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석헌의 『바가바드 기타』 주석에 나타나는 인용 모음 주석법의 재해석

        나혜숙 ( Hae Sook Ra ) 인도철학회 2016 印度哲學 Vol.0 No.46

        본 연구는 함석헌(1901-1989)의 『바가바드 기타』 주석에 나타나는 인용 모음 주석법을 재조명한다. 기존의 해석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함석헌이 인용 모음 주석법을 사용하는 이유가 독자의 『기타』 이해를 돕는 데 있다고 주장하고 다섯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함석헌은 마치 초횡의 『노자익』처럼 『기타』에 대한 좋은 주들의 요점만 모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편리함을 추구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함석헌의 『기타』 주석서를 ‘기타익’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함석헌은 『기타』 본문에는 없는 해제와 서론을 만들었다. 도움 없이 『기타』를 읽기 어려웠던 경험이 있는 그는, 해제와 서론을 만드는것은 독자가 『기타』를 읽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라고 직접 밝혔다. 셋째, 함석헌은 어려운 단어, 구절, 시구에 여러 번역과 주석을 제공한다. 자신의 인도 철학 지식에 한계가 있으므로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번역과 주석을 제공해 독자가 읽고 스스로 뜻을 가늠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넷째, 함석헌은 다른 주석을 인용할 때 논리적인 핵심만 인용하지 않고 다른 주석가들이 사용하는 인용까지 포함시키는 일이 잦다. 그 이유는 되도록 다양한 인용을 통해 생소한 『기타』를 이해하기가 수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함석헌은 여섯 명의 『기타』 주석가 가운데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을 압도적으로 인용한다. 라다크리슈난은 문헌을 풀이하고, 동서양의 예시를 풍부하게 들고, 중세 힌두 주석가들도 인용하는 주석가이 므로, 『기타』의 내용을 조금 더 알기 쉽게 소개하기에 적합했을 것이다. 이 사실들에 근거를 둘 때, 함석헌의 인용 주석법은 선별한 모음이고 독자의 『기타』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에서 나온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shedding new light on Ham Seok-heon’s commentarial method of collecting quotations in his commentary on the Bhagavad Gita (henceforth Gita). Although he leaves his own comments, Ham Seok-heon (1901-1989, henceforth Ham) mainly uses a particular kind of commentarial method; that is, he quotes passages from both other commentators’ commentaries and other religious texts as well as works of literature. Previously, several scholars interpreted this kind of commentarial method as a disorderly enumeration of quotations or as based on religious pluralism, and so on.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it is rather a selected collection of quotations, by which he wants to help the readers of the commented text Gita understand better. I suggest five reasons for this argument. First, mentioning Jiao Hong(焦횡)’s commentarial method in the 『老子翼』, Ham writes that Jiao Hong collected at one place selected good comments from different commentaries. Considering this record, it can be assumed that Ham also desired the readers of the Gita to read at one place the selected good comments. Second, He makes a preface, which is a translation of two chapters from a dif ferent book, to the Gita and the introductions to almost every chapter of It. Having an experience of reading it almost without any commentarial aid, Ham writes himself that he makes the preface and introductions for the sake of helping the readers understand the Gita better. Third, he provides the difficult words, phrases, and sentences of the Gita with various translations and comments. As he reveals that he is not conversant with Indian philosophy, the various translations and comments are for the readers themselves to decide the meaning of those difficult parts. Fourth, he quotes not only the logical and central ideas but also rich citations that other commentators provide. It can be conjectured that Ham wanted to include numerous citations, so that they facilitate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Gita. Finally, Ham depends most on Radhakrishnan’s comments, which are characterized as annotating the Gita text, giving abundant citations from both the Eastern and the Western traditions, and quoting the medieval Indian commentators such as Sankara, Ramanuja, and Madhva. Based on these five observations,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Ham’s commentarial method of collecting quotations was devised in order to help the readers of the Gita acquire a better understanding of It.

      • KCI등재

        『브리하다란야카 우파니샤드 주석서』의 중요성

        나혜숙 ( Hae Sook Ra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6

        This paper studies Sankara`s Brhadaranyaka Upanisad Bhasya (henceforth BUBh), which is a commentarial work on the Brhadaranyaka Upanisad, one of the two earliest Upanisads. The BUBh is worth studying as itself since it is very important both in the Upanisadic corpus and in the Advaitin commentarial tradition. It also is to be studied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Upanisads are most fundamental and authoritative among the three main scriptures for the Vedanta tradition, i.e., the Upanisads, the Bhagavad Gita and the Brahma Sutra; second, the BUBh is the longest commentary among all of his commentarial works on the Upanisads and the ideas contained it are as rich as his commentary on the Brahma Sutra; and lastly, the BUBh`s literary style has been revered by some Sanskritists and Indologists.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read this important text BUBh as a whole, not in extracted or summarized forms,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lish it better, because the text is arranged in the pedagogical order so that the first portion on the same argument is for the beginners and the later portion on the same argument is for the advanced learners. Through reading the entire text, the philosopher and commentator Sankara turns out to be a careful teacher who greatly cares about how to reveal his teachings to his audience. Therefore, one should read this text from start to end to understand both it and its commentator better.

      • KCI등재

        힌두 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의 해석: 류영모와 함석헌의 비교를 중심으로

        나혜숙 ( Ra Hae Sook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비평 Vol.40 No.40

        본고는 힌두(Hindu) 사상에 대한 한국의 두 그리스도교(개신교) 사상가 류영모와 함석헌의 해석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힌두 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해석을 이전보다 확장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힌두 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해석은 함석헌(1901~1989)만 연구되어 있었다. 그리고 함석헌의 해석을 다룬 연구는 ‘간디(Gandhi)’와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ītā, 이하 ≪기타≫로 약칭)’라는 두 주제에 한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류영모(1890~1981)는 겉으로는 힌두 사상과 연관이 적어 보이지만 그의 삶에서는 연관이 큰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류영모는 힌두 사상에 관련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를 다룰 때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사상가이다. 류영모와 함석헌은 힌두 사상 가운데 세 주제를 공통으로 논한다. 그것은 힌두 경전 ‘≪기타≫’, 힌두 사상가 ‘간디’, 힌두 수행법 ‘요가(yoga)’이다. 본고에서는 ≪기타≫, 간디, 요가에 대한 류영모와 함석헌의 해석을 비교한 후 차이점과 공통점을 논한다. 먼저, 힌두 사상을 류영모는 ‘몸 수행’에, 함석헌은 ‘정신’에 초점을 두어 해석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점은 있지만, 그들은 그리스도교인으로서 자신들의 굳건한 ‘신앙’ 안에서 힌두 사상을 해석하는 공통점이 있다고 주장한다. 본고의 의의는 세 가지이다. 첫째, 본고는 힌두 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해석을 이전보다 확장해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본고에서는 처음으로 힌두 사상에 대한 류영모의 해석을 다루고, 요가라는 새로운 주제로 함석헌의 해석을 다룬다. 그리고 류영모와 함석헌의 해석을 한자리에서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입장만 살필 때보다 두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입장을 분명하게 이해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힌두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해석을 이전보다 확장해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둘째, 본고는 류영모와 함석헌의 독자성에 관해 새로운 평가를 제시한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두 사상가 간 독자성의 요점이 류영모는 정신성과 개인성, 함석헌은 사회적 실천성과 역사성에 있었다. 그런데 본고에서는 ‘힌두 사상에 관해서는’ 류영모는 몸수행, 함석헌은 정신성에 초점을 둔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두 그리스도교 사상가 류영모와 함석헌의 독자적 사상 관계를 살필 때 기존에 제시된 적 없는 새로운 평가를 추가로 제시한다. 셋째, 본고는 그리스도교인이 요가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는 데에 기여한다. 개신교의 교파들 가운데에는 그리스도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을 것을 우려해 요가를 경계하는 접근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것이 그리스도교 전체의 결정이 아니며, 그리스도교 안에 류영모와 함석헌과 같이 요가를 적극적으로 포용한 접근이 있다는 역사적 사실을 알린다. 그럼으로써 요가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입장에 다양성을 제시하고, 그리스도교인이 요가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참고하는 데에 기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hristian thinker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So far, only Sok-Hon Ham (1901~1989)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regard, and studies on his interpretation have been restricted to two topics: Gandhi and the Hindu scripture Bhagavad Gītā. Although it appears that Young-Mo Ryu (1890~1981), who was Ham’s teacher, has no relevance to Hindu thoughts, Ryu has mentioned them in his writings. Accordingly, Ryu should be studied for Korean Christian thinker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Ryu and Ham have certain things in common, with both of them discussing three topics of Hindu thoughts: the Bhagavad Gītā; the Hindu thinker “Gandhi”; and the Hindu practice “Yoga.” This study compares the interpretations of Ryu and Ham of these three Hindu thoughts, arguing that Ryu focuses on “bodily practice” and Ham on “spirituality.” The study also argues that despite this difference, they share a common feature in that they interpret these Hindu thoughts within their firm Christian faith.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can be view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t extend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Korean Christian thinker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It explores Ryu’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as well as Ham’s views on yoga for the first time. It also compares the interpretations of Ryu and Ham, and this helps understand their perspectives vividly than by considering them independently. Accordingly, this paper deepen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Korean Christian thinker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 new evaluation regarding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s of both Ryu and Ham. Existing studies have evaluated that the difference lies in that while Ryu focuses on spirituality and individuality, Ham considers social movement and historical perspectives. In addition, the study shows a different evaluation that “regarding Hindu thoughts,” Ryu focuses on bodily practice, and Ham on spirituality.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n additional and fresh assessment regarding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s of Ryu and Ham. Lastly, the study elevates Christians’ understanding of yoga. Among the many sects of Korean Christianity (Protestantism), a major sect had alerted about the danger of yoga, and concluded that yoga must not be practiced, and the word “yoga” must not be uttered. This study shows that not all Christians endorse this view, and that there is historical evidence that Christians like Ryu and Ham interpreted and accepted yoga positively. In this regar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within Christianity, there is another and older perspective of yoga, which elevates Christians’ understanding of yog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