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오염 지표종인 집비둘기의 생체조직 내 중금속 분포 특성

        이장호 ( Jangho Lee ),이종천 ( Jongchun Lee ),박종혁 ( Jong-hyouk Park ),이유진 ( Eugene Lee ),심규영 ( Kyuyoung Shim ),장희연 ( Heeyeon Jang ),김명진 ( Myungji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6

        본 연구에서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지표종인 집비둘기(Columba livia)의 생체조직 내 중금속 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환경시료은행 자체 모니터링 지점(한강공원, 함평공원)에서 채집된 집비둘기 시료를 분석하고, 집비둘기를 포함한 국내외 조류 총 17종의 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생체조직 내 중금속 분포특성을 고찰하였다. 유해 중금속인 카드뮴은 한강공원과 함평공원 모두에서 신장에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보였고, 국내외 집비둘기 사례와 기타 사례 총 34개 중 31개에서도 조류종과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 신장이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나타냈다. 유해 중금속인 납은 한강공원과 함평공원 모두에서 뼈가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나타냈으며, 기존 연구사례 총 30개 중 17개에서 뼈에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신장(10개 사례), 간(3개 사례)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납의 주요 축적 조직은 뼈라고 볼 수 있다. 아연은 한강공원에서 간에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보였고, 함평공원에서는 뼈에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기존 연구사례 총 16개 중 13개에서는 뼈에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간이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 등을 중금속의 생화학적 축적특성(뼈 생성과정에서 납-칼슘의 경쟁관계, 중금속 흡착 단백질(메탈로치오네인)의 역할 등)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결과는 향후 집비둘기의 오염물질 축적 모니터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heavy metal distributions in the tissues of feral pigeon (Columba livia) were characterized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bio-monitoring sites (Hangang Park and Hampyeong Park) of the NESB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feral pigeons as an indicator for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Cadmium (Cd) was analyzed to be accumulated in kidneys at higher concentration than in the other tissues. Such trend can also be found in the reviews on the Cd accumulations of the 34 cases including 17 avian species which showed that 31 cases had the highest Cd concentrations in the kidney among tissues. However, lead (Pb) was found to be richest in the bones in this study. 17 cases out of 30 reviewed cases had the highest Pb concentration in bones, whereas other 10 case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kidneys, and 3 cases in livers. Therefore, kidneys together with bones can be a main target organ to test cadmium exposure to different habitat environments depending on physiological traits of birds. Zinc (Z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pigeon livers of Hangang Park, but not in the bones. In contrast, the 13 cases of 16 reviewed cases had the highest Zn concentration in bones, and the 3 cases in livers. In addition, the heavy metal distribution patterns in relations to the metal accumulation mechanisms (a competition between Pb and Ca, a function of methallothionein protein, and etc.)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가환경시료은행 생태계 대표시료의 채취 및분석 표준운영절차에 대한 단계별 측정불확도 평가 연구

        이종천 ( Jongchun Lee ),이장호 ( Jangho Lee ),박종혁 ( Jong Hyouk Park ),이유진 ( Eugene Lee ),심규영 ( Kyuyoung Shim ),김태규 ( Taekyu Kim ),한아름 ( Areum Han ),김명진 ( Myungji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6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set of environmental samples was taken in 2011 to represent various ecosystems which would help future generations lead back to the past environment. Those samples have been preserved cryogenically in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NESB)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Even though there is a strict regulation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hat rules over the whole sampling procedure to ensure each sample to represent the sampling area, it has not been put to the test for the validation. The question needs to be answered to clear any doubts on the representativeness and the quality of the samples. In order to address the question and ensure the sampling practice set in the SOP, many steps to the measurement of the sample, that is, from sampling in the field and the chemical analysis in the lab are broken down to evaluate the uncertainty at each level. Of the 8 species currently taken for the cryogenic preservation in the NESB, pine tree samples from two different sit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Duplicate samples were taken from each site according to the sampling protocol followed by the duplicate analyses which were carried out for each discrete sample. The uncertainties were evaluated by Robust ANOVA; two levels of uncertainty, one is the uncertainty from the sampling practice, and the other from the analytical process, were then compiled to give the measurement uncertainty on a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measur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the sampling practice not the analytical process that accounts for the most of the measurement uncertainty. Based on the top-down approach for the measurement uncertainty, the efficient way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was to increase the quantity of each discrete sample for the making of a composite sample, than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discrete samples across the site. Furthermore, the cost-effective approach to enhance the confidence level on the measurement can be expected from the efforts to lower the sampling uncertainty, not the analytical uncertainty. To test the representativeness of a composite sample of a sampling area, the variance within the site should be less than the difference from duplicate sampling. For that, a criterion, i.e. s2 geochem(across the site variance) 〈s2 samp(variance at the sampling location) was proposed. In light of the criterion, the two representative samples for the two study areas passed the requirement. In contrast, whenever the variance of among the sampling locations (i.e. across the site) is larger than the sampling variance, more sampling increments need to be added within the sampling area until the requirement for the representativeness is achieved.

      • KCI등재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집비둘기 알 껍데기의 중금속 축적특성 연구

        이장호 ( Jangho Lee ),이종천 ( Jongchun Lee ),박종혁 ( Jong Hyouk Park ),이유진 ( Eugene Lee ),심규영 ( Kyuyoung Shim ),김명진 ( Myungjin Kim ),신영규 ( Youngkyu Shi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6

        The heavy metal accumulations of avian eggshells were studied in order to test a feral pigeon (Columba livia)`s eggshell as an indicator for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of pollutants. The reviews on the eggs of the different 19 avian species showed that it is the eggshell rather than the egg content that can better reflect the heavy metals in the environment; in most cases the CVs (coefficients of variations) of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eggshell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egg contents. This can indicate that the heavy metal accumulations are homeostatically controlled in the egg contents, but the accumulations in the eggshell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test the reviews, the feral pigeon eggs from the two different sites, one representing urban and the other rural environment, were analyzed for lead (Pb) and cadmium (C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ggshells of the urban pigeons (Hangang) had the higher metal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the rural pigeons (Hampyeong). The same difference can also be found in the internal organs (liver, bone) and blood. However, the analyses of the egg contents between the two sites did not reveal the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feral pigeons, like the other avian species, are able to control the heavy metals into the egg contents homeostatically. Therefore, it is more useful to use the feral pigeon eggshell rather than the egg content in case of monitoring heavy metals in different habitats.

      • KCI등재

        국가환경시료은행 활엽 시료를 활용한 지역별 대기침적 오염물질 모니터링 활용성 검토

        이종천 ( Jongchun Lee ),이장호 ( Jangho Lee ),박종혁 ( Jong-hyouk Park ),이유진 ( Eugene Lee ),심규영 ( Kyuyoung Shim ),장희연 ( Heeyon Ja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6

        국가환경시료은행(NESB)에서는 환경오염물질의 생태계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료로서 8종의 생물시료를 정기적으로 채취하여 초저온(<-130 °C) 저장을 해 오고 있다. 이 중 2 종의 활엽수(느티나무 및 신갈나무 잎)가 중금속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과 같은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 시료로서 활용되기 위해 채취되고 있다. 한 지역을 대표하기 위해 군락 내 여러 개체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개체별 차이 및 오염분포 특성에 따른 이질성이 구성 시료의 대표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따라서 분석을 통한 측정값을 활용한 연구의 신뢰도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료종은 엄격한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채취됨으로써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오염물질의 지역간, 연도별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5 지역의 고정구에서 채취된 신갈나무, 느티나무 잎 시료를 대상으로 지역 간 오염물질의 농도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주요원소 및 중금속, 그리고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인 측정값을 활용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신뢰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료채취단계에서 중복 시료를, 시료분석단계에서 중복분석을 수행하여 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였다. 이로써 시료채취 및 분석의 단계별 불확도를 분리하여 산출한 후 측정불확도로 통합한 결과 측정값의 지역 간 연도별 농도 비교에 통계적 신뢰도 수준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아울러 잎표면 대기침적물질 중 강우에 영향을 받는 중금속 및 PAHs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 누적강우량과 오염물질의 축적도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NESB) has been collecting broad leave samples to monitor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five different designated sampling areas. In order to ensure the reproducibility and comparability of the results, all the procedures from selecting trees and pooling leaves to make the representative sample are defined in the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the SOP). The representative samples were subjected to the chemical analyses for some heavy mineral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The uncertainty levels involved in each step of the SOP, that is, the sampling and the chemical analysis, were derived using the Robust ANOVA, which enables the relative comparison among the different levels of pollutants concentrations with confidence.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varying degrees of precipitation on the pollutants concentration of the leaves was also examined. Overall, the biological difference estimated from the duplicate samples was found to exceed the variation across the site, implying even aerial deposition over site. Samples from Gwanak Mt. showed highest heavy metal concentrations than the other sites. Washing off effect of the pollutants adhering in the form of particles on the leaf surfac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 상장제조기업의 현금흐름정보가치에 대한 실증적 연구

        심규영 경희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2004 기업경영연구 Vol.10 No.1

        우리나라 상장제조기업에서 제공하는 현금흐름의 정보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추정과 역산에 의해 산출된 수치를 이용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실제 작성하여 제공한 현금흐름표를 이용하였으며, 현금흐름정보의 상황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회계이익의 일시성을 고려하였다. 현금흐름정보의 개별적 정보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총 현금흐릉과 삼원분류법에 의한 영업활동, 재무활동, 투자활동의 현금흐름을 초과수익률에 대해 각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회계이익을 제시한 후의 추가적 정보가치를 관찰하기 위해 각 모형에 회계이익을 포함하여 재수행 하였다. 분석결과, 현금흐름의 개별적 정보가치는 항목별로는 관찰되었으나 투자활동현금흐름에 서는 관찰되지 못하였으며, 재무활동에 대해서는 음수의 회귀계수를 보에준다. 회계이익 포함후의 뿐석결과에서는 영업활동과 총현금흐름의 회귀계수가 회계이익보다 높게 산출되어 현금흐름이 단순한 추가적인 정보가 아닌 기업가치 평가에 주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회계이익 일시성고려후의 분석결과도 고려하기 전과 유사하게 제시되어 선행연구 결과와는 달리 회계이익 일시성이 표본기업에 대한 현금흐름의 정보적가치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the information value of cash flows for the listed manufacturing companies is empirically examined. To evaluate the individual information value of cash flows, regressions, using abnormal returns based on industrial portfolio performance, are separately estimated for total cash flows and three decomposed cash flows (operation, finance and investment cash flows). Accounting incomes are then added to each regression model to measure the incremental information value, and the transitory nature of accounting income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all cash flows, except investment cash flows, show the information value while finance cash flows reveals negative coefficient. In terms of incremental information value, similar results are found. On the other hand, the transitory nature of accounting incomes appears not to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individual and incremental information value of cash flows.

      • 상장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활동성변수의 역할

        심규영 경희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2003 기업경영연구 Vol.9 No.1

        기업의 이윤극대화를 달성하기 위한 마진율향상과 활동성개선방안간에는 상호 병행하기 어려운 대립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한 기업이 이익극대화라는 명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활동성지표와 마진율간의 적절한 균형감을 찾는 것이 선결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2년도까지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활동성지표의 실태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활동성지표에 영향을 부는 요인들의 성향을 관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업의 수익성에 대해 마진율과 활동성지표의 기여도를 회귀분석을 통해 비교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상장제조업체들의 평균영업주기는 129일로 한 회계기간동안 2.8회전을 한 건으로 나타났다. 영업주기의 재고회전기간과 채권회전기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자금조달측변에서는 매입채무에 의존한 기간(48일)보다는 기업이 운전자본을 투하해서 운용해야 하는 기간(81일)이 훨씬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활동성지표관리에 따라 현금주기를 하루 단축할 수 있는 경우 연간 약 1.24억원의 금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활동성지표는 기업의 단기지급능력, 자본구조, 기업규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은 부채비율의 조정수단으로 매입채무기간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단기지급능력, 자본구조. 기업규모를 통제한 후 기업의 수익성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진율과 활동성지표 두 변수 공히 수익성에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두가지 점을 시사한다. 첫째, 수익성에 대한 마진율과 활동성지표간 2배 이상의 유의적인 회구계수차이는 마진율확대방안보다는 활동성지표개선방안이 기업의 수익성향상에 더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효율적인 활동성지표개선에 따라 현금주기를 하루 단축할 경우 연간 1.24억원의 금융비융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점은 금융비용을 제외한 종업원성과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d the role of activity variables to the profitability of listed firms. Using a data set composed of annual observations on 1,390 Sample firms for the period of 2000 through 2002, operating cycles are calculated for total sample. Potential factors which can influence on the length of operating cycles are investigated, and the contributions to the firm s profitability of opera-cycle and margin ratio are compared Average length of the operating cycles for sample firms turned out 129 days. Operating cycle consists of the period of inventory on hand and the days of receivable collection period on average, which does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t in days. However, sample h s fill 37% of the cycle with account payables and the remaining 81 days with their own working capital. If sample fm reduces its cash cycle by a single day, firm can save W l24million of financing cost annually. Firm size, debt ratio, and the level of liquidit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length of operating cycle. The comparison results implies that high turnover ratios can contribute more to earning improvement than high gross profit margin. The fact that annual financing cost of a single day in cash cycle is W124million, which is not ignorable in amount, indicates that firm should take that costs into consideration when evaluate management performance.

      • 올슨모형을 이용한 현금흐름정보의 가치관련성

        심규영 경희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2006 기업경영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상장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현금흐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평가하였으며 회귀모형에 회계이익변수를 추가하여 현금흐름의 추가적 정보가치관련성을 관찰하였다. 변수측정에 따른 오류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추정치가 아닌 현금흐름표상의 실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종속변수선정에 따른 연구결과의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 올슨모형을 활용하였다. 회계자료의 고유속성인 상황적인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본을 규모별, 업종별, 기간별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정보가치를 평가하였다. 회귀분석결과 우리나라 상장제조기업의 회계자료에 대한 올슨모형의 전반적인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의 개별적 정보가치관련성 분석과 추가적인 정보가치분석결과에서도 모든 독립변수들이 예측된 방향의 유의적인 회귀계수를 제시한다. 추가적인 분석결좌에서는 영업활동현금흐름이 회계이익변수보다 더 큰 표준화된 회귀계수와 t값을 제시하고 있어 추가적인 정보가치의 의미 이상인 것으로 보인다. 하위그룹에 대한 후속분석에서는 현금흐름정보가 업종지배적인 속성을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규모별, 기간별 하위분석에서는 모든 하위그룹에서 예측했던 방향의 유의적인 회귀계수가 관찰되어 선행연구에서 주장하는 기업의 규모와 소속된 업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주장과는 대치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lue relevance of cash flows for the lasted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o evaluate the individual value relevance of cash flows, regressions using Ohlson model are estimated for operating cash flows. Accounting incomes as then added to the model to measure the incremental value relevance, and size, period, and industry impact on the value of cash flow information a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an the subsequent analysis. The cash flow information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value relevance as all independent variables an the model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efficients and directions as predicted. Similar results were also found an the incremental value relevance analysis. Maze appears not to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value relevance of cash flow, but large farms tend to value cash flow information more highly than small-medium size farms. Industry, however, do significantly impact on the value relevance, implying that the value of cash flow data as very much contextual an its nature as previous studie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