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회정,이정수,Kim, Hoe-Jung,Lee, Jeong-Soo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건축역사연구 Vol.19 No.6
This study includes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data on the Gyeolseong Eupseong, a coastal castle town of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yeolseong Eupseong, Eupchi(administrative office) was transferred to several different location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o strengthen defensive capabilities by utilizing the locational advantages of the Seokdang Mountain Fortress, second, to secure sufficient space for holding the castle and have access to water in times of emergencies, third, to strengthen coastal defence by utilizing geographical advantages. Most of the Gyeolseong Eupseong was damag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 present, there remain only part of the castle's facilities and some facilities that were restored later in modern times; 4 building sites have been identified. Remaining and destructed buildings can be identified through old maps(the local maps of 1872) and Zirizi and Eupzi(geography books). Also identified were 2 castle gate sites where a 1,500m-long stone castle wall and an ongseong(a crescent-shaped defensive structure), 5 chiseongs, and a most were constructed. The Gyeolseong area is assumed to have been a strategic foothold to defend the west coast from the days before the Three Kingdom Perio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ny records created before the Joseon Period. Therefore, the time of the restoration of the Eupchi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records crea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Finally, excavation work needs to be done to identify the locations of the castle's facilities.
해미읍성(海美邑城) 객사의 위치 및 건축구성 연구 -지적원도 및 사진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김회정,이정수,Kim, Hoe-Jung,Lee, Jeong-Soo 한국건축역사학회 2012 건축역사연구 Vol.21 No.3
This study is one that estimates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as well as the location of guest house of Haemi Eupseong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modern and contemporary data related to Haemi Eupseong.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has presented an opinion that can become a practical basis for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prototype of Haemi Eupseong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and contemporary data that had been unsatisfactory among the fruition of studies conducted in relation to Haemi Eupseong. The outcomes achiev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verified that the guest house of Haemi Eupseong that has been restored is one that has different architectural composition than the prototype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is restored in a different location. Secondly, in respect of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guest house found by the analysis of the pic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office has one step higher than the double-wing house in the form of the roof. Thirdly, the location of the guest house of Haemi Eupseong of the late Chosun Dynasty is judged to be the periphery area where the current restored guest house is located, which is where the teachers' building of Haemi elementary school was located. Fourthly, the prospect of the guest house of Haemi Eupseong is decided to be similar direction to the current restored guest house with the greatest possibility of having the same direction with the arrangement of teachers' building of Haemi Eupseong elementary school.
조선후기 금산군 읍치(관아지)의 역사경관 고증연구 : 조선후기 및 일제강점기 자료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김회정(Kim, Hoe-jung)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9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7 No.1
이번 연구는 조선시대 지방통치를 위해 전국에 약 330여 곳에 설치하였던 읍치 중 하나였었으나 일제강점기 이후 근현대 도시화로 그 역사도시적 경관을 완전히 상실하였던 금산군 읍치에 대해 고증하고자 하였으며, 그간 금산군읍치의 원형에 대한 도시적 차원의 고증연구가 부족했던 점을 고려해 볼 때, 나름의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다. 이번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조선후기 제작된 『1872년 지방지도』와 일제강점기 초기 제작된 『지적원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간 구전으로 일부 전해져 오던 금산군 읍치지 주요 시설들의 위치를 구체화하여 실제로 입지하였을 곳을 특정할 수 있었다는 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지적원도가 제작된 시기가 국권이 피탈된 지 최소 4년여가 지난상태에서 제작되어 그간 기존의 국공유지에 해당했던 읍치 내 국공유지 중 중요도가 낮은 필지들은 이미 민간에 불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일본인들이 지방으로 정착하기 위해 시도되었던 토지매매의 대상이 되어 일본인의 소유로 전환된 경우 등을 온전히 따져 분석하기에는 연구여건의 한계로 인해 더 깊이 있게 접근하지 못한 점은 아쉬운 점이다. 이러한 점은 향후 후속연구로 보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조선시대 읍치 연구의 최대 한계점은 실제 도시로서 읍치를 다루기 위한 다양한 자료들이 매우 부족하다는 점이 현실적으로 가장 큰 문제점이다. 이번 연구에서도 조선후기의 자료를 도대로 건물들의 입지와 공간관계 동에서는 일정한 성과를 얻었으나, 아쉽게도 건축물의 규모나 양식에 대한 부분은 전혀 언급할 수 없을 정도로 자료의 부족은 근본적인 읍치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다. 주지하듯이 현재의 금산군은 조선시대 개의 고을, 즉 금산군과 진산현의 영역이 대체적으로 합쳐진 곳이다. 다시 말해 현 금산군의 역사적 전신으로서 금산군읍치가 위치했던 현재의 금산읍 아인리 지역 일대과 진산현 읍치가 위치했던 진산면 읍내리 지역일대는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할 수 있다. 부족하지만, 전술한 글을 통해 금산군 읍치에 대해서는 부분적이지만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진산현 읍치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했다. 향후 금산군에서는 현 금산군의 역사적 전신으로서 금산군 읍치지와 진산현 읍치지에 대한 심화된 고증연구와 이를 어떻게 기념하고 기억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일제강점기를 통해 철저하게 파괴된 많은 문화유산 중 관방시설, 특히 읍치와 같은 지방 통치시설은 각적인 훼손보다는 점진적인 훼손을 통해 자연스럽게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다소 늦은 감은 있으나 역사도시로서 많은 역사적 사실들과 연결된 읍치에 대한 고증연구는 그 대상이 분명하며 1900년대를 전후로 제작된 자료들을 토대로 연구할 경우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라 생각된다. 이에 더하여, 우리는 민족정기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해오고 있다. 단순히 역사적 고증에 머무르지 않고 이를 다함께 기억하고 기념하기 위한 노력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정보전달매체의 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평면을 중심으로 -
김회정(Kim Hoe-Jung),이풍욱(Rhee Pung-wook),이정수(Lee Jeong-Soo),송용호(Song Yong-Ho)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2
According to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medium. the number of changes have increased rapidly throughout the society. Public libraries which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edium' changes.<br/>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medium have an effect upon the change of the space in public community libr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br/> 1) There are an addition of the digital information room, and unification and elimination of the common reading rooms.<br/> 2) The reading room in library is increased instead of individual studying room.<br/> 3) In case of Daejeon city, it is different a ratio of the digital information room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library.
디지털 자료 활용실 수용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김회정(Kim Hoe-Jung),이정수(Lee Jeong-Soo)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8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changes of space according to digital data desires increase in public librar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everal libraries in Daejeon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changes of each functional area and space reorganization were re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ases studied shows that the social request changes to library and media data from analogue to digital are reflected in spatial reorganization of libraries. (2) The repurposing spaces are designed open-ended and multi-used space, and changed to the literature creating room, culture education room, and digital media lab. (3) The remodeling methods are classified into 3 types : filling the void space like as rest area and balcony terrace in each floors, expansion to outdoor including sunken garden, and adding another functional space to first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