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자살 뉴스 기사의 댓글 내용분석: 유명인 자살과 일반인 자살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 비교

        부천초 ( Fu Qianchao ),안순태 ( An Soontae ),이하나 ( Lee Hanna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2

        본 연구는 유명인 자살과 일반인 자살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뉴스 댓글이라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였다. Python을 이용해 2010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네이버 포털 사이트에 게시된 자살 사건·사고 보도를 수집했으며, 해당 기사에 달린 약 35만 개의 댓글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댓글은 유명인 자살뉴스 기사에 달린 댓글과 일반인 자살 뉴스 기사에 달린 댓글로 구분한 후, 각각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명인 자살에 관해서는 “자살을 선택한 연예인을 향한 연민”, “연예인 자살 원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정치인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 3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일반인 자살에 관해서는 “자살자를 향한 양면적 태도 및 유가족을 향한 연민”, “자살한 사람의 사회경제적 특성”, “자살의 원인 인식 및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제기”, “자살 사건에 관한 의구심 제기” 등 5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학문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social perceptions of suicide by analyzing the keywords and topics of online news comments. A total of 350,533 comments on 4,189 online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via web crawling. The collected unstructured text data were then preprocessed before performing key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using Python programming. The collected comm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mments on celebrity suicide news articles and comments on general suicide news articles. Then,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by applying BTM analysis method. The comments about celebrity suicid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opics: “pity towards a celebrity who committed suicide,” “awareness of the cause of a celebrity’s suicide,” and “attitude toward a politician’s suicide.” The comments about general suicide were classified into five topics: “ambivalent attitude toward suicide and compassion toward those bereaved by suicide,” “occupation with a high suicide rate,” “the cause of suicide and the need for policy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suicide events and social issues,” and “raising doubts about suicide incidents.” Also discussed were the associated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oretical contributions.

      • KCI등재

        K-food 속성과 맛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관여도와 친숙도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유종혜(Liu, Zhonghui),안순태(An, Soontae),부천초(Fu, Qianchao)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2 No.1

        본 연구는 2018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중국 소재 750개 한식당과 한국의 475개 한식당에 대한 중국인 소비자의 온라인 리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인 소비자의 한식 관여도와 한식 친숙도에 따른 한식당의 속성과 맛에 대한 감정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한식당 속성의 경우, 한식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는 한식당의 중심적인 측면(맛, 음식관련 속성)에 대한 평가를 많이 하였고, 한식 관여도가 낮은 소비자는 한식당의 주변적인 측면(맛과 음식 이외의 속성)에 대해 평가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식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소비자 역시 중심적인 측면에서 한식을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식 맛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중국 소비자는 자극적인 맛보다는 부드러운 맛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식 관여도와 한식 친숙도를 고려하여 중국인 소비자의 한식당 속성과 맛에 대한 감정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향후 K-food 마케팅 전략 수립과 실행을 위한 유용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Chinese consumers’ evaluation of K-food based on the online reviews of 750 K-food restaurants in China and 475 K-food restaurants in South Korea from June 2018 to June 2019. Using big-data analysis techniques, we compared the online reviews in relation to their K-food involvement and familiarity. Regarding K-food attributes, while consumers with high K-food involvement were more likely to evaluate central aspects of K-food restaurants (attributes such as flavors and tastes), consumers with low K-food involvement tended to evaluate peripheral aspects of K-food restaurants (attributes other than flavors and tastes). Similarly, consumers with high K-food familiarity mentioned more about central aspects of K-food, as opposed to those with low K-food familiarity. Regarding K-food flavors, Chinese consumers showed preference toward mild flavors over strong or intense flavors. Using K-food involvement and familiarity, results provide useful insights for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diverse Chinese consumers as well as direction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