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뽕나무지조(枝條)의 성상(性狀)과 엽면적(葉面積) 및 엽중(燁重)과의 관계(關係)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호락 ( H. L. Kim ),문협 ( M. H. Kim ) 한국잠사학회 1971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3 No.1

        뽕나무의 절간장과 엽면적 및 엽중과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지조부위별 절간장 엽면적 및 엽중의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30개의 품종을 품종대상으로 하는 동시에 동일품종내에 있어서의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소엽형품종인 개량서반과 대엽형품종인 노상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가. 각성상과 엽면적 및 엽중의 상관은 모두 다음과 같이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1) 즉 대표품종군에서 절간장과 엽면적 및 엽중은 모두 정의 높은 상관이 있었다. (2) 대표품종군에서 지조장과는 어느 경우나 상관이 없었고 단일 품종내에서는 모두 정의 상관이 있었다. (3) 지조의 체적과 엽면적 엽중과는 대표품종군에서나 동일품종내에 있어서 모두 상관이 있었고 특히 개량서반이 가장 큰 상관을 나타냈다. (4) 엽병장과 엽면적 및 엽중과는 대표품적군, 개량서반 및 노상의 모두 놓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나. 지조의 부위별 절간장의 변이는 대부분의 품종이 같은 경향으로 하부인 I부위가 가장 길고 II부위까지 감소하다가 일단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여 선단에서 가장 짧았다. 다. 지조의 부위별 엽면적과 엽중의 변이는 I부위가 가장 작고 IV부위까지 증가하여 최대가 되고 그 후 감소하였다. This study are conducted to observe the correlation which are concerned with tile internode length to the leaf area and leaf weight. Where as, small leaf variety Gae Ryang Su Ban, and large leaf variety Ro Sang are adopted to observe their correlations in a group consisting of 30 varieties and in identifiable varie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Such positive correlations are observed between each characteristics and leaf area with leaf weight. (1) There are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ode length and leaf area with leaf weight together within varieties group. (2) No correlation with stem length is observed, but high correlation is acknowledged in identifiable varieties although positive correlations are recognized. (3) Correlations are showed between stem volume and leaf area with leaf weight in identifiable varieties, especially Gae Ryang Su Ban higher than any other varieties. (4) Petiole length is not correlated to leaf area and leaf weight in varieties group, but petiole weight is highly correlated to leaf area and leaf weight in varieties group, Gae Ryang Su Ban and Ro Sang variety. B. Internode length along with the stem parts shows the same tendency of variance as most varieties do; internode length of I part at the base is the longest one, gradually shrunk to that of III part and gloved longer, and again internode length becomes shorter to the top. C. Variance of leaf area and leaf weight along with the parts are the lowest ones at the I part, gradually increased to the maximum at IV part, and here after it comes to shrink.

      • 추잠기(秋蠶期) 중간벌채시기(中間伐採時期) 및 잔조(殘條)에서의 적엽정도(摘葉程度)가 뽕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문협 ( M. H. Kim ),김호락 ( H. L. Kim ),최하자 ( H. J. Choe ) 한국잠사학회 1971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3 No.2

        추기의 조상중간벌채시기 및 잔조에서의 적엽정도가 재발아와 선단고사, 수량 및 아고병 등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상의 중간벌채시기가 늦어지는데 따라서 재발아조수가 감소하는 것이며 또 잔조에 잔엽을 많이 할수록 재발아조수가 적어질 뿐 만 아니라 재발아엽수도 적어지는데 잔엽은 잔조의 상부에 하여야만 재발아 억제의 효과가 있는 것이니 실용적으로는 3∼5엽정도의 잔엽이 유리할 것 같다. 3∼5엽정도 잔엽을 하고 9월 20일 이후 벌채를 하면 재발아조수가 격감한다. 2. 벌채후의 잔조에서 전적엽을 하면 지조의 선단고사비율이 매우 높고 상반부적엽구도 그 외의 다른 구들보다 약간 많은 것 같으며 벌채시기에 따라서는 전적엽구를 제외한 다른 구에서는 별로 차가 없는 것 같지만 전적엽구만은 9월 15일 벌채구가 특히 높으니 이것은 전적엽으로 인한 지조의 불충실과 이때의 온도조건이 아지병균의 기생에 호적하였다는 것이 그 원인인 것 같다. 3. 수량과의 관계를 보면 추잠기는 벌채시기에 따라서는 별로 차가 없지만 잔조에서의 적엽양이 많아질수록 전수량이 많아진다. 춘잠기수량은 무적엽구와 전적엽구는 벌채시기의 여하에 불구하고 가장 적으며 무적엽구를 제외한 그 외의 각 구에서는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가 수량이 발은 반면에 이보다 이르거나 늦은 경우에는 수량이 적어진다. 또 적엽각구는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무적엽구보다 적으니 추기에 있어서의 적엽이 익춘기의 수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춘추합계수량에 있어서는 무적엽구와 전적엽구보다 그 외의 각 구가 수량이 많으며 그 중에서도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가 특히 많고 잔엽정도에 따르는 차는 별로 없는 것 같다. 이것을 종합해 볼 때에 연간수량이 가장 많은 것은 9월 15일∼20일경에 중간벌채수확을 한 후 그 잔조에 3∼5엽잔엽을 하는 방법이며 9월 5일∼10일 벌채구도 무적엽구나 그 이후의 벌채구와 별로 차가 없다. 4. 잔조에 발생하는 병은 아고병이 가장 심하고 맛사리아병과 동고병도 약간 발생하였으며 아고병은 전적엽구에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고 시기적으로는 9월 15일 구에서 지수 92.9, 9월 20일 구에서는 지수 100으로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상반부적엽구에서도 상당히 발생하였고 무적엽구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5. 재발아비율 및 평균재발아엽수와 익춘잠기 수량과의 사이에는 각각 상관계수 r=-0.42, r=-0.27로서 부의 상관을 가지고 있으나 깊은 상관관계는 없으며 선단고사비율 및 아고병발생비율과 익춘잠기수량과의 사이에는 거의 상관이 없다. 아고병발생비율과 선단고사비율과의 사이에는 상관계수 r=+0.8로서 깊은 정의 상관이 있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to rebbuding, death atop, yielding and occurrence of twig blight disease with the interemediate cutting periods of mulberry branch and at the picking levels of leaf remains in autum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Re-budding branches are decreased with delaying of interval cutting period, and that more leaves remained lesser both re-budding branches and buds are observed. Therefore, it is better that leaves remained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branch, practically with 3-5 leaf remains. It has decreased re-budding branches, in case cutting is conducted in Sept. 20 with picking leaving 3-5 leaf on. 2. With regard that all picking increases the percentage of death atop of the branch and upper half part picking increases slightly over the other treats. Although it seems unlikely to be different in the other treats with cutting period, exception of all picking, it is elucidated better that the all picking after cutting in Sept. 15 represents unusually high, seemingly effected by the temperature contition preferable to the life of twig blight disease along with the lack of branch nutrition caused by the all picking. 3. In view of yielding, it has no difference in autumn yielding with cutting period, but more picking levels of leaf remains, more yielding. In spring yield, both no picking and all picking is the lowest, in spite of cutting period. Each treat produces high yielding except the no picking if rutting is done in Sept. 15 and Sept. 20, respectively; otherwise it is done earlier or later, each treat produces low yielding. It is suggested that yielding ability in following spring affected by the autumn picking because all picking treats represent lower yielding ability than no picking ones except of cutting in Sept. 15 and Sept. 20. With respect to total yield in spring and autumn, it is represented that other treats, among which cutting in Sept. 15 and Sept. 20 is especially high, produce higher yielding than both no picking and all picking. But no difference seemed in leaf remained treats. In these respects, it may be concluded that 3-5 leaf remains after the interval cutting in Sept. 15 to Sept. 20 increases the yielding throughout two seasons and it is suggested that 3-5 leaf remains after cutting in Sept. 5 to Sept. 10 has no difference with no picking and cutting after that day. 4. Diseases in the branch remained are twig blight, massaria-byo, and Die-back, of which twig blight attacks tremendously and slight ouurence in messaria-byo and Die-back. In ouurence of twig blight, it is appeared much in all picking and seasonal occurence high in Sept. 15 with 92.9, and in Sept. 20 with 100 as index, respectively. Also it occurs considerably in upper part picking but little occurrence in no picing. 5. It is considered that negative correlation among re-budding percentage. No. of re-budding leaf, and spring yielding is found, seemingly without heavy correlation at -0.42, and -0.27, respectively. However, death atop of branch and occurence of twig blight has little correlation with spring yield. On the other hand, positive correlation highly appeared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t 0.8 between occurence of twig blight and death atop of bran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