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미베리오그램을 이용한 KoFlux 광릉(산림) 및 해남(농경지) 관측지 지면모수의 공간 비균질성 정량화

        문상기 ( Sang Ki Moon ),류영렬 ( Young Ryel Ryu ),이동호 ( Dong Ho Lee ),김준 ( Joon Kim ),임종환 ( Jong Hwan L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7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9 No.2

        경관의 비균질성은 원격 탐사에 의한 지면 특성 관측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지면 모수의 경관 비균질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지구통계기법을 소개한다. 연구지역은 두 곳의 KoFlux 연구지로서 (1) 복잡지형의 온대 혼합림으로 구성된 광릉 연구지와 (2) 비교적 평탄한 농경지인 해남 연구지이다. 복사 모수인 지면온도(LST)와 알베도의 공간적 비균질성을 특성화하기 위하여 세미베리오그램과 프랙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두 모수는 두 연구지의 상향 장파 및 단파 복사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들이다. 이 모수들은 2001년 9월 23일과 2002년 2월 14일의 두 지역의 고해상도 Landsat ETM+영상에서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광릉과 해남 연구지는 알베도의 특성 규모가 각각 1 km 이상 그리고 약 0.3km 이었다. 지면온도의 경우, 특성 규모는 광릉이 1km 이상 그리고 해남이 0.6-1.0 km 이상이었다. 두 지면 모수의 특성 규모는 두 지역에서 모두 계절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he remote sensing observations of land surface properties are inevitably influenced by the landscape heterogeneit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geostatistical technique to provide a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heterogeneity in terms of key land surface parameters. The study areas consist of the two KoFlux sites: (1) the Gwangneung site, covered with temperate mixed forests on a complex terrain, and (2) the Haenam site with mixed croplands on a relatively flat terrain. The semivariogram and fractal analyses were performed for both sites to characterize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wo radiation parameters, i.e.,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and albedo. These parameters a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reflected longwave and shortwave radiation components from the two study sites. We derived them from the high-resolution Landsat ETM+ satellite images collected on 23 Sep. 2001 and 14 Feb. 2002.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 scales of albedo was >1 km at the Gwangneung site and approximately 0.3 km at the Haenam site. For LST, the scale of heterogeneity was also >1 km at the Gwangneung site and >0.6 to 1.0 km at the Haenam site. At both sites,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characteristic scales of the two parameters between the two different seasons.

      • KCI등재

        시민과학을 활용한 수원시에 출몰하는 떼까마귀(Corvus frugilegus)의 일출 및 일몰시 선호 서식지 분석

        윤지원 ( Yun J I-weon ),신원협 ( Shin Won-hyeop ),김지환 ( Kim J I-hwan ),이석영 ( Yi Sok-young ),김도희 ( Kim Do-hee ),김유빈 ( Kim Yu-vin ),류영렬 ( Ryu Young-ryel ),송영근 ( Song Young-keu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4 No.6

        In Suwon, the overall hygiene of the city is threatened by the emergence of the rook(Corvus fugilegus) in the city. Rooks began to appear in November of 2016 and has continued to appear from November to March every year. In order to eradicate or to prepare an alternative habitat for rook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ferred habitat and specific environmental variables. Therefore, in this work, we aim to understand the predicted distribution of rooks in Suwon City with citizen science and through MaxENT, the most widely utilized habitat modeling using citizen science to analyze the preferred habitat of harmful tides appearing in urban areas. In this study, seven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chosen: biotope group complex, building floor, vegetation, euclidean distance from farmland, euclidean distance from streetlamp, and euclidean distance from pole and DEM. Among the estimated models, after the time period of sunrise (08:00~18:00) the contribution percentage were as following: euclidean distance from arable land(39.2%), DEM(25.5%), euclidean distance from streetlamp(22.3%), euclidean distance from pole(7.1%), biotope group complex(4.9%), building floor(1%), vegetation(0%). In the time period after sunset(18:00~08:00) the contribution percentage were as following: biotope group complex(437.4%), euclidean distance from pole(26.8%), DEM(13.4%), euclidean distance from streetlamp(11.8%), euclidean distance from farmland(7.9%), building floor(1.4%), vegetation(1.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