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ICF를 기반으로

        민혜지 ( Hyeji Min ),장진경 ( Jinkyung Ch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증가하는 치매환자로 인해 사회·경제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지·경도인지장애 노인 대상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2019년 4월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서 추출된 총 92개의 효과크기를 대상으로 메타분석 하였고,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를 이용하여 종속변인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은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종속변인에서는 소화계, 대사계 및 내분비계 기능일 때, 조절변인에서는 여성 집단 대상일 때, 집단 크기가 11∼20명일 때, 총 교육기간이 17주 이상일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매예방을 위해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해야 하며, 관련 지원들은 성별구성, 집단크기, 총 교육기간에 따라 달리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특성 및 효과성의 객관적 유용성을 판단하여 근거 기반의 실천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실무 현장에서의 프로그램 활용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추후 프로그램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wing numbers of dementia patients cause social and economic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bas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old people with normal cognition and MCI. Total 92 effect sizes were put to the meta-analysis after being extracted in dissertations for a master’s or doctor’s degree and academic journals in the nation until April, 2019. 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based on ICF. The findings show that the physical activity-bas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recorded a huge effect size. It was the most effective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digestive, metabolic, and endocrine functions, the moderator variable of female group, the group size of 11-20 people, and the total duration of education at 17 weeks or longer.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introduce actively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o prevent dementia and propose that related supports should vary according to gender composition, group size, and total duration of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evidence base by determining the objective usefulness of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the physical activity bas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urthermore, it provided the grounds for the use of the program on working sites and suggested the applicative direction of the program for the future.

      • KCI등재

        한국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인지, 자극, 통합 프로그램 중심으로

        민혜지(Min, Hyeji),장진경(Chang, Jinkyu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정상인지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대상 치매예방 프로그램들의 전체 효과크기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0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의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77편에서 추출된 총 184개의 효과크기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g=0.85)로 나타났다. 둘째, 접근법에 따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자극중심 접근법, 통합적 접근법은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였고, 인지중심 접근법은 중간 효과크기에 해당하였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인지중심 접근법과 통합적 접근법은 자아존중감에서, 자극중심 접근법은 치매예방행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인지중심 접근법은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자극중심 접근법은 총 교육기간이 17주 이상일 때, 총 회기 수가 41회기 이상일 때,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통합적 접근법은 주당회기 수가 주 2회일 때,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제언은 첫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정책적 활성화와 둘째, 자극중심 접근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과, 셋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접근법에 따라 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운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ize of overall effect and moderator variable-dependent effect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r old people with normal cognition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 To this end, we analyzed total 184 effect sizes extracted from 77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19. First, we foun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was large (g=0.85). Second, by comparing the effect size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cross approaches, we found that the stimulation-oriented and the integrated approaches led to a large effect size and the cognition-oriented approach led to a intermediate effect size. Third, by comparing the sizes of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s across approaches, we found that the cognition-oriented and the integrated approaches resulted in the largest effect on self-esteem, whereas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resulted in the largest effect on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Fourth, by comparing the effects across the duration of education for each approach, we found that the cognition-orien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total duration of education was 17 weeks or longer,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was 41 or more,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the integra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two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Coll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three lessons: 1)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in policy level; 2) a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program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approach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 KCI등재

        대학교수 교육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민혜리(Hyeree, Min),길혜지(Hyeji, Kil),윤지영(Jiyoung Yo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의 교육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S대학교 우수강의자 인터뷰 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역량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측정영역 및 하위요소를 구성한 후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구인타당도 검증과 신뢰도 분석, Rasch 모형을 적용한 문항특성 분석 등을 통해 기초소양 21개, 교수역량 44개로 구성된 교육역량 진단도구를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대학교수의 교육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대학본부 차원에서는 진단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 등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tool for assessing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of the professor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 analysis of an interview with an excellent lecturer at S University,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to define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measurement domain, and to developed draft items. Next,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struct validity, reliability, item difficulty and fitness by rating scale model. In result,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al competencies consisting of 21 basic literacy and 44 teaching competencies was finally develope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by diagnosing professors’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support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using this tool prac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