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인세평준화와 이익조정이 세무조정에 미치는 영향

        양규혁(Kyu-Heak Yang),최강득(Kang-Deuk Choi),선정규(Jung-Kew Sun) 한국산업경영학회 2009 경영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법인세평준화와 이익조정이 한국 상장기업의 세무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 세무계획가설이 의미하고 있는 맥락에서 경영자가 세무조정 관련 의사결정에서 세금비용과 비세금비용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관련 선행연구들에서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 중에서 경영자가 재량으로 결정할 수 있는 부분과 재량으로 결정할 수 없는 부분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익조정 관련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재량 발생액 측정방법을 원용하여 재량 세무조정(DTR)을 측정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였고, 세무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금비용 변수로는 기업들의 법인세평준화 경향을 감안하여 법인세납부액의 예상변동(TAXVAR)을 사용하였다. 또 비세금비용 변수로는 기업의 이익조정액(DA)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에는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된 1,001개 기업의 세금신고서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에서 세무조정액을 측정하기 위한 과세소득은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과 과세표준의 두 가지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과세표준을 적용하여 계산한 재량 세무조정액(DTR2)은 세금비용과 비세금비용, 그리고 세금비용과 비세금비용의 상호작용항 세 가지 모두와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을 적용하여 계산한 재량 세무조정액(DTR1)은 비세금비용과 상호작용항의 두 가지에서만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경영자들이 세무조정 의사결정에서 세금비용 뿐만 아니라 비세금비용도 동시에 고려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 보다는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세무조정 의사결정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choles and Wolfson (1992)에서 제시하고 있는 효과적 세무계획가설에 대한 실증적 증거로서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orporate income tax smoothing and earning management on Korean firm's tax reconciliation. This study develops a model considering the trade off between tax costs and nontax costs in the decision making related to tax reconciliation in the context suggested by the effective tax planning hypothesis. In this model, discretionary tax reconciliation(DTR) is introduced to extend the research paradigm of the book-tax income difference. DTR is measured by the similar method to discretionary accruals measurement, and measured for two taxable income definition of the tax base and the income of each business year. The expected income tax variance (TAXVAR) is used as a proxy for tax cost to reflect corporate tax smoothing hypothesis and nontax cost is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DA). This study conducts using firm-level tax return data of 1,001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during 2000-2002.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TR and TAXVAR, between DTR and DA, between DTR and an interaction term for firm's TAXVAR and DA.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TR1 measured by the income of each business year and TAXVAR. This means that the tax base is better proxy of taxable income rather than the income of each business year. These results imply that managers of listed firms consider nontax costs as well as tax costs in the decision making related to tax reconciliatio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empirical evidence to the effective tax planning hypothesis suggested by Scholes and Wolfson(1992).

      • KCI등재후보

        이익관리와 법인세평준화 동인의 세금관리가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차이에 미치는 영향

        최강득(Choi Kang-Deuk),양규혁(Yang Kyu-Heak),선정규(Sun Jung-Kew) 한국국제회계학회 2008 국제회계연구 Vol.0 No.24

        본 연구는 효과적 세무계획가설이 의미하고 있는 맥락에서 경영자가 재무보고이익 및 세무보고이익 의사결정에서 비세금비용과 세금비용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비세금비용의 대용변수로 기업의 재량발생액(DA)을 사용하고, 세금비용의 대용변수로 법인세부담액의 예상변동(TAXVAR)을 사용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세금비용의 대용변수로 조세혜택치나 한계세율 등과 같은 단기적 법인세최소화 관점의 대용변수 대신에 법인세평준화를 나타내는 법인세부담액의 예상변동을 세금비용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여 효과적 세무계획기설을 검증하고 있다. 아울러, 과세소득 측정방법별로 BTD를 세분화하여 종속변수를 달리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BTD측정치에 따라 경영자의 이익ㆍ세금관리 의사결정의 동인들이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중회귀분석결과 과세소득을 어떻게 측정하던지 간에 BTD는 세금비용(TAXVAR)과 비세금비용(DA) 모두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속변수로 BTD1을 사용한 경우 보다는 BTD2를 사용한 경우가, 종속변수로 BTD2를 사용한 경우보다는 BTD3를 사용한 경우에 모형의 설명력(adj R²)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경영자들이 이익ㆍ세금관리 의사결정에서 세금비용 뿐만 아니라 비세금비용도 동시에 고려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경영자의 장기적인 이익ㆍ세금관리 의사결정의 동기를 파악함에 있어서 BTD를 이익ㆍ세금관리의 결과변수로 사용할 경우 경영자의 세금관리 수단이 모두 반영된 추정과세소득을 사용하는 경우에 더 큰 모형 설명력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orporate income tax smoothing and earnings and tax management on Korean firm's Book-Tax Income Differences in the context suggested by the effective tax planning hypothesis. This study uses three measures of taxable income (the income of each business year, tax base income and estimated taxable income) calculating dependant variables (firm's Book-Tax Income Differences) to confirm what the results are depending on three taxable income proxies. The expected income tax variance (TAXVAR) is used as a proxy for tax cost to reflect corporate tax smoothing hypothesis, and discretionary accruals (DA) is used as a proxy for nontax cost (or at least nontax and tax cost reflected no tax smoothing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s using firm-level tax return data of 1,011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during 2000-2002.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TD and TAXVAR, between BTD and DA.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AXVAR and BTDl measured by the income of each business year. Second, Adj R2 of model that used dependant variable (BTD3) measured by estimated taxable income is much higher than those of models that used dependant variables measured by the income of each business year and tax base income.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managers of listed firms consider nontax costs as well as lax costs in the decision making related to earnings and tax management. These results also imply manager's earnings and tax managements have been observed easily in using a taxable income proxy reflects much inform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