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교 보건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2009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지학 ( Jihak Kim ) 한국보건교육학회 2016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2 No.1

        본 연구는 2009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보건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2009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보건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내용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9 보건교육과정과 2015 보건교육과정은 건강증진에 대한 개인 및 사회의 균형적인 책무성을 강조하면서, 성격 및 목표, 내용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서 대체로 유사성을 보였으나, 2015 보건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 및 핵심개념을 제시하고, 성취기준의 수를 대폭 축소하는 등 일부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성취기준 용어의 모호성이나 반복, 일부 내용 체계의 비체계성 조정 등은 향후 보건과 교육과정 개정 시시사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2009 and 2015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 for high school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 characteristic and goals,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methods, evaluation in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s for high school. As a result, Two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s emphasis individual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y are quite similar to characteristic and goals,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methods, evaluation. but 2015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s suggests core competencies and key concepts.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rastically reduced. It provides implication on ambiguity or repetition of some term, adjustment of some unsystematic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