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의 정치성향이 정치관심 및 정치신뢰, 정치효능감,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 충남 서산·홍성에 거주는 중년층 여성을 중심으로

        김진욱(Kim Jim Wook),최향옥(Choi Hyang Ok)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019 지역복지정책 Vol.30 No.-

        이 연구는 충청남도 서산, 홍성에 거주하는 중년층 여성들의 보수, 중도, 진보성향에 따른 정치관심, 정치신뢰 및 정치효능감과 정치사회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부분 정치성향 요인에 따른 정치성향별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치인에 대해서 부정적 평가를 하고 있고, 이 결과는 정치성향을 초월하는 태도나 평가로 보인다. 또 정치의 일반적인 관심과 다른 요인과의 관련성이 높았다. 여성이 나라의 지도자가 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현재 여성이 정치영역에서 소외된다고 인식하지만, ‘18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직접적 요인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정치관심과 정치신뢰, 정치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치관심 2(정당 및 정치인에 대한 직접적 관심_담화 및 TV 연설 시청, 투표 참여 및 참여의사 등), 또 정치신뢰 2(현 정부의 행정 및 국민의견 수용에 대한 신뢰 항목), 정치효능감은 정치에 대한 일반적 효능감인 정치효능감 1(정치에 대한 개인의 영향력과 투표 결과에 대한 효능)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trust,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socialization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Seosan and Hongseong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s a result of Research Question 1,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political tendency are significant. Factors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are negative evaluations of politicians. These results are attitudes and evaluations that transcend political tendencies.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election campaigns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olitical tendency in the factor of political socialization, because women had littl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election.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Question 2, the general interest of politics is related to other factors. The more positive the woman is to become a leader, the more women are alienated from the political sphere. However,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is not a direct factor.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re partially relevant to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trust, and political efficacy. In particular, political interest 2(direct interest in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watching TV speeches, voting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ng intention), political trust 2(trust in administrative and public opinion acceptance of the current governmen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n efficacy 1(individual influence on politics and efficacy on voting results).

      • KCI등재

        성인돌봄의 지역간 편차 분석 :

        주은수(Eun su Ju),김진욱(Jim Wook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4 No.-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기초자치단체의 성인 돌봄(노인 및 장애인) 현황을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지표를 구축・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각 지역의 욕구와 그에 대한 대응 수준을 종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는 것이다. 나아가, 개발된 지수를 활용하여 돌봄서비스의 지역간 편차가 얼마나 심각한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성인돌봄서비스는 그 대상과 내용이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성인 돌봄 서비스 중 규모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지수(성인돌봄상대현황지수)는 1인당 지출액과 100명당 서비스 제공인력의 수를 고려하여 표준화된 값으로 개발하였고, 지역간 욕구 수준의 편차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하여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통계청과 건강보험관리공단, 보건복지정보개발원이 확보하고 있는 자료 중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자료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보건복지부를 통해 제공받았다. 분석 결과, 성인돌봄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수준의 지역간 편차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욕구수준이 높을수록 돌봄지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장기요양서비스와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서비스 배분과 관련한 형평성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성인돌봄서비스체계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ional disparity on adult care services in Korean. As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augments, the diversity of social service has expanded, and it results in increased regional disparities on care services. However, few studies explore the differences, for it is not easy to measure the condition of adult ca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lative Adult Care Index(RACI) and to analyze the regional disparities on adult care with the index. Since the area of social service is extensive, this study limits the subject to two major adult care services in Korea: Long-term Care for the Aged and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e Disabled(PAS). To make a standardized adult care index, both per capita expenditure and the supply of caring specialist are considere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lso included in the analysis to adjust the demand-side differences by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om the analysis using the proposed index, this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regional disparity. The regions with higher needs tend to spend less money on care services and to have less specialists. However,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to the RACI scores are not identical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authors suggest policies to minimize regional disparities on adult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