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적절한 선택과 조합을 위해 태스크 모델을 활용한 업무중심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 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

        백재은,Baek, Jae-E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3

        메타데이터 표준은 디지털 정보자원의 기록생애주기를 기술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메타데이터 표준은 정보자원에 행해지는 업무의 목적과 내용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정보자원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의 및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록생애주기 전체를 보는 업무의 관점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정보자원의 기록생애주기 전체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정보자원의 업무 관점에서 메타데이터 속성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생애주기를 커버하고 정보자원에서 실행되는 업무와 요구조건에 따라 적절한 메타데이터 속성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는 업무중심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을 작성하여 제안하였다. Metadata standard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describe a digital resource in the records lifecycle. Metadata standard is influenced by the purpose and content of tasks that are performed to a resource. But it does not reflect a task-centric viewpoint to cover the whole records-lifecycle because metadata is defined and designed from a resource-centric viewpoint. In other words, to cover the whole records-lifecycle using metadata, it is necessary to properly select and combine metadata property from a task-centric viewpoint. Therefore, we proposed a task-centric metadata application profile that can combine and select appropriate metadata properties according to requirements and tasks performed on resource.

      • KCI등재

        A Study on Feature Analysis of Archival Metadata Standards in the Records Lifecycle

        백재은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3

        Metadata schemas are well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technological components for archiving and preservation of digital resources. However, a single standard is not enough to cover the whole lifecycle for archiving and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This means that we need to appropriately select metadata standards and combine them to develop metadata schemas to cover the whole lifecycle of resources (or records). Creating a unified framework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metadata standards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metadata interoperability that covers the whole resource lifecycle. In this study, the author approached this issue from the task-centric view of metadata, proposing a Task model as a framework and analyzing the feature of archival metadata standards. The proposed model provides a new scheme to create metadata element mappings and to make metadata interoperable. From this study, the author found out that no single metadata standard can cover the whole lifecycle and also that an in-depth analysis of mappings between metadata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lifecycle stages is required. The author also discovered that most metadata standards are primarily resource-centric and the different tasks in the resource lifecycle are not reflected in the design of metadata standard data models.

      • KCI등재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현황 및 개발방안에 대한 연구

        백재은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4

        감정적, 심리적 상처와 문제를 독자 스스로 치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독서치료는 일반적으로 일반인(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책(치유서)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자가치료법이다. 일반인과 다르게 장애인은 책이 아닌 대체자료를 이용하여 독서치료를 실시한다. 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소외감, 불안감 등 여러 심리적인 상처를 받거나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게 된다. 장애인의 독서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여 장애인도서관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진행 중에 있지만, 아직 활성화 단계라고 볼 수 없다. 독서치료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독서치료를 위한 자료에의 접근을 도와주는 독서치료 목록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대부분 일반인을 위한 것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 대체자료 목록, 혹은 병리증상 혹은 상황에 따라 카테고리화된 대체자료 목록은 별도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일환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와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의 현황, 그리고 앞으로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개발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Generally, Bibliotherapy is aimed to cure the emotional or psychological wounds by using books for common users as self-treatment. But, Bibliotherapy for disabled people is carried out by alternative formats instead of a book. In library for the disabled, it is developing various bibliotherapy programs, but not yet activated. In order to carry out bibliotherap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ibliotherapy catalog preferentially. However, most Bibliotherapy catalogs are created for the common users, not for disabled people specially. How to make the special catalog for disabled people and catalog of alternative formats according to pathological symptom or situation is still a big problem. Basing on this premise, the author examined the necessity of bibliotherapy catalog for disabled people,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bibliotherapy. And then, the author proposes plans of bibliotherapy for how to build the bibliotherapy for disabled people.

      • KCI우수등재

        산업유산자원의 이용․관리․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에 관한 연구

        백재은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2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produced by industrial activities have historical and conservative values and value as cultural properties as they serve as a medium connect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other words,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should be used, managed, and preserved simultaneously as important records and evidence for the future. Metadata is well known as a necessary and important factor for the us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In particular, in order to describe various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that have historical, cultural, and conservative values, metadata elements from various perspectives are needed to relate to the story, type etc. of dat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metadata elements that can comprehensively describe different types of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And we designed metadata that suited for the purpose of using, managing, and preserving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through mapping and combination between industrial heritage-related metadata. As a result, metadata was grouped into five types(administrative, descriptive, preservation, technical, use) and prepared into a total of 25 higher & 86 lower elements. 산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기술적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미래 산업에 대한 기대와 함께 과거의 산업 환경, 산업유산․유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활동으로 인해 생산된 산업유산자원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기에 역사적․보존적 가치를 지니고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존재한다. 즉, 산업유산자원은 장래를 위한 중요한 기록물이자 증거로 이용적․관리적․보존적 관점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메타데이터는 정보자원의 체계적인 이용, 관리, 보존을 도모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다. 특히 역사적․문화적․보존적 가치가 있고 각양각색의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는 산업유산자원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스토리, 유형, 시대 등과 관계를 맺는 다양한 관점의 메타데이터 요소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형식의 산업유산자원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산업유산 관련 메타데이터들을 비교 분석하여, 산업유산자원의 이용․관리․보존이라고 하는 목적에 적합한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5개의 유형(관리, 기술, 보존, 정보기술, 이용)으로 그룹화하여 총 25개의 상위요소와 86개의 하위요소,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하였다.

      • KCI등재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기초연구: 디지털 아카이브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백재은,Baek, Jae-Eu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3

        전 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는 사회적 발전의 원동력을 제공한 콘텐츠로, 문화적 자산으로서 충분한 보존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장기 보존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하고 디지털 아카이빙의 진행도 본격화되지 않는 상황이다.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해서는 먼저 콘텐츠의 개념, 특징, 구조, 형식, 매체, 다른 콘텐츠와의 관련성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특히,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경우, 여러 기관에서 다매체, 다양한 유형으로 제작되고 하나의 콘텐츠에서 새로운 콘텐츠가 생성 및 재제작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다양화, 복잡한 콘텐츠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리 및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기초연구로,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개념, 특성, 보존 대상에 대해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아카이브(시스템/기관)를 조사하여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와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문제 요인을 토대로 기본방안을 제시하였다. Hallyu pop-culture contents which has influenced the world has sufficient preservation value as a cultural asset.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awareness of long-term preservation of Hallyu pop-culture contents and digital archiving is not in full swing, too. We requires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characteristics, format, media, and relationship of contents for digital archiving of Hallyu pop-culture content. Thus, this study analyzed and organiz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subject of Hallyu pop-culture contents, as basic study for digital archiving of Hallyu pop-culture content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archives (systems/institutions) of Hallyu pop-culture contents and Hallyu pop-culture contents, and presented basic proposal based on the problem factor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독서치료 연구동향 비교분석

        백재은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1

        현대인들의 정신적․심리적 상처와 문제 등의 증가로 독서치료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이와 함께 독서치료 관련연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독서치료 연구발전과 독서치료에 대한 인식 확립을 위해, 현 시점에서 독서치료 연구동향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ECD가입국가 가운데 자살률 1, 2위 국가이자 1950~60년대 비슷한 시기에 독서치료를 도입한 한국과 일본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양국의 독서치료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서 독서치료 연구논문이 최초로 발표된 시점부터 2016년까지 발행된 모든 학문분야의 독서치료 학술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3개의 관점 - (1) 연구논문, (2) 용어활용, (3) 학문분야 및 연구방법 - 에서 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양국에서의 독서치료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비교하며 살펴볼 수 있었고, 동일한 영역 내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creased mental and psychological wounds and problems in modern humans has resulted in improve the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bibliotherapy, and an increase in research related to bibliotherapy. We need to analyze the trend of bibliotherapy research at this point in time from various viewpoints for future development of research on bibliotherapy and establishment of recognition for bibliotherapy.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rends of bibliotherapy research between Korea and Japan. The study focuses on research academic papers related to bibliotherapy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from 1960 to 2016, and the was analyzed and examined from three viewpoints - (1) Research paper, (2) Utilization of terms, and (3) Academic field & Research Method.

      • KCI등재후보

        유전자 돌연변이로 확진된 상염색체 열성 다낭신질환 신생아 1례

        백재은,이순민,은호선,박민수,박국인,남궁란,이철 대한신생아학회 2014 Neonatal medicine Vol.21 No.1

        상염색체 열성 다낭신질환은 양측 신장을 광범위하게 침범하는 유전질환으로서, 태아기에 신세뇨관의 발육이상으로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임신 후반기나 신생아기에 발견되고, 산전 초음파에서 신장 크기의 증가를 동반한 음영증가나, 양수 과소증을 확인한다 하더라도 ARPKD를 진단하기는 어렵다. 저자들은 출생 직후부터 임상증상을 보이고,영상의학적으로 팽창된 신장과 담관의 확장을 보여 ARPKD에 합당하며, 유전자 검사로 PKHD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확인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utosomal recessive polycystic kidney disease (ARPKD) is a severe form of polycystic kidney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enlarged kidneys and congenital hepatic fibrosis. The clinical spectrum of this condition shows wide variation. Approximately 30-50% of affected individuals die in the neonatal period, while others survive into adulthood. ARPKD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polycystic kidney and hepatic disease 1 (PKHD1) gene on chromosome 6p12, which consists of 86 exons variably assembled into many alternatively spliced transcripts. We report a case of a pathogenic PKHD1 frameshift mutation, c.889_931del43, which was identified using direct full sequencing, associated with enlarged cystic kidneys and dilatation of intrahepatic bile duct, as observed on imaging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