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동영상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 요인에 관한 탐색

        백소담(Sodam Baek),이원영(Wonyoung Lee),채안병(Anbyeong Chae),황은영(Eunyoung Hwang),김성우(Sungwoo Kim)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2 No.3

        현재의 동영상 서비스 시장은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롭고 재미있는 콘텐츠 발견’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분야에서는 추천이나 프로모션과 같이 사용자의 시청 동기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키는 영역에서의 기술/사용경험의 연구가 꾸준히 제기된다. 사용 동기를 향상 시키는 효과적인 한 방법은 사용자가 서비스의 사용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전략으로 ‘뜻밖의 재미있는 발견’에 주목하였다. 마치 우연히 발견한 좋은 분위기의 카페나 예기치 않았던 장소에서 우연히 만난 친구처럼 ‘뜻밖의 기쁨, 우연한 발견’을 뜻하는 ‘세렌디피티(serendipity)’가 적용되면 서비스의 사용에 즐거움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동영상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를 ‘뜻밖의 즐거움을 주는 콘텐츠의 우연한 발견’으로 정의한다.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폭넓은 문헌 고찰을 통해 세렌디피티의 다양한 속성들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사용자 조사 다이어리를 통해 문헌 고찰만으로는 발견하기 힘든 온라인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의 속성을 추가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세렌디피티의 속성에 대해 각 항목을 평가 문항으로 작성하여 유튜브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동영상 환경에서 발견되는 세렌디피티 속성을 확인하고 이를 유발하는 잠재적 요인에 대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동영상 환경에서 세렌디피티를 유발하는 4가지 요인을 실증하고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렌디피티의 개념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비롯한 IT 분야에서 세렌디피티의 역할이나 작용을 분석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Current video service market doesn’t satisfy the users’ needs who want to find new and interesting contents despite the vast amount of contents. Now it is continuously necessary to Study on technology and using experience is continuously required in online video service area to stimulate the watching motivation efficiently with such as recommendation or promotion. One of efficient ways of increasing the using motivation is to give the users pleasure when they use the services. This study focused on ‘unexpected funny finding’ as a strategy of providing pleasure of using. It was believed that it could increase the pleasure of using the service, if serendipity, which means unexpected pleasure, accidental finding such as finding a beautiful café or meeting a friend at a certain place unexpectedly, is applied. This study defines the serendipity as ‘contents that give unexpected pleasure’ at the online video environment. First it theoretically extracte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through reading many books. Next it verified the other concept of serendipity through the diary of users’ survey to additionally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at video environment that are hard to find in books. It formed estimation item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ed serendipity and tested them in youtube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being found in video service and observe potential factors that make it. As a result if verified and confirmed four factors that cause serendipity at video environmen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erendipity. It has an academic meaning in the point that it could be a useful reference for the future study that analyzes the role or effect of serendipity at IT area including online video service.

      • 무선 중계 시스템 분석

        최은총(Eunchong Choi),박영웅(Youngwoong Park),윤수빈(Subin Yun),백소담(Sodam Baek),이진(Jin Lee),이다희(Dahee Lee),주혜련(Hyeryeon Ju),강민주(Minju Kang),이상운(Sangun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기존의 중계 시스템은 유선 기반으로 방송 중계차와 케이블 등이 필요하여 시간과 비용, 장소의 제약과 같은 여러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무선 중계 기술의 발전으로 무선 카메라만 있으면 긴급재난 현장이나 중계차가 들어갈 수 없는 지역에서도 중계가 가능하게 되면서 중계방송의 제한 범위가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5G 무선 중계 시스템을 분석한다. 분석한 시스템은 5G 모뎀이 장착된 MNG 장비를 이용해 UHD와 4K 신호를 무선으로 처리하여 초저지연·초고화질로 송출한다. 또한 현존하는 멀티뷰 기술을 접목시켜 시청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