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자활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

        이정희,윌리엄 돈란,장동호,김장민,마린 헨더슨-포쉬,Choi, Mijin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22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한국 자활사업 참여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9년, 전국 249개 지역자활센터 참여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집을 실시하였고, 1,047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는 가구주라고 응답한 787명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저소득층과 비교했을 때, 자활 프로그램 참여 가구주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학력 수준을 보인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사회적 박탈감, 이혼율, 우울증세를 보였다. 청·장년층과 중년층의 프로그램 참여자에 비해, 노년층 참여자들은 가장 높은 자기 효능감, 자활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미래 지향성을 보인 반면, 가장 낮은 사회적 박탈감과 우울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전체 연령층 참여자 중에서, 중년층 가구주들이 가장 높은 사회적 박탈감을 보였으나, 사회적 박탈감이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은 청·장년층 가구주에게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동일한 수준의 사회적 박탈이라 하더라도, 사회적 박탈에 익숙해진 중년층 및 노년층 참여자에 비해 청·장년층 참여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박탈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 친화적인 한국의 자활사업 환경과 정신건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제안한다. Korean family structure is rapidly changing with single-person household population showing dramatical increases. In 2019,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in South Korea to assess demographic, psycho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mong publicly-supported workfare-program participants. Of 249 job-training centers, 40 were randomly selected; 1,047 individuals participated in paper-based self-reported surveys. To better understand mental health (i.e., depression) among the single-person household population, data analysis only included 787 self-identified heads of households. Compared to overall low-income Koreans, respondents had lower education, while reported higher socioeconomic deprivation (SED), divorce rates, and prevalence and magnitude of depression. Older-aged participants exhibited the highest self-efficacy, job-satisfaction, future-orientation, and the lowest SED and depression. SED was the highest among the middle-aged. However, negative impact of SED on depress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younger-aged. Young adults’ depression could be explained by structural barriers such as low-paying jobs and unsatisfactory working conditions rather than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ovide comprehensive mental-health interventions in addition to job-training for this population. Workfare programs should simultaneously address participants’ differential experiences and depression. The feasibility for community-based social workers to provide a brief, inexpensive mental-health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case-management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