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0년 秦漢魏晉 簡牘연구 개술

        魯家亮,김진영(번역자),유영아(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1 목간과 문자 Vol.8 No.-

        본고에서는 주로2010년 秦漢魏晉簡牘연구의 개황을 간단히 소개하고 玉門花海畢家灘묘장 棺板에 보이는 “晉律註”등과 같은 기타 유형의 출토자료나 일본 飛鳥ㆍ騰原官의 符?木簡등과 같은 약간 늦은 시기의 간독자료를 언급할 것이다. 필자는 2010년 진한위진 간독에 관한 수많은 연구 성과를 빠짐없이 볼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이시기에 언급된 내용이 복잡하고 분류가 어려웠으며, 의학ㆍ수학ㆍ역법ㆍ음율 등과 같은 비교적 전문영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연구에 대한 성과, 개술과 분류에 있어서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누락과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자 여러분들의 양해를 구하며 이 글이 진한위진간독 연구에 관심 있는 연구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다음과 같이 자료출토 연대의 선후에 따라 간독의 텍스트 정리, 연구 상황을 소개하고, 계속해서 진한위진간독 자료의 종합적 연구를 분류별로 개술한다.

      • KCI등재후보

        네모틀 한글 조합규칙에서 닿자 그룹 설정 방법 제안

        이용제(Lee Yongje),김진영(번역자)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6 글짜씨 Vol.8 No.2

        한글 폰트 개발에 충분한 투자를 할 수 없어서, KS코드 기준의 2,350자를 한 글자씩 그리기 어려울 경우와 한글 11,172자를 그려야 할 때, 한글 폰트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으로 조합규칙을 활용한다. 조합규칙이란 음절 단위의 낱글자를 표현할 때, 첫 닿자와 홀자 그리고 받침닿자의 모양을 필요한 숫자만큼 각각 디자인하고, 함께 쓸 낱자들을 연결하는 일종의 설계이다. 따라서 조합규칙은 함께 쓸 낱자의 그룹 설정과 이를 연결하는 설계가 중요하다. 한글 활자는 글자의 물리적 면적과 시각적 공간을 조율하며 디자인한다. 따라서 조합규칙을 이용한 한글 활자디자인을 설계할 때, 이 두 관계에 의해서 빚어지는 크기감과 공간감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많은 양의 글을 읽을 때 쓰는 본문활자는 독서 피로도와 관계가 있으므로 글자의 균형을 지키고 비례를 유지하는 일은 기본이다. 따라서 음절단위 낱글자의 형태 조건에 맞춰 닿자와 홀자의 균형과 비례를 다듬어야 한다. 조합규칙을 활용한 한글 폰트를 분석해보면, 조합규칙 그룹을 물리적인 면적 중심으로 설정하여, 글자의 균형과 비례가 흐트러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앞으로도 조합규칙을 활용한 한글 폰트는 지속해서 개발될 것이므로, 글자의 균형과 비례를 조금 더 안정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크기를 주의하여 그룹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조합규칙 그룹을 설정하는데, 기존의 물리적인 면적과 함께 시각적인 공간을 고려하여 그룹을 설정했으며, 또한 닿자와 홀자의 위치에 따라서 그룹을 조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가로모임꼴 받친글자에서 첫 닿자는 [ㄱ] [ㄴ, ㄷ, ㅁ, ㅅ, ㅇ] [ㅈ, ㅋ] [ㅍ, ㄲ, ㅆ] [ㄹ, ㅂ, ㅊ, ㅌ, ㄸ] [ㅎ, ㅃ, ㅉ]로 분류하고, 세로모임꼴 받친글자에서 첫 닿자는 [ㄱ, ㅅ] [ㄴ] [ㄷ, ㅁ, ㅇ, ㅈ, ㅋ] [ㅍ, ㄲ, ㅆ] [ㄹ, ㅂ, ㅊ, ㅌ, ㄸ] [ㅎ, ㅃ, ㅉ]로 분류하고, 가로모임과 섞임모임꼴 받침닿자는 [ㄱ, ㄷ, ㅁ, ㅅ, ㅇ] [ㄴ] [ㅈ, ㅋ, ㅍ, ㄲ] [ㄹ, ㅂ, ㅌ, ㄳ, ㅆ] [ㅊ, ㅎ]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로 구분하고, 세로모임꼴 받침닿자는 [ㄱ, ㄷ, ㅁ, ㅇ] [ㄴ] [ㅅ, ㅈ, ㅋ, ㅍ, ㄲ] [ㄹ, ㅂ, ㅌ, ㄳ, ㅆ] [ㅊ, ㅎ]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로 구분해 보았다. 제시한 그룹 설정은 네모꼴 활자 중에서도 바탕체와 돋움체를 2,350자 이상 그릴 때 유용하다. 그리고 조합규칙은 글자의 개성과 폰트의 쓰임 등, 조건과 함께 목적하는 바를 분명히 하고 그에 맞춰 낱자의 물리적인 면적과 시각적인 공간을 조율하면서 설계해야한다. When it is difficult to draw 2,350 letters individually based on the KS code standard due to insufficient funding, or when we need to draw 11,172 Hangeul letters, we use Combination Rule to produce Hangeul fonts with economic efficiency. The Combination Rule designs the required number of the first dat-ja (consonant), hol-ja (vowel), and ending dat-ja forms for expressing phonemes, and connects the phonemes used together. For this system, grouping the phonemes used together and design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 phonemes are crucial. Hangeul type is designed as coordinating the physical area and the visual space of a letter. Therefore, in designing a Hangeul type by using Combination Rul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size and space created by these elements. In particular, for a text-type used for an extensive reading, which directly influences the extent of fatigue in reading, it is essential to keep the balance and proportion of the letters. In this case, we need to refine the balance and proportion of datja (consonant) and hol-ja (vowel) according to the formal condition of a phoneme. When we analyze Hangeul fonts using the Combination Rule, the groups are set up based on the physical area. This results in the loss of the balance and proportion of letters. Since Hangeul fonts using the Combination Rule will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future, we need a better group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 visual size and maintains the balance and proportion of letters. In this study, the groups of Combination Rule ar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physical area and the visual space of a letter. At the same time, the groups are adjusted in relation to the positions of dat-ja and hol-ja.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mentioned above, in horizontal combination form bat-chin letters, first consonants are categorized as [ㄱ] [ㄴ, ㄷ, ㅁ, ㅅ, ㅇ] [ㅈ, ㅋ] [ㅍ, ㄲ, ㅆ] [ㄹ, ㅂ, ㅊ, ㅌ, ㄸ] [ㅎ, ㅃ, ㅉ]; in vertical combination form bat-chin letters, first consonants are categorized as [ㄱ, ㅅ] [ㄴ] [ㄷ, ㅁ, ㅇ, ㅈ, ㅋ] [ㅍ, ㄲ, ㅆ] [ㄹ, ㅂ, ㅊ, ㅌ, ㄸ] [ㅎ, ㅃ, ㅉ]; horizontal and mixed combination form ending consonants are categorized as [ㄱ, ㄷ, ㅁ, ㅅ, ㅇ] [ㄴ] [ㅈ, ㅋ, ㅍ, ㄲ] [ㄹ, ㅂ, ㅌ, ㄳ, ㅆ] [ㅊ, ㅎ]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vertical combination form ending consonants are categorized as [ㄱ, ㄷ, ㅁ, ㅇ] [ㄴ] [ㅅ, ㅈ, ㅋ, ㅍ, ㄲ] [ㄹ, ㅂ, ㅌ, ㄳ, ㅆ] [ㅊ, ㅎ]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The suggested grouping is useful when we draw more than 2,350 letters of square form types, especially in the cases of Batang and Dotum fonts. The combination rule should be designed as considering uniqueness of a letter, specific usages, restricting conditions, and purposes of a font and as balancing the physical area and the visual space of a phoneme.

      • KCI등재후보

        안상수체의 확장성

        노민지(Noh Minji),김진영(번역자)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7 글짜씨 Vol.9 No.1

        이 글은 1985년 발표된 안상수체가 지난 30여 년 동안 다양한 실험과 그 과정을 통해 확장을 시도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안상수체는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 근거하여 설계된 간결하고 기하학적인 탈네모틀 글자체이다. 기존의 네모틀에서 벗어난 탈네모틀 한글꼴의 실험으로 시작된 안상수체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실험을 통해 다방면으로 확장했다. 연구자는 이에 대한 과정을 글자 가족의 파생, 배열의 해체, 모듈 실험, 기술의 발전으로 나누어 확장 방법에 대해 분석했다. 연구의 범위는 안상수체를 설계한 안상수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설정했는데, 이는 디자인을 생산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논지를 풀어내고자 함이다. 하나의 디자인이 이토록 확장하고 오랫동안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안상수체의 지난 30여 년의 다양한 확장 과정은 디자인에 대한 태도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예시가 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글자 실험에 대한 가능성과 확장성에 대한 논의가 다양해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sults of the endeavors to expand the Ahnsangsoo font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processes for the last thirty-years. Ahnsangsoo font is a simple and geometric typeface based on the production principle of Hunminjeongeum. This font, which was first designed as an experiment for a Hangeul typeface that was is not restricted by the traditional square-frame, expanded to numerous areas through continuous and multiple experiments. I analyzed the expansion process of Ahnsangsoo font by reflecting on the derivation of the letter family, deconstruction of the arrangement, module experiment, an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scope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signer Ahn Sangsoo’s own experiments. This is to maintain the perspective of the producer throughout this study. It is rare for a deigns to be extended to such an extent and used for such a long time as Ahnsangsoo font. The expansion process of Ahnsangsoo font is a good example for understanding proper attitude towards design and its sustainability. I hope my analysis of this paper to encourage diverse discussions on the potential and extensibility of the font.

      • KCI등재후보

        메타폰트를 이용한 차세대 CJK 폰트 기술

        최재영(Choi Jaeyoung),권경재(Gwon Gyeongjae),손민주(Son Minju),정근호(Jeong Geunho),김진영(번역자)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7 글짜씨 Vol.9 No.1

        CJK(Chinese-Japanese-Korean) 폰트는 사용하는 한글, 한자의 글자 수가 매우 많고 형태가 복잡하여 폰트를 디자인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폰트 제작과 사용에 제약이 있다. 또한 오늘날 폰트를 디자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곽선 방식은 점과 선을 가지고 수작업을 통해 폰트를 디자인하기 때문에 기존에 존재하는 폰트의 굵기, 모양과 같은 특성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폰트를 제작하거나 품질의 저하를 감수하고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제작 방식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 · 중 · 일 문화권의 차세대 폰트 시스템인 스템폰트(STEMFONT)를 제안한다. 스템폰트는 글자의 기본 골격에 글자의 요소를 반영한 매개변수를 적용시켜 다양한 모양의 글자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한 벌의 폰트에서 다양한 굵기와 이탤릭, 펜의 모양, 글자의 폭 등의 스타일들을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실시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스템폰트는 폰트 제작 환경을 편리한 방법으로 제공하여 폰트 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CJK(Chinese-Japanese-Korean) font in general requires significant time and cost to design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letters used in Hangeul and Hanja (Chinese character). As a result, there exist significant restrictions in producing and using the fonts with different shapes. The outline method, a conventional designing method in today’s font market, designs fonts manually with points and lines. In this method, changing the existing font features such as thickness and shape requires development of a separate font or use of application programs as risking some quality deterior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xt generation font system called STEMFONT which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STEMFONT can generate letters of diverse shapes by applying the parameters reflecting the elements of a letter to the basic frame of the letter. At the same time, it can change the style of a letter within one set of font in real time, such as thickness, italicizing, shape of pen, and width, without sacrificing the quality. This STEMFONT system will invigorate the font market by providing a convenient font production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