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주자의 거경(居敬)과 해월의 수심정기(守心正氣) 비교연구

        송봉구 ( Bong Gu S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5 No.-

        이 논문은 주자의 거경(居敬)과 해월의 수심정기(守心正氣)를 비교하는 것이다. 주자의 거경은 항상 깨어있는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는 일이 있을 때 실행하는 방법인 ``주일무적(主一無適)``과 일이 없을 때 할 수 있는 ``정좌(靜坐)``가 있었다. 주일무적은 하나에 집중해서 마음을 다른 곳으로 도망가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집중할 수 있는 하나가 중요한데 주자는 소경이 시경의 구절을 외우는 방법과 스님이 자신을 부르는 방법을 인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정좌는 고요히 앉아서 자신의 마음을 돌아보는 방법이다. 해월의 마음을 깨어있게 하는 방법은 자신과 만물이 모두 모시고 있는 한울님을 체득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우리가 모시고 있는 한울님은 전체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쉽게 체득되는 것이 아니다. 정말로 뼈를 깍는 노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해월이 선택한 것은 스승이 물려준 21자 주문을 독실하게 외우는 것이었다. 주로 깊은 절에 가서 49일 동안 주문을 지극 정성으로 외우는 공부를 한 것이다. 그래서 한울님을 체득한 결과 이 한울님은 자신에게도 물론 있고, 동물과 식물도 모두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 결과 해월에게 전개된 것이 세 가지를 공경해야 진정한 공경이라고 한 것이다. 두 사람의 공부법을 살펴본 결과 두 사람은 모두 하나에 집중하는 공부법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을 항상 깨어있게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내용은 다르다. 주자는 정좌법이나 경전의 구절을 암송하는 방법이었고, 해월은 21자 주문을 외우는 것이었다. 서로 집중하는 주제는 달랐지만 그 목적은 같았다. 자신도 평화롭게 살고 남도 평화롭게 살 수 있는 그런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This article is to compare Chu Hsi`s Goegyung(居敬) with Haewol`s Susimjunggi(守心正氣). Goegyung means to always stay reverent. In order to stay reverent, Chu Hsi introduced two ways - Chuilmujeok(主一無適) and Jeongjwa(靜坐). Chuilmujeok is a way of concentrating one´s attention on a thing. Jeongjwa is a way of looking around one`s mind sitting quietly. Haewol`s way to stay reverent is to realize by experience the existence of Hanul in all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We cannot easily realize Hanul, but It takes excruciating effort to realize Hanul because Hanul is the holistic existence. Haewol`s way to realize Hanul was just keeping on reciting the 21 words with the whole heart, which Su-un had taught him. Haewol often went to temples to recite the 21words sincerely. As a result, he realized that Hanul exists in human body, animals and even plants. As for him, to stay reverent is to be aware of their relationships and revere Hanul, human beings and all creatures. Both Chu Hsi and Haewol used the same method of concentrating one`s attention on a thing in order to stay reverent. However,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men. Chu Hsi developed the way to recite the phrases from Confucianism scriptures, or communicate with ``self`` as monks did. On the other hand, Haewol developed the way to keep on reciting the 21words sincerely. They used the different .ways for the same purpose to stay reverent, in other words, to live harmoniously and peacefully.

      • KCI등재

        주희와 손병희의 심성·수양론 비교연구

        송봉구 ( Song Bong G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2 동양문화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주희의 심통성정과 거경궁리 수양론, 그리고 의암의 성·심·신-삼단과 주문 수련법을 비교하는 것이다. 주희는 심통성정의 마음 구조와 거경궁리 수양법을 완성하기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였다. 처음에는 마음이 아직 드러나기 전의 상태는 알 수 없으니,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마음이 드러난 상태를 잘 살피는 것이라 하여 여기에 힘을 기울이는 공부를 하였다. 이런 공부를 하다 보니 문제가 생겼다. 바로 마음이 아직 드러나기 전의 상태를 소홀히 한 결과 마음이 들뜬 상태가 되어버렸다. 그래서 주희는 다시 젊은 시절의 스승이 강조했던 마음이 아직 드러나기 전의 상태를 찾으라는 가르침을 다시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완성된 것이 마음이 드러나기 전의 상태도 함양할 뿐만 아니라 드러난 상태도 잘 관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주희의 공부법은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마음을 잘 관찰하여 마음을 깨어있게 한 다음에는 사물의 이치를 궁리하는 격물치지의 공부법이 남아 있었다. 주희가 이 공부법을 강조한 이유는 모든 만물은 자신만의 고유한 이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런 이치를 고민하여 궁구하지 않고 대충 눈으로 보아 넘겨버리면 실제 삶의 현장에서 실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주희의 거경궁리 수양법이 만들어진 것이었다. 의암의 성·심·신-삼단과 주문수련법도 쉽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동학에 입도하면서 새로운 사람으로 거듭나려는 의암의 노력의 산물이었다. 의암에 있어서 성은 불생불멸의 원리이고, 심은 원리인 성을 움직이게 하는 힘이고, 신은 성과 심의 기운을 받아 실제로 움직이는 도구였다. 의암은 성·심·신을 하나의 기운으로 만드는 수련법을 만들었는데 그 방법이 대대로 전승되어 오던 방법과는 다른 것이었다. 이전의 수련법이 21자 주문을 의심 없이 그대로 외우는 방법이었다면 의암이 만든 방법은 의심하는 것이었다. 도대체 ‘내 안에 어떤 것이 있어서 나의 모든 행위를 간섭하는가’하는 것이었다. 이것을 의심하다 보면 여기에 몰입되어 다른 잡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의암은 스승들이 하지 못했던 방법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것이다. 두 분의 마음과 수련법을 비교해보면 주희의 마음은 인의예지의 도덕적인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어서 어느 정도의 정신적인 자유는 얻을 수 있었지만 실제적인 삶의 현장에서 모든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따라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움이 많은 방법이었다. 실제로 주희가 말한 궁리의 방법은 독서를 통한 이치를 연구하는 것이어서 적어도 수 십년은 걸리는 방법이었다. 그래서 당장 먹고 살기에도 힘든 백성들이 실천하기에는 너무도 어려운 방법이었다. 이에 비해서 수운이 만들고 해월과 의암에 의해서 계승된 동학의 주문 수련법은 21자만 외우면 되는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었다. 겉으로 보기에는 간단한 방법이었지만 수운이 이 방법을 얻기까지 15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 것을 보면 이 방법도 쉬운 것 만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의암은 스승들이 시도하지 않았던 의심하는 방법을 시도하여 주문수련법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도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의암은 주문 수련을 독실히 한 결과 새로운 사람이 되어서 동학의 3대 주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의 독립을 위하여 자신의 생명을 바치는 거룩한 삶을 살게 된다. 주희의 거경궁리 수양법도 어려운 것이었지만 주희는 삶의 현장에서 독실하게 실천한 결과 당시 굶주림으로 힘들어하던 백성들의 삶을 구해주는 사창법을 실시하여 관념적인 지식인이 아닌 실천하는 선비로 거듭나게 되었다. This article is to compare Zhu Xi’s idea of SimTongSeongJeong and self-cultivation through GeoGyeongGoongNi with Euam's SeongSimSin and Divine Chanting. Zhu Xi completed the structure of mind in SimTongSeongjeong and self-cultivation of GeoGyeongGoongNi through trial and error. Zhu Xi focused on the manifestation of mind, and then the pre-manifestation of mind. He thought that mindfulness was important not before, but also after the manifestation of mind. Furthermore, he tried to study the phenomena and principles of things, and find how things work in the world through GeoGyeongGoongNi. Euam made theory of SeongSimSin(nature, mind and body) and developed Divine Chanting of 21 words. Seong(nature) is an invariable principle, Sim(mind) a cause moving Seong, and Sin(body) a phenomenon effected by Seong and Sim. Euam remade a method of practice converging SeongSimSin,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his teacher and grand teacher-Haewol and Suun. What is there in me that interferes with all my actions? Zhu Xi presented a method to get inner peace by self-cultivation in GeoGyeongGoongNi, but it wa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practice. It was because it took a long time to get inner peace by Zhu Xi’s method of self-cultivation. In contrast, The practice of Donghak, which was created by Suun and inherited by Haewol and Euam was a short, simple practice that was Divine Chanting of 21 words. It was easier for ordinary people to practice than Zhu Xi’s method of self-cultivation was. However, we may need to follow both of Donghak’s and Zhu Xi’s practices to get a variety of solutions for troubles of modern life because we live in a much more complex world than ever before.

      • KCI등재

        一般論文 : 주자(朱子)의 격물치지론(格物致知論)

        송봉구 ( Bong Gu S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9 동양문화연구 Vol.3 No.-

        이 논문은 주자의 격물치지론(格物致知論)을 연구하는 것이다. 주자의 격물치지론은 거경(居敬)과 함께 항상 붙어 다니는 주자의 인식론이자 수양론이다. 경 공부는 육체적인 기질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개인적 욕망을 잘 다스려 본성의 이치에 따르도록 선의지(善意志)를 길러 나가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정제엄숙(整齊嚴肅) 주일무적(主一無適) 상성성(常惺惺) 기심수렴(其心收斂) 불용일물(不容一物) 등이 있다. 이 방법을 통해서 마음을 집중한 다음에 사물이 가지고 있는 이치를 공부해 나가는 것이 격물치지이다. 격물치지 공부를 인식론이자 수양론이라고 한 것은 사물이 가지고 있는 이치를 공부하는 것이니, 인식론이라 할 수 있고, 이 공부를 통해서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나의 본성을 확인하는 것이니 수양론이라 할 수도 있다. 주자는 이 둘을 항상 같이 공부하라고 ‘거경궁리(居敬窮理)’라고 이름했다. 거경부분은 필자의 다른 논문에서 이미 다루었고 여기서는 궁리부분 즉 격물치지부분을 다루고자 한다. 격물치지는 내가 나의 본성 혹은 이치를 확인하려고 하는 공부인데 이것은 힘들기 때문에 바깥 사물에 나아가 사물이 가지고 있는 이치를 연구해서 나의 본성을 확인하고 확충하는 공부이다. 이런 공부가 가능하려면 두 가지가 전제 되어야 한다. 하나는 이일분수(理一分殊)이고, 둘은 성즉리(性卽理)이다. 나의 본성과 사물의 본성이 같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다른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것이 곧 나의 본성을 연구하는 것과 같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그리고 이치는 하나이지만 모든 사물에 꼭 같이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전제 되어야 오늘 하나의 사물을 연구하고, 내일 또 다른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다보면 결국 하나의 이치를 확인한다는 것이 성립된다. 그래서 격물치지의 이론적 배경으로 이 둘을 먼저 서술하고, 다음에 사물이 가지고 있는 이치를 탐구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그 결과 내 마음의 이치가 확충된다는 것을 서술하고자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다 보면 결국 ‘누적(累積)’을 통해서 ‘관통(貫通)’의 단계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관통에 이른 상태를 주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학을 처음 가르칠 때에는 반드시 배우는 사람들로 하여금 천하 만물에 나아가 그 이미 아는 이치로 인하여 더욱 궁구하지 않음이없게 하였다. 그리하여 그 지극한 데에 이르기를 구하여 힘씀이 오래되면 하루아침에 활연관통(豁然貫通)하게 된다. 그리하여 만물의 겉과 속, 정미함과 거칢이 이르지 않음이 없게 되고, 내 마음의 온전한 체(體)와 큰 쓰임이 밝아지지 않음이 없게 된다. 이러한 것을 일러 물격(物格)이라 하고 앎의 지극함이라 한다.” I will describe Zhuzi`s theory of perfecting knowledge by studying the principles of real things. First, I will explore ‘only one cosmic principle but various forms of all things in its division(理一分殊)` and ``human nature as natural law(性卽理)``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I will describe the process in which one perfects knowledge by studying the principles of real things, the contents of the theory of meditation. I will explore the meaning of studying principles and the category of things in the sense of exploring the extremely natural principles of things and meanings of perfecting and knowledge in the sense of expanding the extremely natural principles of my mind. And I will describe ``realizing the way by knowing a lot``, the end product of perfecting knowledge by studying the principles of real things.

      • KCI등재

        연구논문 : 동학의 수양론 연구

        송봉구 ( Bong Gu S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9 儒學硏究 Vol.20 No.-

        이 논문은 동학의 세분 스승인 수운 해월 의암의 수양론을 살펴보는 것이다. 수운은 기나긴 공부의 과정을 통해서 동학을 창도하였다. 그는 시천주를 주장하였고 이 경지에 가기 위해서는 21자 주문을 평생동안 잊어버리지 말고 지극 정성으로 공부하라고 했다. 전통적인 성리학의 공부방법이 복잡한 것이었다면 수운의 공부방법은 아주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었다. 단지 21자 주문을 쉬지않고 공부하면 그만이었다. 그래서 일반 백성들에게 쉽게 다가갈수 있는 가르침이었다. 이 방법을 계승한 해월은 더욱더 성실하게 스승의 공부방법을 실천하여 일상 생활속에서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공부방법을 만들었다. 공부방법은 쉬웠지만 그의 성실함을 따라갈 사람은 거의 없었다. 해월 공부방법의 의의는 높은 곳에 있던 스승의 가르침을 일반 백성들의 눈높이에 맞게 전개시켰다고 할 수 있다. 해월의 뒤를 계승한 의암은 내안에 모신 한울님을 깨달아야 한다는 사상을 전개했다. 두 분 스승들이 무조건 정성들이라고 한 방법 이외에21자 주문을 의심하는 방법도 제시했다. 이것은 막연하게 정성을 들이면 된다고 하는 것 외에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구체적이고 확실한 방법론을 전개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세분은 지극한 공부를 해서 자신이 모시고 있던 한울님을 체득해서 그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위대한 삶을 사신분이었다. 누구나 정성을 들이면 도달하게 되는 쉬운 방법론이 바로 세 분의 공부방법론이다. This article is about Donghak`s way of cultivating the mind, which was built and developed by three masters of Donghak, a Korean religion. Su-un, the founder of Donghak, realized the truth of life and the universe through a long period of prayer and meditation, and named it Donghak.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trines is ``sicheonju``, which means that human beings has the features of Hanul, or God in the body. He said that people have to recite the 21words with the whole heart in order to be aware of ``sicheonju``. While the Confucian way of cultivating the mind was complicated, Su-un`s way was very easy and simple. Just keeping on reciting the 21 words is enough, and anyone could follow it. Haewol, one of Su-un`s disciples and the second leader of Donghak, made Su-un`s way effective so that whoever wants to cultivate the mind can follow it more easily. However, people are likely to neglect the way because of its easiness. That is why Haewol emphasized sincerity. this means that he adjusted Su-un`s way to the level of common people. Euam, one of Haewol`s disciple and the third leader, declared that it was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Hanul in the body, and presented another way of cultivating the mind, which was to put the meaning of the 21words in question. This way is thought to reveal the truth more effectively and concretely than just keeping on reciting the 21 words does. These three masters lived great lives by realizing the presence of Hanul in their bodies through reciting the 21words whole-heartedly. And they told us that whoever recite the 21 words whole-heartedly and put the meaning of the 21words in question, can get to the truth.

      • KCI등재

        一般論文 : 정이천(程伊川)의 수양론연구(修養論硏究)

        송봉구 ( Bong Gu S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7 동양문화연구 Vol.1 No.-

        이 논문은 정이천의 거경궁리론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천의 거경궁리론은 선불교의 돈오적 공부방법에 비해 진리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공부방법론이다. 먼저 거경은 마음을 한 곳으로 집중해서 마음을 항상 깨어있게 하는 방법이다. 구체적 방법으로 감각기관에 집중하는 것이 있다. 이천은 이 공부를 위해서 사물잠(四勿箴)을 제시했다. 궁리는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자신의 본성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그 방법으로 이천은 독서를 강조했다. 역사책을 읽어서 어떻게 처세한 사람이 올바르게 산 것인가를 공부하는 것이다. 그리고 논어나 맹자 등의 고전을 읽어서 인간의 몸과 마음의 구조 등에 대해서도 공부하는 것이다. 고전을 읽을 때 내 마음이 맑지 않으면 고전의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래서 먼저 경의 상태가 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경이 되어 마음이 맑으면 고전의 이해도 쉽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거경이 먼저이고, 궁리는 나중이다. 그러나 이런 순서가 꼭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시간이 없어서 바쁠 때꼭 먼저 마음을 맑게 한 다음에 책을 읽는 법은 없다. 책을 읽으면서 마음을맑게 하는 방법도 성립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둘의 관계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마음을 맑게 하고, 결국은 내 본성을 깨우치는 결과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차례대로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The paper study for Cheng Yi`s "Geogyeong gungli" theory. Geogyeong means that someone seek to produce a state of openness, inner calm and increased self-awareness. In this way, we concentrate on one thing instead of spreading to the other place. Gungli means that it studies the essential nature of things as method of acquiring knowledge. As a result of this studying, I recognize an intrinsic attribute about myself. In the processing of the method, first of all, we make our mind calmness through Geogyeong and then knowing the theories of the world through Gungli. In the other way, we can have our mind calmness through Gungli. There are two methods, but it is just same thing finally. We wish to receive our peace of mind and to live our life energetically through this way.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의암 손병희의 심성 수양론 연구

        송봉구 ( Bong Gu S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2 No.-

        이 논문은 의암의 심성론과 수양론을 연구하는 것이다. 심성론을 연구하는 이유는 우리 마음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다. 동학의 논리에 의하면 사람의 마음은 한울님을 모신 순수한 것인데 그렇다면 현실에 악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이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의암은 사람의 마음중에 물정심(외부 사물에 물든 마음)이 있는데 이 마음이 있기 때문에 악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 마음의 근원지를 거슬러 올라가면 혈각성(화복으로 인과를 삼아 선도 있고 악도 있음)이 있는데 이 혈각성 때문에 물정심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의암의 마음구조를 살펴보면 마음안에 순수한 마음과 사물에 물든 마음이 같이 공존하고 이 뿌리를 살펴보면 이 두 마음을 존재하게 하는 성품도 존재한다. 그 성품을 전자는 원각성이라하고 후자를 혈각성이라 한다. 마음의 구조가 이렇게 밝혀지면 남은 과제는 이 마음을 수양하여 순수한 마음을 회복하여 순수한 성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 공부의 과정을 수양론이라 한다. 의암의 공부방법 역시 마음을 스승을 삼아 21자 주문을 독실하게 외우는 것은 두 분 스승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세한 공부의 방법을 살펴본 결과 두 분 스승과 다른 공부 방법도 찾을 수 있었다. 이런 방법론을 살펴보면 얼마나 마음을 세밀하게 살폈기에 이와 같은 공부 방법론을 만들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든다. 스승들이 남겨놓은 공부방법을 더욱 세밀하게 발달시킨 것이 의암 공부방법의 특징이고 그리고 그 방법이 맹자와 주자의 공부방법론과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는 것이 이번 논문의 성과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article is to study Euam`s idea of mind and cultivation of the mi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mind. It seems that Donghak`s idea is that there doesn`t exist vice because Hanul is in the human body. But this is not true of the real world. How did Euam explain this? He thought that human nature has two features, one is Wongakseong and the other Hyeulgakseong. Wongakseong stands for the pure mind and Hyeulgakseong the impure mind. And Hyeulgakseong creates Muljeongsim(the mind stained with the external objects) in the human mind. Vice arises from this very Muljeongsim. Then how should people cultivate the mind to attain to the human nature after they realize Euam`s idea of the structure of the mind? Euam`s way of cultivating the mind is to keep on reciting the 21 words with sincerity, which is not different with that of his two masters, Su-un and Haewol. However, he also presented a new way other than his two masters. His new way reminds us how minutely he searched the human mind.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at Euam developed two masters` way of cultivating of the mind and his new way has the connection with Mencius and Chu-tzu.

      • KCI등재

        수운 최제우의 수심(守心) 수양방법 연구-노자의 허심(虛心)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송봉구 ( Song Bong G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4 No.-

        이 논문은 수운의 마음을 지키는 수양법인 수심(守心)의 측면에서 노자의 마음을 비우는 수양법인 허심(虛心)을 비교한 것이다. 노자는 욕심으로 가득차 있는 마음을 비움으로써 작은 것에 만족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했고, 수운은 마음을 지킴으로써 올바른 기운을 만들어서 올바르지 못한 세력들을 막는데 자신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했다. 마음을 비우는 방법으로 노자는 사람의 감각기관의 사용을 자제해 분별의식을 최대한 낮추어 마음의 만족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노자의 마음을 비우는 방법을 찾아본 결과 어떻게 하면 감각기관을 최대한 적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달하는지 구체적 방법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수운의 마음을 지키는 방법 역시 사람의 감각기관을 이용했는데 주문을 외움으로써 마음을 바른 기운으로 가득차게 해서 나쁜 기운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수운의 마음을 지키는 방법의 특징은 감각기관의 사용을 최대한 적게 하는데 도달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다. 바로 주문을 외우는 것과 영부 주문을 사용하는 것이다. 주문과 영부는 둘 다 사람의 감각기관에 바로 보이는 구체적인 것이었다. 수운은 이것들을 기도를 통해서 받은 것이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것들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수운이 공부를 가르쳤던 대상이 글자를 모르는 일반 백성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운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주문과 영부를 제시한 것이다. 물론 이것들을 사용해도 한울님을 깨닫는 길은 쉽지 않다. 자신의 노력이 동반되지 않으면 결코 도달할 수 없다. 노자는 마음을 비움으로써 사치를 버리고 작은 것에 만족을 얻어 남에게 양보하는 삶을 살았다. 그래서 더욱 남에게 인정 받는 삶을 살았다. 수운은 마음을 지키고 바른 기운을 얻어서 전체 백성들을 한 마음으로 모을 수 있었다. 그래서 일본의 침략에 조직적으로 대응해서 비록 실패했지만 그래도 우리 민족의 굳건한 결의를 보여주었다. Lao-tzu could get what he tried to pursue by emptying his mind, while Su-un could achieve what he tried to pursue by bracing his mind. Lao-tzu meant that people could get complacency of his inner self trying to stop the sense organs and use the least sense. Su-un`s idea was also related to a sensory, but it was applied differently; citing the incantation could fill the person`s mind with good energy, which could prevent bad spirits from contaminating the mind. There is a realization here. Though both ideas seemed to start to go opposite directions, they destined to the same goal of peaceful and strong mind. Lao-tzu tried to get satisfied with his life by emptying his mind, which allowed him to devote his life for people. What Su-un did was encouraging people to cultivate their inner strength and good energy and got them together to fight against Japanese invasion. Even though the resistance was not succeeded, it showed strong will of Korean people to keep our nation from bad power. We are living in the era when people over the world all have hard time. There are global problems which threaten our lives. Wars, terrors, poverty, refugees, climate crisis are just examples which 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y concern. I hope that we can learn how to empty our mind from Lao-tzu and how to cultivate our positive energy from Su-un. Through the practice of mind, we could possibly get wisdoms to overcome the tough situation of the earth.

      • KCI등재

        홍익인간의 철학적 의미와 역사적 전개

        송봉구 ( Bong Gu S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6 No.-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Humanitarianism, the spirit of the foundation of Youngsan University and then see how it developed in the history of Korea. Humanitarianism is derived from the myth that in the ancient time Hwanoong, a son of God, came into the world and cultivated it by controling agriculture, life and disease, in order to benefit it. Why did he try to benefit the world even though there was no need to make it a better place to live. It is because he had a good will. Dangoon, a son of Hwanoong tried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to live, like his father. Dangoon`s mother was called Woongye, originally a bear that was changed into a person. She trained herself in a cave without sunlight, eating only garlic and mugwort because she had a vice as well as a virtue in her spirit, unlike Hwanoong who had no vice as a son of God. That was why she had to train herself to remove the vice in human being. Since Dangoon was a son of viceless Hwanoong and Woongye who got rid of vice, he also could cultivate the world without any reward. Humanitarianism developed in the history of Korea in many ways, and was also related to Cheonsung mountain near Youngsan University. Especially, Wonhyo and Su-un succeeded to Humanitarianism through Buddhism and Cheondogyo respectively. Wonhyo relized in the mountain that all the life is precious and gave an easy way to get to the truth of Buddhism to people who suffered the pains and turmoil in wars. Su-un also gave a way of cultivating the mind to people who had hard times in the last period of Chosen. When people find that they are great beings through these teachings, they will be able to live their happy lives. Youngsan University have to try to make students realize these teachings and this world a better place for everyone to live.

      • KCI등재

        일반논문 : 해월 최시형의 以心治心연구

        송봉구 ( Bong Gu S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9 No.-

        이 논문은 해월의 심과 수양론에 대해서 살펴 본 것이다. 해월은 미천한 집에 태어났지만 자신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자신이 모시고 있던 한울님 마음을 사용할 수 있는 위대한 인간이 되었다. 이 논문을 쓰게 된 의도도 어떻게 공부를 했기에 한울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사용하게 되었을까? 해월에 따르면 사람의 마음에는 한울님 마음과 사람의 마음이 있다고 했다. 한울님 마음은 너무나 크고 넓어서 무엇이라고 개념정의를 할수 없는 그 무엇이라고 했다. 이렇게 큰 한울마음은 일을 처리할 때는 밝게 알아서 처리하고, 사물을 대할 때는 공손하게 대할 줄 도 안다고 했다. 반대로 인심은 잘난체하는 마음, 교만하고 사치하는 마음, 탐욕하는 마음,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고 하는 마음 등을 의미한다고 했다. 해월이 바라본 인간은 이렇게 두 가지 마음을 가진 존재였다. 그리고 한울님 마음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정성을 다했는지 알 수 있다. 해월이 수련할 때 실행한 내용은 스승이 전해준 주문을 외우는 것이었다. 그 방법론이 수심정기와 이심치심이다. 수심정기는 사람의 욕심으로부터 한울님 마음을 지켜서 자신의 기운을 한울님 기운으로 변화시키는 것이고, 이심치심도 한울님마음으로 사람의 욕심을 다스리는 것이다. 해월은 구체적인 방법으로 항상 깨어있어라고 했다. 실제로 잠을 잘 때도 사람의 출입을알 수 있고, 말을 들을 수 있어야 할 정도로 항상 깨어있어 라고 했다. 해월은 모든 역경을 이겨내고 이런 과정들을 이루어냈다. 삶이 주는 위기 상황에서 새로운 길을 만들어 낸 것이다. 힘들게 살고 있는 오늘 이 시대에 해월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메시지는 아무리 힘든 상황이라도 수도를 하여 한울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해월의 심과 수양론을 살펴본 효과라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tudy Haewol`s way of cultivating the mind, in other words, how to put Hanul`s mind in the place of his own mind. He was born of humble origin, but got a thorough training and finally became a great man who can use Hanul`s mind, which is in human body. Haewol, one of Su-un`s disciples and the second leader of Donghak, said there are two kind of minds, Hanul`s mind and human mind. Hanul`s mind is so big and vast that it is what human beings cannot define. It treats worldly affairs impartially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respectfully. However, human mind is considered as full of an air of importance, arrogance, greed and discrimination. Haewol insisted that people control human mind with Hanul`s mind in order to live happy and dignified life. In fact, Haewol practiced 49 day self-cultivation several times while escaping from the government. This shows that Haewol did his best to put Hanul`s mind in the place of his own mind. Haewol kept on reciting the 21 word with sincerity. He tried to recite all day long.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usimjeonggi(守心正氣) and yisimchisim(以心治心) in the reciting. Susimjeonggi(守心正氣) means that we protect Hanul`s mind in the human body against greed and accept Hanul`s energy. Yisimchisim(以心治心) means that we control human greed with Hanul`s mind. He added that we should always stay awake, and awake enough to notice going in and out, and listening others even while sleeping. Haewol achieved this without being discouraged by adversity. He made his way in the middle of the crisis of his life. His message encourages us to overcome all the adversity of today by controling human mind, greed, with Hanul`s mind.

      • KCI등재

        해월 최시형의 수도법(修道法) 연구

        송봉구 ( Song Bong G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1 동양문화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해월 최시형의 수도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논문을 연구하게 된 계기는 최시형의 「수도법」을 읽고 최시형의 스승인 최제우의 수도법과 같으면서도 다른 점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같은 점은 21자 주문을 외우는 것이었고, 다른 점은 주문을 외우는 것 이외에 이치를 연구하는 것이다. 최시형은 주문을 외우는 것과 이치를 연구하는 것의 관계를 하나만 일방적으로 해서는 안 되고, 두 가지를 ‘겸전(兼全)’하고 ‘모앙(慕仰)’하는 마음의 자세를 유지하라고 하였다. ‘겸전’은 두 가지를 완벽하게 하는 것이고, ‘모앙’은 서로를 그리워하는 것이다. 곧 주문과 이치연구를 완벽하게 하면서도 서로를 잊지 않는 것이다. 이런 수도를 통해서 자신 안에 모시고 있는 한울님을 완벽하게 성장시켜 현실에서 조금도 모자람 없이 실천하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안에 한울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야 한다. 해월은 그 내용으로 수운의 「전팔절」과 「후팔절」을 인용하여 자신 안에 모셔진 한울님의 명제를 ‘명덕명도(明德命道)’라고 하였다. 또 하나는 ‘인시천(人是天)’과 ‘물물천(物物天)’이다. 두 개념의 의미는 사람과 만물은 모두 한울님을 모시고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런 전제하에 수도하는 방법과 자세를 서술하고자 한다. 방법은 주문을 외우는 것과 이치를 연구하는 것이다. 21자 주문을 열심히 외우면 마음이 한곳에 집중되어 잡념이 들어올 틈이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승 최제우가 저술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의 내용을 공부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한울님은 어떤 존재이고 현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과정을 이해하게 되어 동학의 가르침을 펼치는 데 많은 도움을 받게 된다. 공부하는 자세로는 ‘성경외심(誠敬畏心)’을 서술하고자 한다. 정성·공경·두려움·마음 등의 자세로 주문을 외우고 경전의 이치를 연구한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tudy Haewol’s way of cultivating Hanul's Mind. His way was originated from Su-un, his master, who taught him that it is essential to recite the spell of 21 words in order to cultivate the Mind. And Haewol thought that in addition to reciting the spell, it is also important to learn the Scriptures, Su-un’s writings. He emphasized that we have to try to pursue and be perfect in two points, and should not be biased toward only one side. And he said that we can cultivate Hanul's Mind in ourselves by keeping the attitude to adore Hanul with two points. How can we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Hanul? Haewol thought that we can perceive the existence of “Hanul as Being of Wisom, Virtue, Fate and Tao” by citing the First Eight Phases and the Second Eight Phrases, Su-un’s writings. Also he asserted that we can know the existence of Hanul through 「Hanul in human beings and things」. Haewol’s way of cultivating Hanul's mind is based on this idea of the existence of Hanul. When the spell of 21 words are recited intensively, any worldly thoughts cannot be in our mind, and Hanul’s Mind can be cultivated. Under this condition of our mind, we need to learn Su-un’s wrintings, 「Dongkyungdaejeon」 and 「Yongdamyusa」. and can understand the existence of Hanul and the process of Hanul’s manifestation in real life. Furthermore, we can raise up their own lives and others’ lives. So when we recite the spell and learn the Scriptures. we need to do that with sincerity, reverence, awe and wholeheartedness. Haewol’s unique way of cultivating Hanul's mind must be more helpful in our understanding the exisentence of Hanul and the core of Dongh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