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국민연금추계의 신뢰성에 대하여

        박유성 ( You Sung Park ),전새봄 ( Sae Bom Jeon ),김성준 ( Sung Jun Kim ),김성용 ( Seong Yong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2

        세계에서 전례가 없는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한국의 상황에서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은 노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전제조건이다. 국민연금 지속가능성을 위한 점검으로 국민연금 재정추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회안전망 장치로서 이에 대한 신뢰성검증 역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민연금추계의 근본인 추계인구에 대해 논의하고, 기존 가입자 및 수급자추계의 신뢰성을 점검하는 한편 현실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새로운 추계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2007~2010년 가입자 및 수급자 실측치와 추계치, 그리고 적립금 감소 및 고갈시점을 비교한 결과, 새로운 추계방법이 기존 국민연금추계의 문제점을 개선 및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fastest aging societies whose rapid population aging is beyond example, and sustainability of national pension is the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e quality of life for old age. To inspect the sustainability of national pension, financial projection of national pension is conducted, but its reliability should be verified as a social safety net. This paper discusses on the population projection, the basis of national pension projection. It also proposes a new projection method under realistic assumptions as well as examines the reliability of pension member and pensioner projection. Empirical analysis demonstrates that our new proposed method solve the existing problems of current national pension projection method, by comparing our results with, not only 2007-2010 observed pension member/pensioner and their projection, but also decreasing/starvation moment of national pension contributions.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확률적 출산율 모형과 한국의 미래인구 구조

        박유성 ( You Sung Park ),김미리 ( Mi Ri Kim ),김성용 ( Seong Yong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출산장려정책의 사례와 효과를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3단계 출산율 변이과정을 이용하여 출산장려정책의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모형과 연령별 출산율(agespecific fertility rate)모형으로 구분되며 다변량 시계열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선진OECD 국가의 출산율 경험치 및 모수화 모형의 모수 시계열을 종속변수로 한 모형이다. 또한 출산율 및 사망률의 확률적 신뢰구간으로부터 구축된 9개의 인구 시나리오가정에서 2100년까지의 총인구, 생산가능인구, 핵심생산인구, 학령인구에 대한 출산율 및 사망률의 영향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부양부담지수와 고령화 측정지수를 이용하여 한국의 미래인구 구조를 논증하고 OECD 국가 대비 한국의 고령화 속도의 심각성과 한국의 미래가 출산율 제고 여부에 달려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We summarize the pronatalist policies and their effects carried out in OECD counties and we propose a new probabilistic model for fertility rates using the three phases of fertility transitions. This new model forecasts total an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y employing the fertility rates that OECD countries have experienced into a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with autocorrelated noise process. Using nine population scenarios calculated by probabilistic confidence intervals of fertility mortality rates, we investigate impacts of the fertility and mortality rates on total population, work population, power-work population, and school age population until year 2100. We inspect the future population structure by presenting dependency ratios and aging indices, show that aging speed in Korea is too fast compared to OECE countries, and demonstrate that the future of Korea depends on how to successfully raise the fertility rate during the coming 10 years.

      • KCI등재

        연구논문 : 사망률 추계를 위한 오차수정 LC 모형

        박유성 ( You Sung Park ),장선화 ( Sun Wha Jang ),김성용 ( Seong Yong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2

        본 논문에서는 미래 사망률 예측을 위한 모형 적합 시, 자료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1970년대의 자료가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우리나라의 사망률 자료를 이용했을 때의 Lee and Carter(1992) 모형을 평가하도록 한다. 특히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이용하고 있는 Li and Lee(2005) 모형의 기본 가정이 우리나라 자료에서는 타당하지 않음을 남녀 사망률의 차이, 공적분 검정, 초고령 연령의 사망률 및 평균수명의 예측치 등을 통해 보이도록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사망률의 횡단면적 상관관계 및 종단면적 상관관계뿐만 아니라, 공적분 관계를 반영하는 새로운 Lee and Carter 모형인 VECM-LC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Li and Lee 모형과 비교하도록 한다. We investigate the 1970s mortality data in Korea, which have been suspected to be unrelia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nclusion of them can contributes to more accurate forecasts of future mortality rates. Lee and Carter`s methods(1994) are carefully assessed their performances for forecasting mortality in Korea. In particular, we show that the model of Li and Lee(2005), which is used in Statistics Korea, is not appropriate for forecasting mortality at least in Korea by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ir model assumptions using difference between sex-specific mortality, cointegration test, mortality forecasts of oldest old, and life expectancy at age 0. We propose a new LC model called VECM-LC to accommodate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correlations and cointegration relationship in time effects of mortality, and the model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the other LC models.

      • KCI등재

        연구논문 : 우리나라 공식인구의 신뢰성 및 문제점에 대한 고찰

        박유성 ( You Sung Park ),김기환 ( Kee Whan Kim ),김성용 ( Seong Yong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0 조사연구 Vol.11 No.2

        한 국가의 공식인구에는 기준인구(base population), 조사간인구(intercensal population estimates), 조사후인구(postcensal population estimates), 그리고 추계인구(population projections) 등이 있다. 조사간인구, 조사후인구, 그리고 추계인구는 기준인구를 기반으로 하며, 대부분의 나라에서 센서스를 이용하여 기준인구를 생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의 기준인구 작성 시 센서스 자료를 얼마나,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고, 다른 여러 나라의 공식인구 작성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공식인구의 문제점을 적시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Base population, intercensal and postcensal population estimates, and population projections have been regularly published as official populations. Base population is usually made out based on census conducted every 5 or 10 years, and is most important from which intercensal, postcensal estimates, and population projections are derived. We investigate how base population in Korea is made out and then compare it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We also present problems arising from making out base population in Korea.

      • KCI등재

        연구논문 : 공무원연금추계를 바탕으로 살펴본 공무원연금 지속가능성과 개혁방향

        박유성 ( You Sung Park ),정민열 ( Min-yeol Je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2

        공무원연금제도를 반영한 연금수리적 추계방법으로 공무원연금을 추계하여 공무원연금의 지속가능성과 세대 내, 세대 간, 그리고 계층 간 연금 수급의 공정성을 점검하고 진단한다. 공무원연금의 현행제도를 지속할 경우,2015년 기준가치로 2020년 32조, 2050년 582조, 2080년 1,699조원의 누적적자를 기록하게 되어 공무원연금의 지속가능성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공무원연금의 개혁방향으로 제시된 여당의 안은 제도의 미비와 부정확성으로 인해 2015년까지의 모든 재직자는 역차별을 받게 되고 2030년 초까지 오히려 현행의 재정적자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무원연금 재정적자의 주요인인 고령화현상의 부담을 공무원연금가 입자와 수급자가 자동으로 반분하는 새로운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이 개혁안은 현행의 재정수지적자를 2020년에는 40%를 줄이고, 2050년에는 55%,2080년에는 77%까지 줄이는 기대 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정수준의 노후소득을 보장하고 세대 간 공정성을 평가하는 후세대로의 부담전가량도 여당 안보다 적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소득계층 간 연금수 급액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소득재분배 기능을 가진 개혁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 또한 점검한다. An actuarial projection model, which intactly reflects the pension system, is used to project the pension provision of public officials in Korea and to examine financial sustainability, both intra- and intergenerational fairness, and the adequacy of social strata in terms of income in retirement.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might be impossible without pension reforms as the public cumulativedeficits, due to increasing future pension entitlements, could reach at 28 trillion won in 2020, 414 trillion won in 2050, and 1,433 trillion won in 2090, based on year 2015 real price. The ruling party recently presented its own pension reforms of public officials but, unfortunately, its reforms were inaccurately and erroneously designed, bringing to more benefit cuts in the current employees than the new employees and resulting in more serious budget deficit than the current pension system. The benefit/cost ratios between public officials pension that are linking the entitlements directly to the evolution of life expectancy and show the effect of the reforms for fiscal consolidation. The reforms reduce the public deficit to 50% in 2020, 60% in 2060, and 80% in 2080, relative to the expected deficit of the current pension system. The reforms are also designed to give the pensioners an adequate income in old age and to have lower life transf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lifetime value of benefits and the total lifetime value of contributions, than the reforms of the ruling party. In addition, we also discuss the reforms that have a distributional function for different earning levels.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자료에 적합한 생명표 작성방법에 대한 연구

        박유성,김성용,Park, You-Sung,Kim, Seong-Yong 한국통계학회 2011 응용통계연구 Vol.24 No.5

        생명표는 특정 집단의 사망 경험(mortality expereience)을 반영하여 각 연령에서의 기대여명을 추정하는 통계적 모형이다. 사망 경험은 사망확률(death probability)을 통해 반영되는데, 사망확률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는 사망률(death rate)로부터 사망확률을 추정하는 방법의 선택이며, 둘째는 사망확률의 불규칙성을 해결하기 위한 평활 방법, 셋째는 초고령 자료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망확률 추정 및 확장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망확률 추정방법의 선택을 위해 Chiang 방법, 상수방법, Greville 방법, Reed and Merrell 방법 및 Keyfitz and Frauenthal 방법을 비교하며, 평활 방법으로는 Beers 방법, Greville 방법 및 이동평균 방법을 비교하도록 한다. 또한 초고령에서 사망확률 추정 및 확장을 위해 총 12가지 수학적 함수를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방법들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에 적합한 생명표 작성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생명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또한 기간별 성별 기대여명의 역전현상(cross-over)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The life table is a statistical model for life expectancy and reflects mortality experiences exposed to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The following three issues are prerequisite for constructing the life table : a selection of how to estimate the death probability from observed death rates, a graduation method to smooth irregularity of the death probabilities, and an extension method of the death probabilities for oldest-old ages. To construct the life table that is fittest to Korean mortality experiences, we examine five estimation methods such as Chiang's and Greville's for the death probability, three graduation techniques including Beer's and Greville's formulae, and twelve mathematical functions for the extension of death probabilities for oldest-old ages. We also propose a method to resolve the cross-over problem arising from construction the life table.

      • KCI등재

        동적구조를 갖는 대기행렬 모형: Speed-Flow-Density 다이어그램을 중심으로

        박유성,전새봄,Park, You-Sung,Jeon, Sae-Bom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6

        Management of the existing traffic network and understanding current traffic conditions is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way to solve traffic conges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atus of Korea expressway through the Speed-Flow-Density diagram and finds the best suitable queueing model for each area. Dynamic structure in the queueing model enables us to reflect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road in case of traffic congestion. To find the best model and estimate the parameters, we use the Newton-Raphson method. Finally, we examine the road efficiency in view of the optimal speed and density using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of speed and density of a S-F-D diagram. 교통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도로 교통망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안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흐름에 대한 연구로 대기행렬 모형이 이용된다. 특히, 속도, 통행량, 교통밀도에 대한 S-F-D(Speed-Flow-Density) 다이어그램은 도로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교통 속성들 간에 구조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기 행렬 모형내에 구조변화를 포함함으로써 정체 시 도로 상황이 구조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모형에 반영하여, 국내 고속도로의 현황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S-F-D 다이어그램을 제안한다. 각 구간에 대한 최적의 대기행렬 모형을 찾기 위해 뉴튼-랩슨 방법으로 최적화 모수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속도와 밀도를 산출하여 요일별 시간별 도로의 이용현황 및 효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대효용최대화를 통한 한국형 기업 신용평가 모형

        박유성,송지현,최보승,Park, You-Sung,Song, Ji-Hyun,Choi, Bo-Seung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3

        A well estimated probability of default is most important for constructing a good credit scoring process. The maximum expected utility (MEU) model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of the tra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Because the MEU model has been constructed using financial data arising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an countries, the MEU model may not be suitable to Korean private firms. Thus, we propose a Korea-specific MEU model by estimating the parameters involved in kernel functions. This Korea-specific MEU model is illustrated using 34,057 private firms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MEU model relative to the usual logistic regression model. 기업의 신용을 평가하는데 있어 정확한 파산확률의 추정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다. 선형로지스틱회귀모형보다 성능이 좋은 기대효용최대화 (Maximum Expected Utility) 모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모수의 일부가 북미와 유럽지역의 자료를 토대로 경험적으로 추정되어진 것이므로 우리나라 기업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자료를 바탕으로 모수를 재추정하여 한국형 MEU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34,057개의 중소기업을 이용하여 한국형 MEU모형을 설계한 결과, 기존의 북미 유럽형 모형과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능면에서도 선형로지스틱회귀모형보다 전 산업분류에 걸쳐 한국형 MEU모형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