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과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의 설계

        이상봉(Sangbong Yi),안수만(Soo-Man Ah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과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을 설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적정기술 문제해결 활동 과제, 구조화 수준에 따른 문제, 협동학습을 분석하였고, 이를 (1) 학습목표 설정, (2) 학습경험 선정, (3) 학습경험 조직, (4) 평가로 구성된 Tyler의 수업 설계를 적용하여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을 설계하였다. Tyler의 수업 설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의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성취하기 위해 협동학습과 문제기반 학습을 복합한 학습경험 중심의 활동이며,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학습경험을 개발하여 다양한 학습자, 학습 주제, 학습 상황 및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둘째, 학습경험은 (1) 구조화된 문제: 주어진 재료를 이용하여 간이 정수기 만들기, 주어진 재료를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감자 보관 창고 만들기, (2) 반구조화된 문제: 주변의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간이 정수기 만들기, 주변의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감자 보관 창고 만들기, (3) 비구조화된 문제: 수인성 질병예방을 위한 수질 개선 문제 해결하기, 몽골의 기후에서 감자를 보관할 때의 문제점 해결하기로 조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for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 solving ability’. To this end,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solving activity tasks, probl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analyzed, and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was designed by applying them to Tyler’s model.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designed based on Tyler’s model is as follows. First, it is a learning experience-oriented activity that combines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to achieve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was developed to apply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to various learners, learning topics, learning situations and environments. Second, the learning experience is (1) structured problems: making a simple water purifiers using the given materials, making a potato warehouse that can maintain solar energy for a long time using the given materials, (2) semi-structured problems: making a creative simple water purifier using surrounding materials, making a creative potato warehouse using surrounding materials, (3) unstructured-problems: solv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blems to prevent waterborne disease, solving the problems of storing potatoes in Mongolia’s climate.

      • KCI등재

        Coenzume Q10의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황재성 ( Jae-sung Hwang ),박원만 ( Won- Man Park ),안수미 ( Soo-mi Ahn ),강병영 ( Beyong-young Kang ),이병곤 ( Byeong-gon Lee ),심영철 ( Young- Chul Sim ) 대한화장품학회 200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26 No.1

        Coenzyme Q10(CoQ10)은 피부를 포함한 모든 생체조직에 존재하는 널리 알려진 조효소이다. 전자전달에 관여하는 퀴논링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CoQ10 은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외용제로써 노화억제와 주름개선작용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이런 보고들은 CoQ10 이 항산화제로서 산화-환원작용을 통해 피부의 방어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일반적으로 산화-환원작용은 피부에서 흑화과정의 조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CoQ10 이 피부의 색소조절기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 CoQ10을 0.05-0.5 mM 처리한 결과 0.5, 0.25mM 에서 멜라닌의 생함성을 약 50% 저해하였으며 이는 알려진 미백제인 Kojic acid 나 vitamin C 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CoQ10 은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서 자외선이나 세포내 cAMP 증가 유도물질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tyrosinase inhibitor 인 kojic acid 와는 달리, in vitro tyrosine hydroxylase 의 억제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CoQ10을 자외선으로 tanning 을 유도시킨 brown guinea pig 에 4 주간 도포하고 육안 및 chromameter 를 이용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 vehicle 처리군에 비해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coenzyme Q10 은 in vitro 및 in vivo 에서 미백효과를 지닌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enzyme Q10 is found in all tissues including skin and it is the well-known coenzyme for mitochondrial enzymes. The electron and proton transfer functions of the quinone ring are of fundamental importance for the oxidative phosphorylation pathway to generate energy in the cells. Coenzyme Q10 has been studied as a potent antioxidant molecule in the skin. It is involved in the skin’s response to UVR irradiation. The concentration of this antioxidant in UVR exposed skin is higher than in non-exposed skin. However, recent studies have also shown that coenzyme Q10 is one of the first antioxidants to be depleted when skin is UVR-irradiated. This indicates that coenzyme Q10 is primarily involved in defense mechanisms of the skin. Therefore, we questioned whether coen2yme Q10 shows regulatory effect of melanogenesis. Here we report that coenzyme Q10 inhibits melanin neosynthesis of normal human melanocytes grown in culture, and lightens UVB-induced hyperpigmentation of the guinea pig skin in vivo. We treated human melanocytes with 0.05mM to 0.5mM of coenzyme Q10 for a total of two days. This inhibited melanin neosynthesis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dose-dependently. The inhibitory effects of coenzyme Q10 was as effective as kojic acid or vitamin C on cultured human melanocytes. CoQlO didn’t have direct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in in vitro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To further clarify the effect of coenzyme Q10 on the melanogenesis, we established UVB-induced hyperpigmentation on the shaved backs of brownish guinea pigs. The UVB intensity was 500mJ/cm<sup>2</sup> and the total energy dose was 1,500 mJ/cm<sup>2</sup>. The animals were exposed to UVB radiation one times a week for three consecutive weeks. Coenzyme Q10, kojic acid, Arbutin, vitamin C(1% in vehicle) or vehicle alone as a control were then topically applied daily to the hyperpigmented areas twelve times per week for four successive weeks. The lightening effect was evaluated by visual scoring, chromameter and immunohistochemistry. Coenzyme Q10 had lightening effect on the UVB-induced hyperpigmentation without any other side effects, whereas another compounds showed weak lightening efficaci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enzyme Q10 may be useful for solving physiological hyperpigmenting problems for cosmetic purpo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