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 경기 지역 무인도서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송세규 ( Song Se-gyu ),최승세 ( Choi Seung-se ),신현철 ( Shin Hyun-chul ),서형수 ( Seo Hyung-soo ),박진영 ( Park Jin-young ),차진열 ( Cha Jin-yeol ),김철환 ( Kim Chul-hwa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4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와 특정도서 정밀조사를 통해 인천, 경기 지역 무인도서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115과 401속 691종 7아종 76변종 7품종의 총 78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의 4,596종의 약 17%에 해당된다. 양치식물 29분류군, 나자식물 6분류군,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 582분류군, 단자엽식물 164분류군으로 집계되어 한반도 전체 비율에 비해 양치식물과 나자식물의 종 다양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상은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동백나무를 비롯하여 다수의 남방계식물이 분포하는 특성을 갖는 점에서 식물구계학적으로 남부아구에 가깝다. 식물상의 종다양성은 대체로 도서의 면적에 비례하고, 인위적인 간섭이 많은 도서일수록 귀화식물의 수는 증가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고유종은 병꽃나무를 비롯하여 외대으아리, 은꿩의다리, 새끼노루귀, 태안원추리, 털중나리 등 1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은 개정향풀을 비롯하여 두메대극, 민솜방망이 3분류군, Ⅳ등급은 회리바람꽃, 산마늘 등 11분류군, Ⅲ등급은 멀꿀, 감탕나무, 곽향 등 36분류군, Ⅱ등급은 세뿔석위, 해당화, 초종용 등 38분류군, Ⅰ등급은 소사나무, 선괭이눈, 쥐방울덩굴 등 79분류군 등 총 167분류군, 그리고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아까시나무, 좀명아주, 닭의덩굴 등 53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무인도서의 귀화율을 분석하였으며 황산도엣 가장 높은 14.4%로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 생물에 해당되는 식물로는 돼지풀, 애기수영, 가시박, 미국쓱부쟁이, 가시상추, 환삼덩굴 등 6종이 확인되었다. 특히 황산도에는 돼지풀, 환산덩굴,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 등 4종의 생태계교란 식물이 발견되어 인접 무인도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각각의 생육특성 및 생리학적 특성 파악을 통하여 종자산포 이전에 적극적인 방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학술적으로 중요하거나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개정향풀, 앵도나무, 큰천남성, 두루미천남성 등이었다. 식물의 생존과 번성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방목된 염소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대한 관리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개석송과 산오이풀을 비롯하여 일부 식물들은 종 분포적 특성을 감안할 때 오동정된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조사시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rough a National survey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Uninhabited islands and a detailed survey of the Specific islands, vascular plants of uninhabited islands in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s were identified as a total of 781 taxa of 115 families, 401 genera, 691 species, 7 subspecies, and 76 varieties. This taxa accounts for about 17% of the 4,596 species on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cluding recently introduced naturalized plants. The flora was counted as 29 taxa of pteridophytes, 6 taxa of gymnosperms, 582 taxa of dicotyledon of angiosperms, and 164 taxa of monocotyledon plants, while it was analyzed that the species diversity of pteridophytes and gymnosperms, was somewhat lower than the total ratio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whole. The flora is close to the southern subgroup phytologically in tha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a number of southern plants, including Meliosma oldhamii, Carpinus erosa and Camellia japonica. The diversity of flora is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islands, and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in islands with more anthropogenic interference. No endangered wildlif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found, and 16 taxa (Weigela subsessilis, Clematis brachyur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Hemerocallis taeanensis, etc.) were found for endemic species , 167 taxa (Ⅴ level 3 taxa, Ⅳ level 11 taxa, Ⅲ level 36taxa, Ⅱ level 38 taxa, Ⅰlevel 79 taxa) for floristic target species, and 53 taxa (Rumex crispus, Robinia pseudoacacia, Chenopodium ficifolium, Fallopia dumetorum etc.) for naturalized plants. The ecosystem of Disturbed Plants were identified as 6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ster pilosus, Lactuca scariola, Humulus japonicus).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academically important or noteworthy were Apocynum lancifolium, Prunus tomentosa, Arisaema ringens and Arisaema heterophyllum. Grazing goats were investiga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reatening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plants, and management measures were expected to be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t was judged that some plants, including Lycopodium annotinum and Sanguisorba hakusanensis, were misident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e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needed to be carefully observed during future investig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