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증거 압수ㆍ수색에서 참여권 보장을 통한 개인정보통제권 구현 방안

        안민탁,권헌영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2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6 No.3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is to guarantee an active legal right for individuals to manage, decide and control their own information. If you can directly control your own information, you will not only block in advance any falsification or leakage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processing, but will also greatly reduce anxiety and distrust of investigative agencie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discuss how to implement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urrent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First, for a theoretical review of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in Chapter 2,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will be explored. In Chapter 3, we will look for examples of the rea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s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t home and abroad, and in Chapter 4 we will look at foreign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laws and cases. Lastly, in Chapter 5, after accessing the existing integrated digital evidence management system in 'participant mode' to realize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confiscating and searching digital evidence, We would like to propose a self-directed participation system that allows viewing, inquiry, and even confirmation of deletion.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정보를 관리ㆍ결정ㆍ통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법적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다. 자신의 정보를 직접 통제할 수 있게 되면 정보처리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변조나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은 물론, 수사기관에 대한 불안과 불신도 훨씬 줄어들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압수ㆍ수색 절차에 개인정보통제권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제2장에서 개인정보통제권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를 위해 개인정보의 개념, 개인정보통제권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제3장에서는 국내외 민간·공공 부문의 개인정보통제권 구현 사례를 찾아보고, 제4장에서 외국의 개인정보 관련 법제 및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디지털증거 압수ㆍ수색 절차에서 개인정보통제권 구현을 위하여 기존 디지털증거 통합관리시스템에 ‘참여인 모드’로 접속 후, 정보주체 여부에 따라 사전에 허용된 범위의 증거들에 대해 열람 및 조회, 삭제 확인까지 하는 자기통제형 참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