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객가인 제사문화의 지속과 변용, 특성 - 중국 매주시 대포현 의 사례를 중심으로 -

        순청디 ( Sun Chengdi ),이채문 ( Lee Chaimun ),이토히로코 ( Ito Hiroko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8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3 No.-

        객가인은 중국 한족의 한 민계로 현재 세계 각지에서 새로운 터전을 잡아 장착한 ‘객가 디아스포라’집단이다. 이들은 전란을 피하기 위해 이주를 거듭하여, 원래 고향이던 중원을 떠나 남하하여 현재 중국본도를 비롯하여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한족의 전통문화를 유지하면서도 객가인은 이주 과정과 정착 과정에서 他민족집단과 접촉 및 교류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수용, 흡수 혹은 변화시켜 새로운 객가문화를 창조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현재 가장 많은 객가인이 거주하고 있는 광동성 매주시 대포현에서 현지조사를 진행하여 객가인의 제사문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주 객가인의 제사문화는 크게 조상과 천신을 위한 제사로 나눌 수 있다. 조상을 위한 제사에서는 조상과의 연대를 유지하고 계승하기 위한 문화가 창조되어 있는 반면 천신을 위한 제사에서는 다양한 종교가 혼재하는 ‘Spiritualism’이 관찰되었다. 둘째, 현재 대포현에서는 총 12종류의 제사가 존재하고 있으며 신중국 건국 전후에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시대적 변화에 따라 일부 제사의 간략화가 일어났으나 큰 변화은 관찰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같은 한족인 광주민계와 비교해보면 객가 사회에서 더욱 전통문화를 유지하고 계승하고 있으며, 이는 거주적 특징과 생활양식 등 사회적, 지리적 그리고 생활문화적 영향이 큰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Hakka is a group of Han Chinese, a diaspora group that is now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They migrated to various places to avoid civil war in China. The Hakkas migrated south from China’s original Chung-won province, and now reside mainly in Southeast Asia, including mainland China.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Han Chinese, they created a new Hakka culture by accommodating, absorbing or changing diverse culture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field surveys and interview surveys in Meizhou City, Guangdong Province, where the largest number of The Hakkas currently live in China. Using field surveys, we investigated the religious sacrifices and culture of the Hakka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crificial culture of the Hakka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emorial services for ancestors and sacrifices for God of Heaven. In memorial sacrifices for ancestors, there is a culture to maintain solidarity with ancestors, while in sacrifices for God of Heaven, “spiritualism” is observed, which is a mixture of various beliefs. Second, in the present Dafu region in Meizhou, Guangdong Province, China, there are 12 memorial sacrifices. Third, simplification of some memorial sacrifices occurred, but no major changes were observed. Finally, compared to the Han Chinese, the Hakkas still maintain traditional culture pretty wel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akka culture has been largely influenced by their residence, lifestyle and socio-cultur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