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혜성(Hae Sung Kim),김혜련(Haer Yun Kim),박수경(Sook Yung Park) 한국아동복지학회 200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 간에 학교부적응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주관적 경제지위, 주관적 학업성취도)과 사회적 지지 변인(부모로부터 사회적 지지, 친구로부터 사회적 지지, 전문가로부터 사회적 지지)들을 중심으로 이들 변수들이 양 집단의 학교 부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으로 326명을 포함하였다. 조사대상자의 43.9%(143명)가 부모로부터 학대 경험이 있는 것으로, 56.1%(183)는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부모로부터 학대 받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경우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학교부적응이 감소하고,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전문가의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학교부적응이 증가하였다. 부모로부터 학대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학교부적응이 증가하였고, 주관적 경제지위가 `하`라고 인식할 경우 학교부적응이 증가하였으며,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학교부적응이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impa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characteristics on school maladjustment in 2 groups of adolescents aged 17-22: 143 maltreated adolescents and 183 non-maltreated adolescents.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ncluded gender, age, perceived economic status, and perceived school performance. For social support, it included parental support, peer support, and professional support. Using mulitiple regression analyses, it was determin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had different impact on school maladjustment between groups.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school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predicting school maladjustment in maltreated adolescents. Conversely, for non-maltreated adolescents, age and perceived economic statu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predicting school maladjustment. Parental support was a consistent predictor of school maladjustment in both maltreated group and non-maltreated group. It was concluded that for maltreated adolescents, enhancing school performance and extending social support, especially professional support can be effective strategies to prevent this population from school maladjustment. Also, since low parental support was found to be a consistent predictor of school maladjustment in both groups, the need to develop supportive family services as well as parental education programs was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