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정보제시 유형이 몰입과 교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정재원 ( Jae Won Jung ),나청수 ( Chung Soo Nah ),김동식 ( Dong Sik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사전훈련을 마친 후 제공하는 애니메이션 정보제시 유형이 몰입과교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지부하 조절 측면에서 인지부하를 최적화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를 기반으로 네 가지 유형의 애니메이션 정보제시 유형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학습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생 52명이었고, 연구 대상자를 무작위로 네 집단으로 나누고 동일한 사전훈련을 제공한 후 본 학습에서는 애니메이션 정보 제시 유형을 집단 별로 차이를 두어 제공하였다(애니메이션과 내레이션을 제공한 그룹, 애니메이션과 요약 내레이션을 제공한 그룹, 애니메이션, 내레이션, 요약 텍스트를 제공한 그룹, 애니메이션, 요약 내레이션, 핵심단어를 제공한 그룹). 학습이 끝난 후 몰입, 인지부하, 학습내용 이해를 측정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고 교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애니메이션+요약 내레이션’ 그룹이 몰입과 교수효율성에서 가장 효과적, 효율적인 정보제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애니메이션+요약 내레이션+핵심단어’ 그룹도 몰입과 교수 효율성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사전훈련을 실시하는 멀티미디어 학습에서는 학습내용을 간략히 제시하거나 핵심 단어를 관련 내용 바로 옆에 제시함으로써 학습결과를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내용에 대한 관련 영역 스키마를 획득한 학습자에게는 학습자의 전문성을 고려한 정보제시 유형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전훈련이 학습자의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type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providedafter the pre-training on flow and instructional efficiency. Participants were 52 middle school students and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ach group was provided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presentationas follows after the pre-training: the animation with narration type, the animation with concise narrationtype, the animation, narration, with concise text type, the animation concise narration, with key word type.After e-learning, flow and instructional efficiency were analyzed using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are as follows: the flow and instructional efficiency of the animation with concise narration presented groupwas the highest and the animation, concise, with key word presented group was effective as well. Throughthis result, the presentation of concise contents or key words next to the relevant information can improvelearning performance in multimedia learning by utilizing pre-training.

      • KCI등재

        애니메이션 기반의 이러닝에서 정보제시 유형이 인지부하와 학습내용 이해에 미치는 영향

        정재원 ( Jae Won Jung ),김동식 ( Dong Sik Kim ),나청수 ( Chung Soo Nah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기반의 이러닝에서 애니메이션으로 인한 학습자의 인지부하를 최적화하고 학습효과를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보제시 유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지부하를 적정화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를 기반으로 네 가지 유형의 정보제시 유형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기반의 이러닝 학습을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92명이었고, 연구 대상자를 무작위로 네 집단으로 나누고 정보 제시 유형을 집단 별로 차이를 두어 제공하였다(애니메이션과 내레이션을 제공한 그룹, 애니메이션과 요약 내레이션을 제공한 그룹, 애니메이션, 내레이션, 요약 텍스트를 제공한 그룹, 애니메이션, 요약 내레이션, 핵심 단어를 제공한 그룹). 학습이 끝난 후, 인지부하와 학습내용 이해를 측정하여 선수지식과 공간지각능력을 공변수로 해서 공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습내용을 애니메이션, 요약 내레이션, 핵심 단어를 제시한 집단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았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았다. 정보 제시 유형이 학습내용 이해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다형 회상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서술식 회상 검사에서는 애니메이션, 요약 내레이션, 핵심 단어를 제시한 유형이 학습내용 이해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양식 원리, 중복 원리, 공간 인접 원리를 고려하여 설계한 정보 제시 유형이 불필요한 인지부하 발생을 줄이고 본유적 인지를 촉진하는데 도움을 주며 학습내용 이해에도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결과를 얻었다. 성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내재적 인지부하와 외재적 인지부하를 조절하고 본유적 인지를 촉진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애니메이션 기반의 이러닝 교수설계 전략에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type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to optimize cognitive load and promote the comprehension of contents in the animation-based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92 undergraduate students of ‘H’ University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ach group was provided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as follows: the animation with narration type, the animation with concise narration type, the animation, narration, with concise text type, the animation concise narration, with key word type. After e-learning, three types of cognitive load was analyzed; intrinsic cognitive load, extraneous cognitive load, germane cognitive lo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ntrinsic load of the animation with concise narration presented group was the lowest. The extraneous load of the animation, concise, with key word presented group was the lowest. The germane load of the animation, concise narration, with key word presented group was the highest. Regrading the comprehension of contents, it was found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nimation, concise narration, with key word presented group was better than other groups. Therefore, the type of the animation, concise narration, with key word was effective on both cognitive load and the comprehension of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