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상 건설환경에서의 딥러닝 기반 폐색영역 검출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김경수(K. S. Kim),이재인(J. I. Lee),곽석우(S. W. Gwak),강원률(W.R. Kang),신대영(D.Y. Shin),황성호(S. H. Hwang)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21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In this paper, a method for constructing and verifying datasets used in deep learning technology is propos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The virtual construction simulator was developed to implement various construction environments, and custom data in the virtual environment was set to diversify the location and parameters of the sensors. A database for real-time deep learning models was built and detected at the pixel level to detect uneven roads and objects in the construction site. When deep learning-based detection is performed, it may interfere with the accurate judgment due to occlusion areas hidden by other objects. Therefore, the database for developing the occlusion area detection algorithm in virtual environments was constructed and verified.

      • KCI등재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교수 중재 연구 동향 고찰

        송명숙(Song Myoung-Suk),이숙향(Lee Suk-Hyang)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협력교수 관련 연구 중 통합교육 상황에서 실시된 협력교수 중재 연구 총 12편을 선정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 및 중재특성, 현장적용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문헌분석 결과 첫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교수 중재 연구는 주로 집단설계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유·초등학교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연구참여자 중에서 중재효과를 측정한 대상은 대부분 장애학생이었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중재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매우 낮았다. 둘째, 독립변인 중재유형은 교과목과 연계하여 협력교수를 실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종속변인은 학업 성취도, 참여도, 인식과 태도 등으로 매우 다양했다. 셋째, 협력교수의 현장적용 방안을 위한 실행요인 분석결과 대부분 교사간 협의와 협력교수 프로그램 계획, 역할과 책임공유 및 특별한 전략이나 기술사용, 학생성취 및 프로그램 운영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특성에 따라 다양한 협력교수 유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협력교수의 현장적용 및 후속연구 방향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되었다:1) 협력교수 적용대상의 확대, 2) 학교급 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협력교수 연계, 3) 협력교수 실행요인 및 유형별적용, 4) 행·재정적 지원체계 확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and intervention features regarding co-teaching implemented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2 to 2019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First, most studies used group comparison design and implemented in preschools or elementary schools. Aslo, intervention effects were measured mostl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ies examined the intervention effects for teachers were very few. Second, regarding independent variable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type was co-teaching linked to subject areas. Various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tion, cognition and attitude. Third, as core implementation factors for inclusive education, teachers’meetings for co-teaching, co-teaching program plan, role and responsibility sharing, and special strategies or skills, student achievement, and program management were addressed in most studies. Various co-teaching types were used considering different lesson plans or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as follows:1) extending the participants who co-teaching targeted for, 2) implementing effective co-teaching considering school features across difference school levels, 3) applying implementation factors and types of co-teaching, and 4) enhanc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ing systems.

      • KCI등재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 ( Lee Suk-hyang ),안혜신 ( An Hye-sin ),정정은 ( Jung Jung-eun ),송명숙 ( Song Myoung-su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14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과 경험,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지도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한 부모를 3개 소그룹별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면담을 진행하였고, 5개월 후 유지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10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자료와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수집된 질적자료를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7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프로그램 참여 이전 양육태도, 2) 유용한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요소, 3) 자기결정 지도방법 및 팁, 4) 자기결정지도 및 유지의 어려움, 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지도방법의 변화, 6) 자녀 및 가족의 변화, 7) 프로그램 개선방안 및 자기결정 관련 지원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양육태도의 변화를 통한 교수 기회의 증가 및 자녀 변화, 2) 자녀의 특성 및 요구중심의 수준별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3) 학교 및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전문가 연수 강화, 4) 장기적인 미래계획 수행을 위한 협력 및 제도적 지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14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Support Program for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t Home. For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participants across three groups after program was terminated, and then five month later,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ents during maintenance test.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seven themes emerged as follows: (a) parenting attitudes before program participation, (b) useful program contents and components, (c) methods and tips for teaching self-determination, (d) difficulties in teaching self-determination and its maintenance, (e) changes in parenting attitudes and teaching methods, (f) changes in children and families, and (g) ways to improve program and support needs regarding promoting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home and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such as (a) increased opportunities for promoting self-determination and children’s development by changes of parenting attitudes, (b)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program based on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needs, (c) enhancement of in-service training for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home, and (d) collabor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long term future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