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 분석

        박인희 ( Park In-hee ),문다슬 ( Moon Daseul ),이재경 ( Lee Jae Kyung ),오인성 ( Oh Inseong ),정혜주 ( Chung Haejoo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0 사회보장연구 Vol.36 No.4

        초기아동발달기의 산모와 아동의 경험은 출생 이후 발달과 건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정한 개입이 필요하며, 이런 의미에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모든 아동의 건강한 출발과 성장을 보호·증진하기 위해 개입하는 필수적인 제도이다. 이를 개별적으로 다룬 연구는 있었으나 이용자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 전반을 분석하여 그 현황과 한계를 파악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에서 시행되는 국내 24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생애주기와 대상의 필요 정도(intensity)에 따라 분류하고, 각 사업의 지원대상, 급여방식, 지원시기, 담당기관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첫째, 이용자의 신청에 기반하고, 둘째, 비용 지원이 대부분으로 서비스 지원이 부족하며, 셋째, 전문적인 필요에 대응하는 지원이 부족하며, 넷째, 지원기간이 출산 전후에 집중되어 있으며, 다섯째, 사업들이 분절적으로 시행되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생애주기에 따른 시간 차원의 연계성,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장소 차원의 연계성, 필요 정도에 따른 사업 간 서비스 차원의 연계성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러한 통합과 연계가 원활히 작동하기 위하여 ‘건강 우선 정책(HiAP)’ 관점의 다부문 협력 체계가 기반이 되어야 할 것이다. Proper interventions in the phase of early child development is necessary since the experience of mothers and children in the period can affect the development and health of children over time.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provided during early child development are essential to protect and promote a healthy start and growth of all children.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analyzed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in South Korea despite a few studies that examined individual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ll of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in South Korea synthetically to identify their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classified the 24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life course and the intensity of needs. We analyzed the programs based on the intended subjects, benefit types, timing of support, and agencies in charge of each program, etc. Identified limitations of current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are as follow: First, it i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users (opt-in). Second, the ‘in-cash’ benefit type constitutes most of the programs and the ‘in-services’ type is relatively scarce. Third, the ‘indicated support’ program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additional needs are insufficient. Fourth, the life-course coverage range is restricted to only before and after the childbirth. Finally, there is a lack of connectivities and integrations. For the better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for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ime- (life-course), place- (care in community), and services- (by intensity of needs) level integration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to ensure that these links work smoothly, the services should be based on the intersectoral cooperatio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Health in all policy (Hi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