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관광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악을 활용한 여행 콘텐츠 개발 연구 : 강원도 관광지를 중심으로

        나윤빈(Yunbin Na),손승연(Seungyeon Son),황재원(Jaewon Hwang),정상목(Sangmok Jeong)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색다른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여행을 하며 음악이라는 콘텐츠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1].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여행분위기와 음악을 매칭해 즐길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 "맵핑 벌스(Mapping Verse)"를 기획했다. 먼저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에서 연상되는 보편적인 키워드를 소셜 데이터를 통해 추출하고, 해당 키워드에 부합하는 컬러 이미지 스케일을 활용해 키워드와 유사한 감성의 음악을 매핑 하고자 했다. 지역과 음악을 유사한 연상 키워드와 배색표로 맵핑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이를 적용하여 모바일 및 차량용 대시보드 UI 를 프로토타입으로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지 여행에서 새로운 음악 콘텐츠 추천 로직을 제안하려 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인문도시 지원사업의 활성화 방안 및 기대효과 연구

        나윤빈(Na Yunbin),성지선(Sung Ji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올해로 7년째를 맞이한 인문도시 지원사업이 지니는 기대효과를 탐색해보고, 항목별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문헌고찰과 전문가 14명으로부터 개방형 설문을 받아 기대효과 4개의 대항목과 17개의 소항목을 도출하였고, 항목별AHP 설문을 통해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대항목의 중요도는 사회적, 교육적, 경제적, 예술적 가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전체 소항목의 중요도는 공동체 및 유대감 형성, 주민행복감 증진, 주민갈등 완화 및 소통강화, 독서문화제고, 인문교양증진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고려한 인문도시사업 활성화의 주요 시사점은 협업강화, 네트워크구축, 인프라 확보, 비즈니스모델 개발, 정체성 탐색 등 크게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value items of the Human City support project, which celebrated its seventh year, and to examine their importance. Four major items and 17 small items related to the utility value were derived through 14 expert open questionnaires along with the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mportance of major items was high in the order of social, educational, economic and artistic values. The importance of all the sub-items was in the order of building community and bond, improving citizen’s happiness, reducing conflict and strengthening communication, enhancing reading culture, and humanistic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there are five ways to increase participation and sustainability: strengthen collaboration, build network, secure infrastructure, develop business model and search for identity.

      • KCI등재

        전통문화 기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연구개발 동향

        김민경(MinKyung Kim),나윤빈(YunBin N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는 4차산업 유망 분야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과 관련하여 전통문화 분야에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RISS 논문 검색어에 ‘전통문화’와 함께 각각 추가하였고, 이를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하였다. 논문 자료는 전통문화 가상현실에 대해 1,186건, 전통문화 증강현실에 대해 239건을 각각 수집했다. 분석결과, 가상현실 분야에서는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빈도분석에서 디지털, 가상공간, 미디어아트, 문화유산, 애니메이션 등이 높은 순위로 나타나는 공통점이 있었다. 증강현실 분야에서는 학술지와 학위논문간 빈도분석에서 4차산업혁명, 콘텐츠(문화콘텐츠 & 디지털콘텐츠) 등이 높은 순위로 나타나는 공통점을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in the VR, AR a rising field in Industry 4.0 for traditional culture and propose policy suggestions. The terms VR and AR, which refer to key configuration, were added alongside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terminology as journal articles search words to conduct this study and the used on text mining. The journal articles and theses collected from RISS yielded 1,186 on the traditional culture vr, and 239 on traditional culture AR. As a result of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of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showed that digital, virtual space, media art, cultural heritage, and animation were commonly ranked high. In the frequency analysis of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tent (cultural content & digital content) were found to be highly ran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