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변형 체내 표지법에 의한 적혈구 표지시 결합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평가

        서한경,Seo Han-Kyung 대한방사선사협회 2004 대한방사선사협회지 Vol.30 No.1

        Purpose : We underwent this study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labelling efficiency when modified in vivo erythrocyte labeling technique was used.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 healthy volunteers (M : F = 19 : 11, age : 25$\pm$2yrs)

      • SCOPUSKCI등재

        An Artifact Caused by Using the Inadequate Acquisition Parameter in Tc-99m ECD Brain Perfusion SPECT

        서한경,김민우,임석태,손명희,Seo, Han-Kyung,Kim, Min-Woo,Lim, Seok-Tae,Sohn, Myung-Hee The Korea Society of Nuclear Medicine 2004 핵의학 분자영상 Vol.37 No.5

        Although artifacts in tomographic imaging can arise from a number of sources, this case presents an artifact caused by using inadequate acquisition parameters which do not match the collimator with which a camera equipped in Tc-99m ECD brain SPECT. Whenever the collimator in tomographic studies is changed, we should take care to use suitable parameters of acquisi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collimator with which a camera is fitted. Other ways to prevent an error of this type is to use a point source.

      • (n,γ)<sup>99</sup>Mo를 이용한 <sup>99</sup>Mo-<sup>99m</sup>Tc발생기의 유용성 평가

        서한경,김정호,심철민,김병철,최도철,권용주,박영순,김동윤,Seo, Han Kyung,Kim, Jeong Ho,Shim, Cheol Min,Kim, Byung Cheol,Choi, Do Cheol,Gwon, Yong Ju,Park, Yung Sun,Kim, Dong Yu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3 핵의학 기술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되고 있는 $(n,{\gamma})^{99}Mo/^{99m}Tc$발생기의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의학적 유효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조된 $(n,{\gamma})^{99}Mo/^{99m}Tc$발생기를 이용하여 $^{99m}Tc$ 용출 방사능량 시험, $^{99m}Tc$정도평가, $^{99m}Tc-DPD$, $^{99m}Tc-tetrafomin$ 표지수율 및 동물영상 평가를 진행하였다. 용출 방사능양은 상용 제품에 동일 용량에 비해 다소 적었으나, 발열성 물질 검사를 제외한 전영역의 $^{9m}Tc$정 도평가 실험에서 정상범위를 나타냈다. 표지 수율도 90% 이상 높은 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 $^{99m}Tc-HDP$와 $^{99m}Tc-DPD$를 주입한 쥐 영상에서 한국 원자력 연구원 발생기는 모두 간과 비장의 집적을 관찰할 수 있었고 간과 비장은 상용발생기 일부에서도 관찰되었다. 이에 원자력 연구원 발생기는 발열성 물질을 제거한다면 비상시 훌륭한 대체 발생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Purpose: The Molybdenum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99}Mo-^{99m}Tc$ generator is produced from the nuclear reactor. However, output has dwindled as the two nuclear reactors supplying the bulk of radioactive material-one in Chalk River, Ontario and the other in Petten, the Netherlands-have been closed for repairs or maintenance. This resulted in the enhancement of its price. So $^{99}Mo-^{99m}Tc$ generator using$(n,{\gamma})^{99}Mo$ is developed b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Medicinal availability of this generator is evaluated in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radioactivity of $^{99m}Tc$ eluted in generator 1, 2 and 3 unit developed by KAERI was measured. The quality control test of generator such as appearance test, pH test, LAL test, sterility test, chemical impurity (Al) test and radiochemical purity test were performed. Planar and SPECT/CT image sof SD rat (6 weeks, Female) at 2 hr after injection of $^{99m}Tc-HDP$ (hydroxymethylenediphosphonate) (TechneScan HDP, Malinckrodt Medical, Dutch) and $^{99m}Tc-DPD$ (diphosphono-1, 2-propanedicarboxylicacid) (TECEOS, CIS bio international, France) which were labeled with $^{99m}Tc$ eluted in KAERI and commercial generator (40.5 GBq, Malinckrodt Medical, Dutch) using SPECT/CT camera (Symbia, Siemense, Germany) were obtained respectively. Results: The mean radioactivity of $^{99m}Tc$ elution generator 1unit was 4.18 GBq (113 mCi), generator 2 unit was 4.73 GBq (128 mCi) and generator 3 unit was 3.33 GBq (90 mCi). All quality control tests were within normal limit except pyrogentest. Pyrogen test was positive. Planar and SPECT/CT images of rat injected $^{99m}Tc-HDP$ which was labeled with $^{99m}Tc$ eluted in commercial generator show increased uptake in bone, stomach and bowl. Planar images show increased uptake in liver and bone in case of $^{99m}Tc-DPD$. However, images of rat injected $^{99m}Tc-HDP$ and $^{99m}Tc-DPD$ which were labelled $^{99m}Tc$ eluted in KAERI generator show increased uptake in bone, liver and spleen. Conclusion: If shortcoming is removed such as pyrogen and liver appearance, domestic role as an alternative generator is thought to be able to fill and to secure the national medical service by supplying $^{99m}Tc$ when the supply of $^{99m}Tc$ be comes short.

      • $^{99m}Tc$ 발생기의 24시간 내 2회 용출의 유용성 평가

        김정호,서한경,정영환,김영수,김병철,권용주,이정옥,박영순,김동윤,Kim, Jeong-Ho,Seo, Han-Kyung,Jeong, Yeong-Hwan,Kim, Yeong-Su,Kim, Byung-Cheol,Gwon, Yong-Ju,Lee, Jeong-Ok,Park, Yeong-Sun,Kim, Dong-Yu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2

        $^{99}Mo$-$^{99m}Tc$ 발생기의 원료물질인 몰리브덴은 원자로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현재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공급하는 두 원자로인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크리버(Chalk River)와 네덜란드 페튼(Petten) 원자로의 노후화로 인한 유지 보수로 가동이 정지된 이후세계적인 몰리브덴 품귀 현상은 발생기 공급차질로 이어 지고있다. 이에 저자들은 발생기의 효율적인 운용 방법을 찾아 $^{99m}Tc$ 생산량을 증가 시키고 그 결과로 얻은$^{99m}Tc$의 안전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정일자가 동일한 두 대의 발생기(Malinckrodt Medical, Dutch), 40.5 GBq (1500 mCi)를 이용하여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5일 동안 1회/일(24시간 주기, 오전8시 용출) 총 5회 용출한 $^{99m}Tc$의 방사능과, 5일 동안 2회/일(오전8시와 오후1시 용출) 총 10회 용출한 $^{99m}Tc$의 방사능을 비교 분석 하였다. 용출된 $^{99m}Tc$의 안정성을 $^{99}Mo$-$^{99m}Tc$ 발생기 정도 관리 항목 중 성상 검사, pH 검사, 발열성 물질 검사(LAL test), 무균 검사, 발생기의 화학 순도 검사, 방사화학적 순도 검사, 방사성 핵종의 순도 검사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24시간 주기로 주 5회 용출한 $^{99m}Tc$의 총 방사능은 평균 168.2 GBq (4545 mCi)였고, 24시간 주기 용출 방법에 오후1시 추가 용출을 실시하여 주 10회 용출한 $^{99m}Tc$의 총 방사능은 평균 230.5 GBq (6230 mCi)로 24시간 주기의 주 5회 용출한 방사능보다 총 62.3 GBq (1685 mCi), 일 평균 12.46 GBq (337 mCi)로 전체 용출 방사능이 27.04% 증가 하였으며 각 시간 별로 얻어진 $^{99m}Tc$의 정도 관리는 정상 범위 내에 있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2회/일 용출방법이 1회/일 용출방법보다 62.3 GBq (1685 mCi)의 더 많은 방사능의 $^{99m}Tc$을 생산 할 수 있었으며 각 시간 별로 얻어진 $^{99m}Tc$의 정도 관리는 정상 범위 내에 있었다. 이에 따라 각 시간 별로 용출된 $^{99m}Tc$을 방사성 표지 화합물과 결합시켜 검사를 시행하여도 무관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Molybdenum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99}Mo$-$^{99m}Tc$ generator (generator) is produced from the nuclear reactor. However, output has dwindled as the two nuclear reactors supplying the bulk of radioactive material-one in Chalk River, Ontario and the other in Petten, the Netherlands-have been closed for repairs or maintenance. This resulted in the enhancement of its price. Therefore we have tried to seek the new method which could run generator to increase activity of $^{99m}Tc$ in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99m}Tc$ activity obtained from 5 times elution for 5 days from Monday to Friday using two generators was compared with 10 times elution. Appearance test, pH test, LAL test, sterility test, chemical impurity(Al) test, radio chemical purity test, ratio of $^{99}Mo$/$^{99m}Tc$ activity test have been done to check the stability of $^{99m}Tc$ eluting from generator respectively. Results: The $^{99m}Tc$ activity obtained from 5 times elution for 5 days was 168.2 GBq (4545 mCi) and 10 times was 230.5 GBq (6230 mCi). All quality control tests were within normal limit. Conclusion: We got to know that 2 times elution a day obtained more $^{99m}Tc$ activity than one time elution in this study.

      • Phytat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 시 Filter의 유용성 평가

        정영환,서한경,심철민,임성동,한동현,박영순,김동윤,Jeong, Yeong-Hwan,Seo, Han-Kyung,Shim, Cheol-Min,Lim, Seong-Dong,Han, Dong-Hyeon,Park, Yung-Sun,Kim, Dong-Yu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1

        감시림프절 검사에는 $^{99m}Tc$-ASC, $^{99m}Tc$-Tin colloid, $^{99m}Tc$-HSA 등이 사용되었으나 공급 제한으로 간 스캔에 사용되고 있는 $^{99m}Tc$-phytate를 대체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phytate의 입자 크기 분포를 알아보고 200 nm 필터 사용유무에 따른 영상을 획득 분석하여 감시림프절 검사 시 필터 사용의 적절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Photal사의 ELS-8000 장비를 이용하여 phytate kit의 입자크기 분포를 측정 하였다. 동물 실험은 생후 12~15주령, 체중 250~300 g 암컷 백서를 사용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앙와 위로 고정시켜 영상을 획득하였다. 비교군으로 여과시키지 않은 $^{99m}Tc$-phytate를 실험군으로는 200 n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99m}Tc$-phytate를 백서의 발가락 사이에 피하주사 하였다. 6마리의 백서를 3~4일 간격으로 비교군과 대조군으로 그룹을 나누어 2회씩 실시 하였으며, 주사 후 1시간 지연영상을 얻은 후 서혜부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였으며 비정상적인 집적이 없는 부위를 선별하여 픽셀당 카운트를 얻었다. 세포 실험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비교군과 실험군에 $^{99m}Tc$-phytate를 넣어주고 30분 동안 배양시켜 감마카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분 당 카운트 값을 측정하였다. 이 값들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검정하였다. Phytate를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후 측정 결과 평균 직경은 130~650 nm가 $85{\pm}5%$ 정도였으나 200 n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의 입자 크기는 용매 내 phytate 입자의 농도가 너무 낮아 측정할 수 없었다. 획득한 영상을 분석한 결과 비교군에서는 $60.2{\pm}4.88$ count/pixel, 실험군에서는 $58.3{\pm}5.97$ count/pixel 값을 보였다. 세포 실험에서 실험군의 카운트 값은 $17,152{\pm}1,165$ cpm이고 비교군은 $16,908{\pm}1,075$ cpm을 보였다. 동물 실험과 마찬가지로 세포 실험에서도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phytate의 사이즈가 매우 분산적이며 균일하지 못 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동물 실험과 세포실험을 통한 필터 사용의 적절성을 판단한 결과 phytat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에서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in phytate kit and compare filtered method with non-filtered method using 200 nm filter for sentinel lymphoscintigraphy (SLS). Materials and Methods: Five phytate kit of having the same available period was measured by particle size analyzer. For in-vivo experiment, $^{99m}Tc$-phytate was injected intradermally at both foot to perform lymphoscintigraphy. Imaging was acquired at 1hour after injection. Region of interest (ROI) was drawn in inguinal and background area for analysis. RAW 264.7 cells (Murine macrophage cell) were prepared for measurement of celluar uptake as a representative of macrophages. 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SPSS Inc, USA)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size of most particle in Techne phytate kit was distributed in 130~650 nm(90.5 %). In-vivo study, the ROI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 between filtered and non-filtered sample, and the numerical value of count/pixel were $58.3{\pm}5.97$ and $60.2{\pm}4.88$. In-vitro study, cellular uptake study also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iltered and non-filtered sample by gamma counting.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was no meaning of 200 nm filtered method for SLS using $^{99m}Tc$-phytate.

      • Estradiol 검사 시 방사성 추적자의 희석시간에 대한 고찰

        이혜연,서한경,장이선,김희정,Lee, Hae Yeon,Seo, Han Kyung,Jang, Yi Sun,Kim, Hee Jeoung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7 핵의학 기술 Vol.21 No.2

        목적: Estradiol ($E_2$)은 주로 여성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성 호르몬으로서 부인과 질환, 월경주기, 폐경, 소아의 성조숙 증 등의 진단에 유용한 지표이다. $E_2$ 농도 측정은 $^{125}I$이 표지된 $E^2$ 항원을 키트 내 설명서에 따라 검사 전 $^{125}I$ 추적자 원액과 추적자 완충액을 희석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희석시간에 대해 정확히 명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희석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를 바탕으로 적절한 희석시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본원에 의뢰된 $E^2$ 검체 중 8~4577 pg/mL의 농도를 가진 서로 다른 60개의 검체를 저, 중, 고농도로 나누었다. $^{125}I$ 추적자의 희석은 약 230 RPM 교반기에서 각각 30분, 1시간 30분, 2시간 30분 동안 실시하였고, 24시간 희석은 가볍게 흔들어 냉장보관 하였다. 측정키트는 RIA ESTRADIOL (Beckman Coulter, Czech Republic)을 사용하였다. 희석시간에 따른 결과 값의 차이 및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SPSS 18.0을 이용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여 Kruskal-Wallis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각 시간대 별로 절대오차의 사분위수 범위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농도에 따라 저, 중, 고농도로 나누어 Kruskal-Wallis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각 농도별로 희석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각 시간대 별 절대 오차의 사분위수 범위는 저농도의 30분과 1시간 30분 사이에 0.105, 1시간 30분과 2시간 30분 사이에 0.052 이다. 중농도에서는 30분과 1시간 30분 사이에 0.062, 1시간 30분과 2시간 30분 사이에 0.038 이다. 고농도에서는 1시간 30분과 2시간 30분 사이에 0.029, 2시간 30분과 24시간 사이에 0.06 이다. 결론: 희석시간을 다르게 하여 측정한 결과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희석시간대 별 절대오차의 사분위수 범위를 보아 1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 희석하여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오차를 줄여 재현성을 높이는 적절한 희석시간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Estradiol (E2) is a steroid hormone mainly produced in women and is a useful indicator for diagnosis of gynecological diseases, menstrual cycle, menopause, and precocious puberty. E2 measurement is performed by diluting the $^{125}I$ radioactive tracer and tracer buffer in the kit. However, It was not precisely specified when the period of tracer is available after activ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dilution time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with dilution time.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2016 to February 2017, 60 E2 samples with concentrations ranging from 8 to 4577 pg/mL were divided into low,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s. Dilution of the $^{125}I$ tracer was performed on a 230 RPM agitator for 30 minutes, 1 hour 30 minutes, and 2 hours 30 minutes, respectively. 24 hour dilution was gently shaken and refrigerated. To verify the difference and significance of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dilution time, a test of normality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and analyzed by Kruskal-Wallis test. The measured value according to the dilution time was compared with the interquartile range of the absolute error. Results The results of Kruskal-Wallis test were not significant (P>0.05). Measurement results are showed as interquartile range of absolute error. At low concentration, it is 0.052 between 1 hour 30 minutes and 2 hours 30 minutes, and 0.105 between 30 minutes and 1 hour 30 minutes. At medium concentration, 0.062 between 30 minutes and 1 hour 30 minutes, and 0.038 between 1 hour 30 minutes and 2 hours 30 minutes. At high concentration, it is 0.029 between 1 hour 30 minutes and 2 hours 30 minutes, and 0.06 between 2 hours 30 minutes and 24 hours. Conclus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is the smallest between 1 hour and 30 minutes to 2 hours and 30 minutes. Therefore, we recommend diluting time between 1 hour 30 minutes and 2 hours 30 min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