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성에 대한 이해와 디자인리서치의 필요성

        안수지(Ahn, Soojee),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Vol.2013 No.4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rurality and necessity of design research for regional development. Rurality is the concept that is expressed by constant form to way of life of the rural. And design research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discovered and solving a problem. Kind of design research,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ethnography, participant observation. Design research is needed that i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to be complexity and diversification and for rurality centered regional development. IDEO’s HCD Toolkit and Farmers Party branding case are utilizing design research through an ongoing partnership and flexible applicability. Finally, it will be needed sustainable case studies about rural development of and problem-solving in rural for available research design.

      • KCI등재

        디자인경영 관점의 강소농 육성 전략에 관한 연구

        안수지(Ahn, Soojee),나건(Ken, Nah)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강소농 육성을 위하여 디자인경영의 필요성을 논하고 전략적 수단으로 디자인리서치 툴킷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농촌성과 강소농, 디자인경영, 디자인리서치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4종의 디자인리서치툴킷을 조사했으며 그 내용 정리하면, IDEO사의 HCD 툴킷, bootcamp bootleg, Drivers of Change, Design thinking for Educator를 살펴본 결과, 사용가능 범위와 내용은 비슷하였으며 주로 지역, 교육, 프로젝트 솔루션을 도출하고 프로젝트 리더와 참여자의 아이데이션을 돕는 방법론과 도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자인리서치툴킷의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활동하는 컨설팅전문가를 인터뷰하고 SNS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컨설팅이 요구되고 있는 현장의 사정을 들을 수 있었으며 참여자 다수의 지식과 의견이 중심이 되는 ‘두레지성"을 활용하고 있었다. SNS설문을 통해 확인한 결과 회의 진행시 가장 큰 걸림돌은 ‘이해관계"로 나타났으며 조사결과를 유추하여 보면 디자인리서치툴킷은 사업의 리더와 참여자는 물론 컨설팅전문가 모두에게 필요하였으며 「컨설턴트용」과 「참여자용」으로 용도를 구분하여 개발하여야 할 할 것으로 판단된다. 획일화된 농촌개발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농촌지역에 대한 디자인경영관점의 강소농 육성을 위하여 전략적으로 계획단계에서 부터 디자인리서치방법론을 적용하여 농촌성을 살린 창조적인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타 지역과의 차별화를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중앙부처 또는 농촌관련기관에서 주도적으로 농촌형 디자인리서치 툴을 개발 보급하고 전문가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suggest for that a necessary of design management and design research toolkit as a strategy tool for "Strong small farmers" fostering.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 of rurality, Strong small farmers, design management, design research. Second, case study about HCD toolkit, bootcamp bootleg, Drivers of Change, and Design thinking for Educator. The result of case studies, the contents and range of available is similar and mainly local, education, projects, solutions, and was composed of methodologies and tools to help the project leader and partner validation. In addition, to verify the need for design research toolkit, expert interviews and SNS surveys. So, that result is when meetings obstacle is "stake", and design research toolkit is needed for consultants and partners. Therefore, it would be a plan for the Rural Development of design tools and a leading research center in the ministries or rural agencies, and be spread through the expert.

      • KCI등재

        상상력과 디자인의 개념연구와 사례조사

        안수지(Ahn Soojee),이경아(Lee Kyungah)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4

        디자인은 디자이너와 사용자의 상상력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상상력이란 그 실체가 분명치 않고 개념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으나 최근에 와선 상상력이야 말로 기술과 문화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며 논리적 사고행위로 인식되어 각계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인간의 상상력이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실로 다양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디자인은 상상력을 무시하고는 그 의미와 존재 목적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상력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상상을 통한 이미지 중심의 인간사고에 대해 고찰한 후 디자인의 개념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여성과 실버세대의 대두를 통해 디자인이 나아갈 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는 기존의 고정관념과 사고방식이 아닌 새로운 대상과 그에 합당한 디자인 방법론을 전개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문화와 사회적 경험을 토대로 한 상상력을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상상력이 원형이 된 여러 디자인 사례를 알아보고 인간의 상상력을 통해 마지막으로 최근 사회적 패러다임화이 되고 있는 여성 인간의 삶이 어떻게 바뀌고 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상상력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해와 이를 통해 디자인사고의 전환을 어떻게 형성해 나갈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Design is the consequence of the imagination by the designer and user. Imaginative power has been understood by conceptual principal and its entity was quite ambiguous. Up until now its importance has not been embossed but presently imaginative power is regarded as driving force of developing a culture and technology as well as it is recognized as a logical thinking behavior. The research on imagination has working actively in various fields. Imaginative power of human being has been influenced on various type of filed. However it cannot find the reason for being without the imagination especially in design. To this end there are two major purposes on this paper that first purpose is sorting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imagination and its power of the image creates ability. Moreover another point is about knowing the relationship in between imagination and design and adapts imagination to real design. In addition it talks about the characteristic of woman and silver generation who are becomes a social icon and paradigm in these days and its new kinds of fields additionally. Final purpose is seeking for how that imagination builds up the new paradigm of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