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이 성인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친밀관계경험에 미치는 영향

        박규리 ( Gyuree Park ),이승호 ( Seungho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기반 심리치료인 감각운동 심리치료(SP)를 온라인 화상으로 운영한 집단상담이 성인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친밀관계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성인 여성들의 건강한 생활 영위를 돕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발적으로 지원한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통제집단(13명)과 실험집단(13명)을 모집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은 16회기(55분/회기) 동안 온라인 화상운영의 환경성에 적합하게 구성된 SP 집단상담에 참여하여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친밀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공분산 분석을 시행한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친밀관계경험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 성인 여성들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친밀관계경험에 긍정정인 영향을 주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함의를 기초로 임상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which operates sensorymotor psychotherapy (SP), which is a body-oriented psychotherapy, on interpersonal stress and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of adult women, and to help healthy living of adult women living in the COVID-19 era.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group (13 people) and the experimental group (13 people) were recruit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P group counseling, which wa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ality of online video operation during 16 sessions (55 minutes/sessions), and the effect on interpersonal stress and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was verified.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for both groups and the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erpersonal stress and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verified that it had a positive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stress and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of adult women.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linical intervention plans were proposed.

      • KCI등재

        외상경험 횟수와 코로나19 사건충격의 관계에서 코로나19 이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대구지역 여성을 중심으로

        김윤정 ( Yoonjung Kim ),박규리 ( Gyuree Park ),김정원 ( Jungwon Kim ),이승호 ( Seungho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 횟수와 코로나19 사건충격의 관계에서 코로나19 이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대구에서 거주하는 외상 유경험자 26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외상경험 횟수를 묻는 질문지, 코로나19 사건 발생 이전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반응척도, 코로나19 사건에 대한 충격 정도를 측정하는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로나19 이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코로나19 이전의 스트레스 정도가 외상경험 횟수와 코로나19 사건충격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코로나19 사건충격에 미치는 외상경험 횟수의 영향은 코로나19 사건을 경험하기 이전의 스트레스 상태를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친다. 이는 코로나19 사건과 같은 사회적 재난의 대처는 스트레스 관리 맥락에서 연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e-COVID 19 stress between the number of trauma experiences and the incident impact of COVID 19. This study measured the number of trauma experiences, the pre-COVID 19 stress, and the impact on COVID 19 in 262 women with trauma experiences living in Daegu.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COVID 19 stress fully mediated between the number of trauma experiences and the incident impact of COVID 19. This suggests that coping with social disasters such as COVID 19 should be studied in the context of stres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