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령어 배치 인식을 활용한 AR 코딩퍼즐 모바일앱 개발

        서범주(Beomjoo Seo),조성현(Sung Hyun Cho) 한국게임학회 2020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코딩교육 플랫폼인 코딩퍼즐 시스템에서 학습자들이 직접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탠저블 블록형태로 제작된 코딩퍼즐 입력용 명령어들의 배치를 증강현실 환경에서 제한 시간 안에 안정적으로 다수의 블록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시스템의 설계 및 배치 인식 성능 측정 결과를 제시한다. 그 결과, 5초 이내로 30개 이상의 탠저블 블록 형태의 명령어들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본 인식시스템을 기존 코딩퍼즐 모바일 앱에 성공적으로 이식하였으며, 블루투스에 연동되는 모바일 앱을 통해 IoT 로봇을 구동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reliable command placement recognition algorithm using tangible commands blocks developed for our coding puzzle platform, and present its performance measurement results on an Augmented Reality testbed environment. As a result, it can recognize up to 30 tangible blocks simultaneously and their placements within 5 seconds reliably. It is successfully ported to an existing coding puzzle mobile app and can operate an IoT attached robot via bluetooth connected mobile app.

      • KCI등재

        코딩퍼즐게임의 코딩 성취도 평가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서범주(Beomjoo Seo ),조성현(Sung Hyun Cho)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1

        코딩 교육이 정규 교과과정에 편재됨에 따라 스크래치 혹은 엔트리로 대변되는 다양한 퍼즐기반 코딩 학습 플랫폼 및 프로그램이 많이 배포되어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코딩 교구를 사용할 때 학생의 코딩 수행 능력의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코딩 성취도 평가 시스템의 성취도 모델을 제안하고, 이 모델의 여러 가지 이슈에 대하여 논의한다. 또한 본 연구팀이 개발한 코딩 플랫폼인 “코딩퍼즐” 시스템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팀이 제안한 성취도 모델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현재 운영 중인 “코딩퍼즐” 플랫폼의 성취도 평가시스템에 대한 상세 설계 및 구현을 기술한다. As coding education is ubiquitous in elementary or higher school curriculum, puzzle-based coding platforms such as Scratch or Entry have been popularly deployed and employed by many Korean co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quantitative students’ coding assessment methodology and discuss several issues of the method. Besides, we show its usefulness through case studies shown in our proprietary coding platform called “CodingPuzzle“ system. Additionally, we describe detailed design and implementation issues of our coding assessment system that has already been ported to the CodingPuzzle system and is currently under operation.

      • KCI등재

        게임소프트웨어전공 교과목 편성을 위한 기술요소 분석

        박진원(Jin-Won Park),서범주(BeomJoo Seo),배병철(Byung-chull Bae),김예진(YeJin Kim) 한국게임학회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2

        본 논문은 게임소프트웨어학과에서 4학년 학생들이 캡스톤디자인 과목에서 게임제작을 할 수 있도록 대학 4년 교과과정에서 가르쳐야 하는 기술요소들을 구조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게임소프트웨어학과 학생들이 졸업요건으로 게임제작실습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고 가정하고, 이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요소를 분석하고, 기술요소들 간의 구조를 분석해 보자는 것이다. 이는 학생들이 게임제작을 위해 대학 저학년에서 어떤 기술을 배워야 하고 그 기술이 고학년 과목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교과목명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재의 교과과정에서 발전하여, 이들 기술요소들의 목록과 구조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게임소프트웨어학과의 보다 구체적인 교과과정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and analyze the technology elements and their hierarchy for the college graduating students performing capstone design projects in a game software major. When graduating students in a game software major must make a game for graduation, they need to know the pertinent technologies and their hierarchy. Technology analysis for game making would mean for students to recognize how the low level technologies taught in freshman and sophomore periods are linked to the high level technologies taught in junior and senior periods. Also, the analysis would help the professors design the game software major curriculum in detail based on the levels and the hierarchy of the individual technologies.

      • KCI등재

        코딩 학습용 로봇 제어를 위한 관찰 기반 움직임 제어

        박경복(yeongbok Park),조성현(Sung Hyun Cho),서범주(Beomjoo Seo) 한국게임학회 2016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6 No.6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중등 정규 교과목으로 편재됨에 따라 코딩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코딩 교구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로봇용 코딩 교구 시장은 로봇의 부정확한 움직임 제어 때문에 코딩교육의 본질을 벗어나 장난감으로서의 기능에만 충실한 경우가 많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6개의 라인센서의 관찰 정보를 바탕으로 로봇의 전진 이동, 회전 이동을 보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방안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보드 게임과 유사한 코딩 학습용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코딩을 통해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로봇의 실제 움직임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 거리측면에서는 최대 1.57cm, 각도측면에서는 2.38도의 오차를 보고하고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을 활용하면 향후 코딩교구 시장에서의 로봇의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a variety of methodologies based on the use of educational coding robots have been proposed and experimented in newly emerging korean educational coding markets. Due to imprecise movement accuracy of the existing coding robots, however, such robots are mainly used as a toy. Inspired by these observations, we developed a simple adjustment method during robot movements, which is based on the observation results of 6 line-tracking sensors: 3 sensors in the center of a robot and other 3 sensors at the front. These sensors help to determine whether the robot is in the right location and whether it rotates as expected. Through the well-designed experiments, we report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solution: the average distance error of 1.57cm and the average degree error of 2.38 degree before and after complex movements. In near future, we hope our method to be popularly used in various educational coding robot plat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