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전환교육의 효과 : 국내 집단설계연구의 메타분석

        김동일 ( Kim Dongil ),이미지 ( Lee Miji ),안제춘 ( An Jechun ),최서현 ( Choi Seohyun ),임진형 ( Lim Jinhy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2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관련 변인(학교유형, 학교급, 지능지수), 종속변인, 기타 범주변인(출판유형, 집단설계), 연속형 변인(생활연령, 프로그램 기간)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는 1.198로 Cohen의 기준에 따르면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변인에 따른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는 1) 연구대상 관련변인 중 학교유형별로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이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학교급별로는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전공과 이상의 순서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지능지수별로는 70이상의 집단, 50미만의 집단, 50이상 70이하의 집단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2) 종속변인별로는 사회성기술, 직업기술, 자기결정력, 학습기술, 주거관리기술, 지역사회이용기술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3) 출판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학술지 게재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높았으며, 집단설계유형별로는 실험-통제집단 사후,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단일집단 사전-사후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4) 연속형 변수인 생활연령과 프로그램 기간에 대하여는 모두 부적 효과를 보였지만, 프로그램 기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이 아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life-centered transition program conducted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7 articles, including dissertations and peer-reviewed articles conduc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reviewed using meta-analysis. Effect sizes of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related variables(type of school, level of school, intelligence quotient), outcome-related variables, continuous variables(chronological age, duration of program), and other categorical variables(type of article, type of group-designed).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the average effect size of overall life-centered transition program was 1.198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is considered as a large effect in terms of Cohen’s criteria. The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were as follows: 1) among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programs in special classes were more effective than in special schools by type of school, level of school produced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elementary, middle, high, and above majoring course, and intelligence quotient produced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above 70, less than 50, more than 50 and less than 70. 2) outcome-related variables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social skills, occupational skills, self-determination, learning skills, housing management skills, and community use skills. 3) effect sizes in peer-reviewed articles were revealed as larger than dissertations by type of article, and type of group-designed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experiment-control group post test, experiment-control group pre-post test, single group pre-post test. 4) continuous variables including chronological age and the duration of program both produced positive effect, whereas the duration of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 집단설계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il ),임진형 ( Lim¸ Jinhyung ),안제춘 ( An¸ Jech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48편(지적장애인 총 903명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변인(소속유형, 발달기), 중재 프로그램변인(프로그램 유형, 중재 기간, 중재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집단 크기), 그리고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는 0.89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조절변인에 따른 사회성 중재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변인에 따라 통합학급에 소속되어있는 경우와 성인기 지적장애인인 경우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중재 프로그램 변인에 따른 효과는 치료 프로그램인 경우, 17-24주간 중재를 실시한 경우, 30회기 이상인 경우, 회당 1시간 이상 실시한 경우, 중그룹(8-14명)으로 집단을 구성한 경우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사회성의 하위변인 중 순응기술, 대인관계, 학업기술, 자기관리, 자기주장 순으로 큰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designed sociality interventions conducted o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48 peer-reviewed articles including 903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meta-analysis. The effects of thos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related variables(affiliation, developmental period),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type of programs, duration, number of sessions, time per sessions, group size), and outcome-related variables. As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 of sociality intervention was 0.89, which is a large effect in terms of Cohen’s criteria, as well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students from inclusive classe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duced the largest effect sizes. Second, for the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 therapeutic programs, programs conducted for 17-24 weeks, programs with over 30 sessions, programs conducted over an hour per sessions, and middle-sized group(8-14 students) intervention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each variable. Third, outcome-related variables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compliance, peer-relations, academic skills, self-management, and assertion. From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