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디자인의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어린이 보호펜스를 중심으로-

        서혜옥(주저자) ( Hye Ock Seo ),송환중(공동저자) ( Hwan Jung So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6 No.-

        도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공공시설물 중하나인 보호펜스는 단순히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이 아니라 거리를 오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시의이미지를 전달하여 인식하고 기억할 수 있게 도와주는도시와 인간의 소통의 공간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산업화 이후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무질서한 디자인이나 색상 등이 주변 환경과 부조화를 이루고 있고 각 도시들은 그 고유성을 잃었다. 도시 전반적으로 난잡하고 지역적 특성 없이 일률적으로 설치되어 시민들에게 무관심으로 일관된 채 방치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현재 설치된 보호펜스 등을 도시이미지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형태, 재질, 색채 등 다각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시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을 설치한다면, 도시는 더욱 아름다워 지고 주민들과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는 공간이 되며 다른 도시와는 차별화되는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tection Fence, one of the most important public facilities in constituting the city, is not just a facility to simply protect the pedestrian but also to help them to recognize and remember the image of the city as the Human-City Communication Spac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after the industrialization, there are plenty of disordered design and color makes disharmony to the environment and each city has lost of their own uniqueness. Since the Protection Fence has been installed disorderly and uniformly without the characteristic of each city, it has been neglected by the citizen who hardly have an attention.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e Protection Fence’ is to investigate and analyse based on the necessity of city images such as form, color, quality of the material and etc. If we installed The Protection Fence which is satisfied by the citizen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analysis, the city will be more beautiful and thespace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유아 TV프로그램 캐릭터디자인에 대한 연구 -정서적 발달을 중심으로-

        임혜리(주저자) ( Hye Ri Lim ),서혜옥(교신저자) ( Hye Ock 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0 No.-

        현 시대에 있어서 캐릭터는 인터넷과 tv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로 사용되면서 즐거움만 주는 것만이 아닌 교육성도 함께 담고 있는 캐릭터로 유아들에게 친숙하게 접근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tv매체를 통한 유아용 프로그램에서 보여 지는 캐릭터가 유아에게 단순한 흥미를 주는것이 아닌 즐거움과 동시에 교육적인 내용 또한 제공하는 유아의 지도자 역할로서 유아 발달을 고려한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국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2개의 tv프로그램안에서 보이는 캐릭터의 디자인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유아의 정서적 발달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In the contemporary, there is the trend that as characters are used as various digital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and TV, they are the characters which not only give pleasure but also hav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y are approaching infants familiarly.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hat the characters which are shown in program for infants through TV media do not simply interest infants but play a role of leader of infant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s as well as pleasure and designs which consider development of infant are applied. In this thesis, we are to analyze mainly the design of characters for shown in 2 TV programs which gain popularity in the country recently and to find out if they are design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 KCI등재

        공사장 가림막의 디자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김나영(주저자) ( Na Young Kim ),서혜옥(교신저자) ( Hye Ock 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건축물의 용도별로 공공시설물에서의펜스 디자인이 공사장 가림막으로써의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어떻게 주변의 건축물의 환경과 조화롭게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하는 데에 그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를 중심으로 현재까지의 공사장 가림막에 디자인적인 특성이 적용된 유동인구가 많은 종로구, 중구, 노원구, 용산구 에서 사례를 선정하여 서울시 공사용 임시시설물 디자인가이드 라인에 제시된 4가지 유형에 의해 디자인 유형을 구분하였다. 서울시 공공시설물 가이드 라인에서 정의한 기능성,통합성, 안전성, 보편성, 환경성, 연속성, 정체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보았을 때, 공공시설물에서 공사장 가림막은 기본적인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지만, 공사장 가림막에서의 디자인 요소들은 무분별한 변화만 추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사장 가림막을 지역별로 무분별한 디자인을 하기보다는 건축물의 사용 목적별로 공사장 가림막의 특성을 부각시켜 공공 시설물의 디자인이 주변 건축물과 조화롭게 형성되기 위해 본 연구가 후속 공사장 가림막에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urpose of study is to know about how fence design in public facility functions as a construction fence and how the fence design is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of buildings. In this study, 4 design types based on ‘design guideline of temporary facility on construction for Seoul’ are distinguished by selecting cases in Jongro-gu, Jung-gu, Nowon-gu, Youngsan-gu where well-applied to design of construction fence and have plenty of floating population. Also, this study is analyzed based on functionality, integrity, stability, universality, environment effect, continuity, identity that defined in Seoul design public guidelines. As a result, construction fence in public facility assures basic stability. However, I could recognize that design factors of construction fence indiscriminately pursue many changes. Instead of abusing design for construction fence, characters of construction fence should be remarked according to purposes in order to be harmony between surrounding buildings and public facility.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basic line data for further development of construction fence.

      • KCI등재

        웹 사이트 디자인 표현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테마파크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김민정(주저자) ( Min Jung Kim ),서혜옥(공동저자) ( Hye Ock 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2 No.-

        테마파크를 찾는 사람들이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미리 테마파크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좀 더 유익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웹 사이트 방문자수가 점차 늘고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들을 위한 좀 더 많은 볼거리에 대한 정보와 재미있는 이미지로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사이트가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테마파크 홈페이지 방문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네가지 공간적 분류방법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시각적요소와 사용자 편의성의 사례를 분석하고 사용자 경험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한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여러 우수 사이트의 강점과 UI/UX를 고려한 디자인분석으로 새롭게 개편하는 홈페이지 구축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Seeking to provide a more informative website using pre-Theme Park theme park so that people find it increasingly easy to enjoy the website visitors. Therefore creative with fun images and more information about the many attractions for users and showcasing the distinctive site. The present study is to derive an improvement on the elements for analyzing the case of the visual elements and user-friendly Web site by using the four spatial classification for the satisfaction of the Main ThemePark visitors and threaten the user experience. The party actively helping to build a website that reorganization reflected in the new design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the strengths and UI / UX several good sites on the basis of him.

      • KCI등재

        어린이도서관 공간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 적용에 관한 연구

        김유리(주저자) ( Yu Ri Kim ),서혜옥(교신저자) ( Hye Ock 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0 No.-

        어린이 도서관의 기능이 ‘독서’에서 비롯하여 각종문화, 놀이 활동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는 책을 쉽게 접하고 놀이와 같은 활동으로 독서를 장려하기 위함일 것이다. 때문에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캐릭터의 활용은 어린이들이 도서관을 더욱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매개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캐릭터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사례조사를 통하여 캐릭터 적용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공간에 사용된 캐릭터의 종류와 주로 적용되고 있는 영역을 분석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의 4개관의 어린이 도서관의메인 캐릭터와 그 캐릭터의 적용 영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어린이 도서관의 영역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고 그 중 도서관 이용객을 위한 공간인 자료 열람 공간과 특별 활동 공간, 서비스 공간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4개관 중 동작어린이도서관에서만 메인캐릭터가 있었으나, 메인 캐릭터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형식이 아닌, 공간 내 구성요소에 따라 개별적으로 일러스트와 캐릭터가 적용 되어있었다. 나머지 3개관의 캐릭터 사용 형식도 위와 같았다. 따라서 어린이 도서관을 대표하는 캐릭터 개발이 시급하며, 캐릭터가 이미 있는 경우, 공간 내 구성요소에 변형하여 사용하는 방향을 물색해야 하겠다. 이는 어린이 도서관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도서관 서비스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린이들의 독서학습 효과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Has been extended to culture, play areas to develop in ``reading`` the ability of the children``s library. This would be intended to encourage play and activities such as reading a book easy contact.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diator in children may feel more familiar with the library of characters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image is bright and positive.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character, the character investigated through case studies were applied into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rea, and the type and mainly used in the application of the character space. We investigate the coverage area of the four main characters of the children``s library in Seoul, based on this character. The area of children``s library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 and investigated around the room for guests to library material and reading space activities space, service space. As a result, the main character, but the only Dong-jak children``s library of four children``s library, were applied separately in space and character illustration format used by the main character, not deformed. Like the other three character format is also used for children above the library. Therefore, the character development that represents the children``s library and the urgently, if you already have a character that I will be looking for a way to use the transformation in space. This affects the image of the children``s library has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library services can be expected, I expect to be a great help in reading children``s learning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