proved to be a document reviewed and signed by Oome(大目, the 4th rank official)of Dewa Province after recording the expense of provisions for the army in Akita Castle and the amount of provisions distributed by barbarians subjugated(狄俘) every time the transaction was made. It is believed that the document was created after Dewa had the office of Oome in the 7th year of Tenchou(830). Side B is lacquered and only two lines of characters are identified; they seem to include public offices, positions, and names. Side A and B have different set of characters and the contents are not connected with each other. It is believed that the back of the paper was recycled after a side had been used and scraped. The discovery of the lacquered document revealed the following: provision was paid from the wall of Hotta to Akita Castle; barbarians subjugated(狄俘) was provisioned; and they were related with Oome(大目) of Kokushi(国司). It showed Kokushi of Dewa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Wall of Hotta and Akita Castle. The findings are particularly interesting given the function of the ancient fortress and palisade.

      • KCI등재

        일본 고대 도성 조영의 진제(鎮祭)와 수변(水邊) 제사

        靑木敬(Aoki takashi),오택현()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본고는 도성 조영에 관련된 地鎭具의 사례를 개관하고, 용기의 유무를 통해 地鎭의 대상 범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수변제사는 여러 신앙이 복합된 제사의 체계를 이루고 있을 사료나 출토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제사의 주체자의 경우는 불명확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어, 주체자를 포함한 구체적 검증은 이후 연구를 기대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xamples of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地鎭具)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and discusses whether the utensils have a container or not may imply different scope of the service. It was also confirmed from the historical record and excavated materials that ancestral rites performed at watersides had a ceremonial structure with various religions combined. However, there are unclear points about the presider of the ceremony, which is expected to be delved in and verified by future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