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사이니지

        최예나(Yena Choi),배효진(Hyojin Bae),권영은(Youngeun Kwon),양윤화(Yoonwha Yang),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디지털 사이니지는 TV 프로그램, 메뉴, 정보, 광고 및 기타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자 디스플레이의 한 형태이다. 국내에서 가장 대중화된 것은 현재 수도권 지하철역의 플랫폼에 약 900대 이상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뷰일 것이다. 디지털 뷰는 일방향 정보전달의 목적뿐만이 아니라 스마트폰과 유사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통해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디지털 시대를 연다.’라는 설치목적이 무색할 정도로 실제로는 디지털 뷰를 관심 있게 살펴보거나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대단위 투자를 통해 야심차게 시작한 상업 프로젝트가 최초의 기대를 벗어나는 이 사례는 사용성과 더불어 사용맥락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함의를 제시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디지털 뷰의 사용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사용환경적 측면에서 디지털 뷰가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는 사용성뿐만이 아니라 그것을 사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Digital signage is a form of electronic display that shows television program, menus, information, advertising and other messages. The most popular domestic digital signage might be Digital View which counts up to more than 900 installed at the platforms of Seoul metropolitan subways. A unique strength of Digital view is that the installation not only conveys information in a one-way manner but it also engages user attention by allowing interaction through touch screen similar to that of smart phones. Nevertheless, there are hardly any people who observe or use the display which puts the catch phrase‘Open digital era.’into shame. This case of large scale project which turned out to be a commercial failure could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about not only usability but also user context. In this research, we evaluate potential problems of Digital View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s environmental context while examining its usability, then propose potential solutions to the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digital devices used in public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not only its usability but also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the devices are uti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