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제9회 한,중 형법 국제 학술심포지엄 : 부패범죄의 척결과 예방을 위한 형사절차상 대응방안

        류전철 ( Chen Chel Ryu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1 비교형사법연구 Vol.13 No.2

        Korruptionsdelikte werden in der Regel heimlich, verdeckt, ?diskret begangen, beide Seiten sind Tater. Auf das hohe Dunkelfeld wurde bereits vorn hingewiesen. Die Strafverfolgungsorgane sind daher bei Korruption darauf angewiesen, von Verdachtsmomenten zu erfahren, Anhaltspunkte fur ihre Nachforschungen zu erhalten und qualifizierte Ermittlungen zu fuhren. Die Haupterkenntnisquelle fur Korruptionsdelikte sind anonyme Anzeigen. Strafrechtliche Ermittlungen in umfangreichen Korruptionsverfahren sind von verschiedenen praktischen Schwierigkeiten gepragt, wie sie aus umfangreichen Wirtschaftsstrafverfahren oder Verfahren der organisierten Kriminalitat bekannt sind. Die Verfahren weisen gegenuber normalen Strafverfahren eine Reihe von Besonderheiten auf. Die Verfahren sind aus verschiedenen Grunden kompliziert und langwierig und es gibt praktische Schwierigkeiten, die Vorwurfe zu beweisen. Zusammenfassend betrachtet ist Strafrecht fur die Eindammung der Korruption wichtig und notwendig. Aus der Generalpraventionsforschung ist bekannt, dass Strafrecht gerade bei kalkulierbaren Delikten wie Wirtschaftsstraftaten und Korruption von der Entdeckungswahrscheinlichkeit beeinflusst wird. Es muss also auch die Entdeckungswahrscheinlichkeit erhoht werden, was durch eine bessere Vernetzung von Kontrollinstanzen moglich ist. Bei Korruptionsdelikten sollte die Moglichkeit der Strafbefreiung bei Selbstanzeige eingefuhrt werden. Hierdurch konnen der fur Korruption charakteristische Pakt des Schweigens aufgebrochen, die Informationsgewinnung der Ermittlungsbehorden erleichtert und die wirtschaftlichen Schaden reduziert werden. Zudem forciert die Selbstanzeige die korruptionspraventive Wirkung des Strafrechts. Um Missbrauchsmoglichkeiten auszuschließen, indem zum Beispiel zur Durchsetzung korruptiver Vereinbarungen mit Selbstanzeige gedroht wird, schlagen die Autoren eine strategische Ausgestaltung der Selbstanzeige vor. Ein Bankgeheimnis gibt es im Zusammenhang mit strafrechtlichen Ermittlungen gegen Verdachtige nicht, d.h., Bankkonten und alle wichtigen Informationen die Bankverbindungen und Schließfacher betreffend konnen mit einem Durchsuchungsund Beschlagnahmebeschluss eingesehen werden.

      • KCI등재
      • KCI등재

        혐오표현의 형사규제를 위한 불법요소의 구성가능성과 증명의 문제

        류전철(Ryu, Chen-Chel)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1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3 No.4

        혐오표현에 대한 형사규제를 위한 논의에서 혐오표현의 해악을 강조하여 형사규제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가 않고 법익구성과 더불어서 혐오표현의 불법을 구성요건의 요소로 담아낼 수 있는지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혐오표현에 대한 형사규제의 논의를 위해서는 혐오표현을 통해 보호하과 하는 법익이 구성될 수 있어야 하고 명확성의 원칙에 부합하는 혐오표현의 불법속성이 구성될 수 있어야 하며 재판규범으로서 증명의 문제도 전제요건으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혐오표현의 개념에 대한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은 결국 혐오표현의 형사규제와 관련해서 혐오표현의 불법을 객관적 구성요건에 담아내기 어렵게 만들고, 결국 혐오표현의 불법의 속성을 주관적 구성요건을 통해서 구성햐여야 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혐오표현에 대한 형사적 규제를 염두에 둔다면 포괄적인 상징적 의미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혐오표현에 대한 형사적 규제는 구체적이고 특정할 수 있는 규범내용으로써 규범수범자를 향한 의사결정기능과 규범적용자를 향 \한 평가기능이 가능한 구체적인 금지의 실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특정행위가 사회적으로 유해한 것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형벌로써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인 현상이 되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정행위의 형사제재의 전제요건들의 가능성을 검토하지 않고, 형사처벌의 당위성을 먼저 제기한 후에 입법적 대응에 대한 여론이 조성되고 입법안으로 제시되는 현상은 지양되어야 한다. 특정행위의 처벌의 당위성만으로 그러한 행위가 범죄가 될 수는 없으며, 여기에는 보호법익의 구성가능성과 해당 특정행위를 형사불법의 속성으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혐오표현의 개념적 정의나 혐오표현에 대한 독자적인 입장을 개진하는 것이 아니라 혐오표현에 대한 형사규제 논의를 위해서 선행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전제요건으로서 법익의 구성가능성과 법익의 체계적 위치 그리고 혐오표현행위가 불법요소를 구성할 수 있는지 그리고 주관적 요소의 증명의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In der Diskussion um die strafrechtliche Regulierung der Hassrede reicht es nicht aus, den Schaden der Hassrede hervorzuheben und auf der Notwendigkeit einer strafrechtlichen Regulierung zu bestehen. Neben der Zusammensetzung von Rechtsgut ist es auch wichtig, das Unrech von Hassreden als Tatbestandselement einzubeziehen. Um über eine strafrechtliche Regulierung der Hassrede zu diskutieren, müssen daher die durch Hassrede zu schützenden Rechtsgüter gebildet werden können. Und der Charakter des Unrechts der Hassrede nach dem Grundsatz der Klarheit sollen konstruiert werden können. Auch die Beweiserteilung sollte als Voraussetzung überprüft werden. Die Tatsache, dass es noch keinen Konsens über den Begriff der Hassrede gibt, macht es schwierig, das Unrecht von Hassrede als objektiven Tatbestand in die strafrechtliche Regulierung von Hassrede einzubeziehen. Letztlich wirft dies das Problem auf, das Unrecht von Hassreden durch subjektive Tatbestand zu komponieren. Wenn man an die strafrechtliche Regulierung von Hassreden denkt, sollte dies nicht in einer umfassenden symbolischen Bedeutung bleiben. Strafrechtliche Regelungen zu Hassrede sollen in der Lage sein, konkrete Verbote, die den Normgläubigen eine Entscheidungsfunktion und gegenüber den Normanwendern eine Bewertungsfunktion bieten können, als konkrete und spezifische normative Inhalte inhaltlich darzustellen. Es ist unerwünscht, dass es zu einem weit verbreiteten Phänomen wird, zu behaupten, dass eine bestimmte Handlung sozial schädlich ist und als Bestrafung behandelt werden sollte, um sie zu lösen. Ohne die Möglichkeit der Voraussetzungen für strafrechtliche Sanktionen für eine konkrete Handlung zu prüfen, sollte vermieden werden, dass ein Gesetzesvorschlag zur strafrechtlichen Bestrafung vorgelegt wird. Allein die Rechtfertigung einer Strafe für eine bestimmte Handlung kann kein Verbrechen darstellen. Dabei soll es möglich sein, die Zusammensetzbarkeit von geschützten Rechtsgütern und der konkreten Tat als strafbar zu machen. In diesem Beitrag soll keine konzeptionelle Definition von Hassrede oder eine unabhängige Position zu Hassrede darstellen. Als Voraussetzung für die Diskussion der strafrechtlichen Regulierung von Hassrede(Hate Speech) untersuche ich die Möglichkeit der Konstruktion von Rechtsgütern, die systematische Lokalisierung von Rechtsgütern, ob Akte von Hassrede(Hate Speech) Unrechtselemente darstellen können und die Problematik des Nachweises subjektiver Elemente.

      • KCI등재

        주의의무위반성의 척도로서 사려 깊은 일반인 의 비판적 검토

        류전철(Chen Chel Ryu)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2 비교형사법연구 Vol.4 No.1

        Das Fahrlassigkeitsdelikt unterscheidet sich vom Vorsatzdelikt im Unrecht. Im Vorsatzdelikt ist es die auf den mißbilligten Erfolg hin gesteuerte Handlung, die gegen das Verbot verstoßt und dem Tater als Unrecht vorgeworfen wird, warend im Fahrlassigkeitsdelikt die sorgfaltswidrige Handlung Gegenstand des Unrechtsurteils ist. Aber damit ist nur der Handlungsunwert bestimmt. Fur den Handlungsunwert von Entscheidender Bedeutung ist der Maßstab, nach dem die Sorgfaltswidrigkeit eines Verhaltens zu beurteilen ist. Dies ist umstritten. Die herrschende Auffassung will die das Unrecht begrundende Sorgfaltswidrigkeit objektiv definieren. Sorgfaltswidrig sei eine Handlung schon dann, wenn ein gedachter Beurteiler die Handlung als fur das Schutzobjekt gefahrlich erkannte hatte. Es komme fur die objektive Sorgfaltswidrigkeit auf das Leitbild eines “einsichtigen Menschen” in der Lage des Taters an. Dabei handele es sich um einen besonnenen und umsichtigen Teilnehmer des Verkehrskreises, in dem der Tater handelt. Demgegenuber will die Auffassung des individuellen Maßstabes die Sorgfaltswidrigkeit allein an den Kenntnissen und Fahigkeiten des Taters orientieren. Sorgfaltswidrigkeit sei eine Handlung dann, wenn der Tater zum Zeitpunkt der Handlung deren Gefahrlichkeit fur das Rechtsgut hatte erkennen konnen. Meiner Ansicht nach ist der besondere Kernpunkt dieser Auseinandersetzung, daß der Verhaltensnorm unterschiedliche Bedeutung gegeben werden. Auch es kommt darauf an, ob der objektive Maßstab konkretisiert werden kann. Objektiver Maßstab hat sich als unbrauchbar erwiesen. Wir haben bis jetzt stillschweigend als Durchschitts oder Mittelwertstzpus aufgefaßt. Aber die Einzelpersonlichkeiten lassen sich nicht in Form mathematischer Großen in einem Parallelogramm zusammenfassen. Ob die erforderliche Sorgfalt eingehalten ist, soll nach dem mutmaßlichen Verhalten nicht eines belibigen Normalmenschen, sondern eines “gewissenhaften und verstadigen Angehorigen dieses Verhaltenskreises”, dem der Tater gehort, beurteilt werden. Diese Auffassung verwendet in Wahrheit ebenfalls einen Durchschnittsmaßstab, nur verkleinert sie den Personkreis, aus dem der Druchschnitt ermittelt werden soll. Aber hier ist es auch unmoglich einen Durschnitt festzustellen. Der Maßstab, der zur Feststellung der erfordelichen Sorgfalt im Einzelfall dienen soll, muß naturgemaß so beschaffen sein, daß mit seiner Hilfe der Sorgfaltsanforderung als Forderung der Norm richtig bestimmt werden kann. Damit wird auch der Inhalt dieses Maßstab durch die Norm festgelegt.

      • KCI등재

        유기천 형법학 각론강의의 해석방법론

        류전철(Ryu, Chen-Chel)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3

        한국 형법학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기(轉機)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에 우리 형법학에 영향을 미친 형법학의 유산을 다시 돌아볼 필요가 있다. 과거의 유산을 재발견하는 작업을 통해서 우리가 놓친 부분을 확인하고 한국 형법학의 독자적인 발전을 위한모티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하나의 다른 가능성과 길을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계기로서 우리 형법학에 큰 영향을 끼친 유기천(Paul K. Ryu) 교수의 형법각론강의를 음미하고자 한다. 그는 ‘모호한 개념의 논리적 분석만으로 만족하고 형법학의 학문성을 그 속에서 구하여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근본적으로 상징으로서의 개념, 자체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고 학문의 본질론과 관련 하에서 가장 합리적인 이론체계의 구성’이라고 형법학을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그의 형법각론강의를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먼저 형법해석방법론의 관점에서 형법각칙의 규율대상인 개개의 구체적인 생활사실이 갖는 사회현상・문화현상으로서의 측면과 그 역사성을 고려하고 있는 그의 해석방법론을 일반적인 법해석방법론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형법각론강의의 구성체계와 서술형식을 분석한다. 그는 형법각칙에 대한 개개의 법규의 해석론(de lege lata) 에 들어가기 전에 형법규정을 입법론(de lege ferenda)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고찰은 해석론적 지침으로 삼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형법각론해석론과 다른 해석론을 전개한 특징적인 내용을 분석하고있다. 예를 들어 형법각론의 재산범죄분야 - 배임죄와 관련한 논의, 명의신탁과 관련된논의에서 최근에도 명백하게 정리되지 못한 쟁점들을 이미 1963년 유기천 교수의 형법각론강의(상) 머리말에 문제의 심각성을 예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조범죄에 관한해석론에서도 위조범죄를 ‘사회경제적 질서를 보호하는 형벌법규’라는 장으로 구성하고이를 조문의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기본이 되는 문서위조죄부터 해석론을 전개하는 것은 독자적일 뿐만 아니라 본질에 부합하는 해석론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기천 교수의 형법각론강의에서의 해석방법론의 이해는 한국 형법학의 발전을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은 쟁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는 모티브로서 기대를 가지게 한다. At the time of needing a new turning poi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nal code in Korea, it is necessary for us to look back to the legacy of the criminal jurisprudenc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ur penal code. By the operation of redeveloping the past legacy, we can confirm the parts that we have missed in the past and make that into a motive for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the Korean penal code.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give an opportunity to think of another way and the possibility. And investigate Professor Paul K. Ryu’s lecture of particular criminal law that had a huge influence on the penal code. He comprehends the law by saying, “the most reasonable composition of precisely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concept as a symbol and the essence of itself that is relevant to the theory of nature of learning; instead of just being content with logical analysis of ambiguous idea and being settled with finding out the implication of criminal law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this kind of understanding, this thesis analyzes the Professor Ryu’s lecture in three different point of views. First of all,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law analysis methodology, we examine the methodology by comparing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 cultural phenomenon that individual regulated target gets in the life time with the general criminal law analysis methodology. Then we have to examine the system of organization and the form of description of the lecture. Before focusing on the particular criminal law of de lege lata, Professor Ryu considered the provision of the law as de lege ferenda. This kind of consideration intends to make it as the guideline that is interpretable. Lastly, the thesis examines the distinctive content of other particular criminal laws and the theories of analysis. For example, we can look at the area of property crime - when we look at the debates that are relevant to the malfeasance in office and the nominal trust, not only the foreword of Professor Ryu’s lecture have already predicte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of the various issues that were not clearly taken care of in 1963, but made “The Regulation of the Criminal Law that protects Social and Economic order” into a chapter for the forgery offences to not worry about the order of the provision. Developing from the forgery of documents in the theory of analysis is independent and also corresponds with the essence. As a conclusion, not only we can find the clu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riminal law in Korea through understanding the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the lecture of the particular criminal laws by Professor Ryu, we can expect that it gives a motive to take care of the problems that were not clearly solved.

      • KCI등재

        형사소송의 목적

        류전철(Ryu Chen Chel)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6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8 No.1

        지금까지 형사소송의 목적에 대한 논의는 마치 전장에 휘날리는 각 진영의 휘장처럼 논자의 이념과 가치를 표상하는 의미 이상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이 글에서 형사소송의 목적을 논의하는 것은 어떤 특정한 형사소송 목적론의 우위를 주장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형사소송의 목적에 관한 논의를 통해서 형사소송의 본질과 한계를 확인하고 형사사법현실을 위해 실질적으로 형사소송법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거나, 될 수 있는 논의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인식의 변화와 형사소송의 목적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대를 위해서 먼저 형사소송의 목적에 관한 논의를 기존의 이론과 실무의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이론적 논의와 관련해서 우리 형사소송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독일과 일본에서의 논의를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대륙법계 형사소송체계에서 형사소송의 목적에 관한 논의의 특징과 그 한계를 인식할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형사절차를 통해서 형법을 통한 국가형벌권의 정당화가 이루어지만, 그렇다고 국가 형벌권의 정당화가 사실상 범해진 것으로 전제된 법침해로부터 정당화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소송의 상황은 불확실성의 상황이기 때문이다. 즉 실제 행위자가 범한 것이 실체진실이기 때문에 국가 형벌권의 행사가 정당화되는 것이 아니라, 절차법인 형사소송을 통한 불확실성의 극복과정을 거친 것이라는 점에서 정당성의 근거가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법의 회복은 실체법적으로 야기된 법침해와 형사절차를 통한 국가적인 반응이라는 사유적인 관련성만으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구속력있는 조처들을 통해서 -특히 유죄판결 그리고 그에 연결된 형벌- 현실화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형사소송의 목적은 불확실성의 상황으로부터 규범적으로 승인된 진실탐구라고 할 수 있다. 국가 형벌권의 대상으로서 범죄는 형사소송이라는 절차를 통해 그 사실관계가 확정되어야만 형벌부과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그 사실관계는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상황에서 진행되는 형사소송이라는 절차를 통해서 정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실관계의 확정의 의미는 현실화된 사실이 아니라 규범적으로 승인된 사실이라는 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불확실성의 상황으로부터 규범적으로 승인된 진실탐구를 형사소송의 목적으로 이해하는 관점에서 논란이 많은 형사소송절차 중 과학적 증거의 사용과 협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Es ist für das Verständnis strafprozessualer Institut und Vorschriften unverzichtbar, sich über den Zweck des Strafprozesses Rechenschaft abzulegen. Wer über den Zweck des Strafprozesses vortragen will, der behauptet trotzdem implizit, dass dieser Zweck bislang noch unzureichend geklärt ist. Um der Komplexität der Leistung im Strafverfahren gerecht zu werden, gelten als der Zweck des Strafprozesses nach wohl überwigender Meinung die materiell richtige Entscheidung und die Prozessordnungsgemäßheit (Justizförmigkeit). Hier setzt die materiell richtige Entscheidung voraus, die Ermittlung der objektiven Wahrheit möglich zu sein. Aber übliche Rede von der Ermittlung der wahren Tatschengrundlage kann nur in einem normativen Sinn der Annäherung gemeit sein. Während das materielle Strafrecht durch Tatbestand und Rechtsfolge nur eine normative Vorgabe für die Wiederherstellung des Rechts auf die Basis eines als wirklich vorausgesetzten Rechsbruchs gibt, liegt die Leistung des Strafverfahrens gerade darin, auf der Basis von Unsicherheit über einen nur möglichen Rechtsbruch die zur Wiederherstellung des Rechts erforderlichen Entscheidungen verbindlich zu treffen und so der Wiederherstellung ihre Wirklichkeit zu geben. In diesem Moment handelt es sich darum, dass die Situation des Strafprozesses eine Situation der Unsicherheit ist. Der Zweck des Strafprozesses wird als normative anerkannte Wahrheitser mittlung aus der Situation der Unsicherheit verstanden können. In dieser Hi nsicht kann die Verwendung von wissenschaftlichen Beweise – z.B Video-Aufnahmen- mehr erweitert werden. Aber die sog. Absprache (plea barginning) kann nicht akzeptieren, weil sie das Problem der Situation der Unsicher heit eines Strafverfahrens nicht löst.

      • KCI등재

        공동정범의 이론구성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류전철 ( Chen-chel Ryu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6 비교형사법연구 Vol.18 No.2

        우리 형법은 정범과 공범을 분리하는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계 는 단일정범체계에 비해서 법치국가와 죄형법정주의 원칙의 구현이라는 점 에서 그 정당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정범, 특히 공동정범의 이론구성이 다분히 형사정책적 관점을 기준으로 근거 지워지고 있다는 점에서 정당성의 근거가 흔들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공모``개념을 매개로 하여 구성된 판례의 공모공동정범이론은 오랫동안 학 계의 공동정범이론을 왜곡시키면서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논쟁을 이끌어 왔다. 최근의 공모공동정범관련 판례들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변화들은 다시금 우리에게 공동정범이론의 재정립을 위한 계기를 부여하고 있다. ``공모``개념을 공동정범이론에서 배제하고도 공동정범의 여러 사례들을 해결할 수 있어야만 공동정범이론의 정립과 발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능적 행위 지배설의 판단기준을 구체화하여 사안에 적용하는 것이 지금 우리 형법학계 에 요구되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독일의 범행지배설(Tatherrschaft) 의 영향을 받아 정범과 공범을 구별하고, 공동정범의 경우 기능적 행위지배 설이 통설적 위치에 있지만, 기능적 행위지배설에 의한 공동정범이론의 현실 은 ``본질적 기여``라는 표지에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동정범의 이론의 기본적 관점을 새롭게 조명하여 문제 해결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독일 형법학의 공동정범이론뿐만 아니라 법체계가 다른 미국과 영국의 형법학에서 공동정범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을 참고할 필요가 제기 된다. 본 논문은 공동정범이론 구성과 실무적용에 서 드러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법적 연구를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The Korean criminal law is composed of a system that separate principals and accomplices. Such a system has its own justification in terms of realizing a law-governed state and the principle of legality, compared to the single-principal system. However, the basis of justification seems unstable, in that the principal theorization, especially the joint-principal one, is mostly based on criminal-policy perspectives. Based precedents composed through the medium of the concept, ``conspiracy``, Theory of Joint-Principal through Conspiracy has led unnecessary and consumptive arguments while distorting the other joint-principal theories in the academic circles for a long time. Recently, however, a series of changes made in some precedents related to Theory of Joint-Principal through Conspiracy are providing us with a chance to reestablish a jointprincipal theory. Only when solving joint-principal cases with the concept, ``Conspiracy`` excluded from the joint-principal theory, we will be able to reestablish and develop this theory. Thus, embodying a standard of judgement for Theory of Functional Behavior Domination and applying it to this issue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s the academic circles of criminal law should complete at present. In fact, the Korean criminal law system separates principals and accomplices under the influence of ``Tatherrschaft`` (Theory of Crime Domination) from Germany, and Theory of Functional Behavior Domination works as a common theory for jointprincipals, but the reality of Theory of Joint-Principal through Conspiracy, established through Theory of Functional Behavior Domination, is not beyond its labeling, ``Fundamental Contribution``. In such a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solve these problems by newly highlighting the basic perspectives of joint-principal theories. Especially, this study found it necessary to refer to other methodologies used to solve joint-principal problems in the U. S. and U. K. with different criminal law systems, in addition to joint-principal theories from the German criminal law. Overall,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seek a plan to solve joint-principal problems as a comparative research, while overcoming difficulties found in the theorization and application of joint-principal theories.

      • KCI등재

        공범이론에서 ‘공모'(共謀)개념의 문제성

        류전철(Ryu, Chen-Chel) 한국형사법학회 2014 刑事法硏究 Vol.26 No.1

        형법이론은 정범과 공범을 행위지배설에 근거하여 공범체계를 나름대로 정립해 나아가고 있는 반면에 판례는 흡사 단일정범체계에서 가능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인상을 주고 있다. 이러한 인상은 소위 공모공동정범에 관한 판례의 논지에서 강하게 드러나며 특히 ‘공모’부분을 설시하는 이유부분에서 정점을 이룬다. 그리고 ‘공모관계로부터 이탈’이라는 기형적 시혜인 파생물이 뒤따른다. 대법원은 거의 60여 년 동안 공모공동정범을 일관하여 인정하여 오고 있다. 실행행위에 가담하지 않은 자를 처벌할 필요성이라는 형사정책적 당위성을 근거로 구성된 이 이론은 공범이론 전체를 뒤흔드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고, 이에 대한 정당한 학계의 비판의 목소리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의 공모공동정범에 관한 판례는 학계의 비판을 의식한 것인지는 모르나 몇 가지 소통가능성이 있는 용어들을 사용하여 관심을 끌고 있다. 학계의 일부에서도 공모공동정범의 ‘공모’보다는 공동정범이론의 ‘정범성표지’를 통해 소위 공모공동정범을 공동정범으로 볼 수 있는 지를 모색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모는 공동정범의 주관적 요소인 ‘공동가공의 의사’와는 다른 범죄계획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 범행계획에 참여하는 자가 공동으로 범행계획이 존재한다는 것을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 의사의 연락으로서 공동가공의 의사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모와 공동정범의 주관적 요건인 공동가공의 의사를 동일시하고 공모만 있어도 공동정범이 성립한다는 판례의 입장을 비판하고 있다. 판례가 기능적 행위지배이론에 의거하여 공모공동정범의 성립을 구성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공동정범의 본질로서 기능적 행위지배설에서 출발한 경우에는 여전히 불완전한 이론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공모’라는 개념을 배제하고도 기존의 공동정범이론을 통해서 공동의 가공의사가 있는 자가 공동정범의 객관적 요건인 실행행위를 공동하지 않은 경우를 검토하고 공동정범의 성립을 인정할 여지를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즉 공범이론의 정립을 위해서는 공모공동정범을 공동정범이론의 방향으로 수렴시키는 것보다는 공동정범이론을 공모공동정범 사례에 확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cepts of Principal and Accomplice of Criminal Law Theory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complicity system, while Judicial precedent has given the impression that it resolves problems in the way which is available in a unitary system. This impression is strongly revealed in the point of precedent concerning so-called conspiracy legal theory and especially it peaks in the part of suggesting the reason of Conspiracy. Thus, an abnormal derivative, ‘a breakaway from the complicity’ is followed. The Supreme Court has consistently admitted to a conspiracy legal theory approximately for 60 years. The theory has brought a result which shakes the whole complicity theory up due to its base on the appropriateness in a criminal policy, the necessity of punishing a person who is not even involved in practicing action, and as a response for it, justifiable criticisms from the people in the academic world have come out in succession. However, recent judicial precedent about conspiracy legal theory of the Supreme Court draw some attention by using a few terms that might be communication possibility. We don’t know whether it is reaction to the criticisms in the academic world or not. Some of them in the academic world try to keep figuring out that conspiracy legal theory could be considered as joint principal offender through the mark of Principal, rather that ‘Complicity’ of the joint principal offender. In this paper, Conspiracy means plan of crime itself unlike the subjective element of the co-principals, - co-decision process - and the self-recognition that the partaker who participates in the crime plan recognizes a crime plan jointly exists is defined as co-decision process by expression of opinion. In this light, the judicial precedent that the subjective requirements of Conspiracy and Co-principals, co-decision process, is considered identical, and if there is only a conspiracy, Co-principals will be valid takes criticism. Case law o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behavior conspiracy theories dominate the formation of a joint attempt to configure co-principals is positively evaluated. However, as the nature of the functional behavior co-principals ruled jointly from set theory, if the configuration is still said to be incomplete. We ‘competition’ is to eliminate the concept of co-existing theory through co-principals willing to co-processing requirement of self-run objective of co- principals. If you do not a theorization starts from the functional behavior conspiracy theories as an essence of the co-principals, in this case it still said to be incomplete. If you do not have to conduct a joint review of the room to accept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research co-principals it should be.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y of accomplice conspired to jointly co-principals theory rather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rgence of the joint co-principals theory ‘Conspiracy’ accomplice cases it is desirable to spread.

      • KCI등재

        과실의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와 과실범의 구별

        류전철(Ryu, Chen-Chel)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5 No.2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actio libera in causa)란 행위자가 결과발생의 위험을알거나 알 수 있었으면서 스스로 자기 자신을 심신장애(심신상실 또는 심신미약) 상태에 빠지게 한 후 이 상태에서 범죄를 실현시킨 경우를 말한다. 이처럼 불법의 실행(actio) 은 자유롭지 않지만 그 원인설정은 자유로운, 즉 원인이 자유로운 행위는 애초부터 책임능력이 결여된 자의 그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를 처벌해야 한다는 취지를 반영하고있다. 형법 제10조 제3항에 대한 주류적인 해석론에 따른 결론은 이 규정이 고의에 의한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와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의 인정여부및 그 구별기준을 제시해 주는 것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를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있다 ① 고의의 원인행위와 고의의 구성요건실현행위의 조합, ② 고의의 원인행위와 과실의 구성요건실현행위의 조합, ③ 과실의 원인행위와 고의의 구성요건실현행위의 조합, ④ 과실의 원인행위와 과실의 구성요건실현행위의 조합 등이 그것이다. 여기서 첫 번째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유형은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로 이해한다. 그리고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자유로운 행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고의범이 아니라 과실범으로 처벌되어야 한다고한다. 그러나 형법 제10조 제3항은 불법판단을 받은 행위의 주관적 귀속의 전제인 책임능력에 대한 책임요소의 문제이며, 고의 또는 과실이라는 불법판단의 요소와는 무관한 규정인 것이다. 형법 제10조 제3항의 적용대상이 되는 행위가 어떤 특정 구성요건에 해당하고 위법성이 인정되는 행위, 즉 불법행위라면, 고의 또는 과실을 구성요건요소로 보는 범죄체계를 따르는 한, 여기서 말하는 불법행위가 ‘고의’행위인가 ‘과실’행위인가에대해서는 이미 결정이 내려진 상태이다. 따라서 형법 제10조 제3항에 규정된 어떤 개념요소(예컨대, 자의, 예견 등)도 이미 결정된 행위의 고의성 또는 과실성을 바꿀 수 있는작용을 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형법 제10조 제3항의 ‘자의’ 및 ‘위험발생의 예견’이라는 개념은 완전책임을 근거지우기 위한 요건, 즉 비난가능성을 근거지우기 위한 요건으로 이해하여야한다는 점과 과실의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가 과실범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과실의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가 고의범을 과실범으로 변환시키는 듯한 착시적 현상을 구별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Actio libera in causa” refers to a crime committed under a state of physical or mental disorder (loss of physical or mental capacity or deficient physical or mental capacity) caused by the criminal himself/herself who perceived, or could perceive the risk of a criminal outcome. The justification for punishing such act is that an actio libera in causa is different from an act committed by a person who lacked the capacity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one’s act from the very start, because a person who committed an actio libera in causa was not free (libera) in one’s act (actio), but was free in causing such a state under which the act was committed.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on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Article distinguishes between a deliberate actio libera in causa and a negligent actio libera in causa, and provides criteria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Based on such premise, the mainstream theory categorizes actio libera in causa into four combinations: ① A deliberate act which caused lack of capacity and a deliberate act which constitutes a crime. ② A deliberate act which caused lack of capacity and a negligent act which constitutes a crime. ③ A negligent act which caused lack of capacity and a deliberate act which constitutes a crime. ④ A negligent act which caused lack of capacity and a negligent act which constitutes a crime. According to the mainstream theory, the three combinations other than the first constitute actio libera in causa. The mainstream theory also contends that a negligent actio libera in causa should be punished as criminal negligence rather than a deliberate crime.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however, addresses the issue of ‘responsibility,’ that is, one’s capacity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one’s act, which forms the basis for personal attribution of an act deemed unlawful: it holds no relevance to the issue of intention or negligence, which determines the unlawfulness of an act. If an act subject to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is an unlawful act, an act that has the elements required to constitute a certain crime and has been found to be illegal, it means that the issue of whether such unlawful act is a ‘deliberate’ act or a ‘negligent’ act has already been concluded, as long as the current criminal system understands intention or negligence as an element that constitutes a crime. Therefore, none of the conceptual elements contained in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e.g. anticipation, intentional, etc.) can change the deliberate nature or negligent nature of an act once it is determined.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oncepts, ‘intentional’ and ‘anticipation of risk’ under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should be understood as elements to set the basis for imposing full responsibility, that is, culpability, and that such aspect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illusion that an actio libera in causa turns a deliberate crime into criminal neg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