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황추출물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유영근 ( Yung-geun Yoo ),정민석 ( Min-seok Joung ),최종완 ( Jong-wan Choi ),김중회 ( Joong-hoi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0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한방제제의 구성 약재인 마황이라는 천연한방소재로부터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마황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마황추출 과정을 세분화하여 methylene chloride 및 물분획물을 얻었으며 이들을 가지고 다시 tyrosinase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층부분에서만 0.2% 농도에서 60.6%의 tyrosinase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이후 수층부분만을 농축하여 L-DOPA 산화억제 실험 및 B-16 melanoma를 이용한 미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황추출물 0.5% 농도에서 87%의 L-DOPA 산화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0.75%에서는 98.8%의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B-16 melanoma에서는 0.05%에서 70.2%, 0.075%에서는 79.9%의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수층부분만을 농축한 마황추출물의 in vivo상에서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마황추출물 0.5%를 함유한 제형으로 미백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황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에서 10주 경과 후에 육안 및 기기평가 모두에서 미백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p<0.05)를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an extract from Ephedra sinica which has been composed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 whitening ingredient. The extract of Ephedra sinica which was obtained from the mixture of methanol and water (1:1)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Then, Ephedra sinica was extracted by two different solvents. One was water and the other was methylene chloride. Only, the water extract of Ephedra sinica showed the inhibitory effort of tyrosinase; the anti-tyrosinase activity with 0.2% of the water extract was 60.6%. But the extract of Ephedra sinica in methylene chloride fraction showed littl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concentrated water extract of Ephedra sinica was tested on L-DOPA auto-oxidation and melanin synthesis in B-16 melanoma. In L-DOPA auto-oxidation, 0.5% of the concentrated water extract showed 87% of inhibition of L-DOPA auto-oxidation and the 0.75% concentrated Ephedra sinica extract in wafer fraction inhibited 98.8% of that. In melanin synthesis of B-16 melanoma, the concentrated water effect of Ephedra sinica inhibited 70.2% or 79.9% of inhibitory effect on that at the concentration of 0.05% or 0.075%, respectively. For verifying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the concentrated water extract of Ephedra sinica in vivo, we performed the clinical test of that. The research showed the significant skin whitening effect of a cream containing 0.5% Ephedra sinica extract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sample (containing 0.5% Ephedra sinica extract) and placebo after 10 weeks.

      • KCI등재

        미백 기능성 성분의 혼합물에 대한 미백 활성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윤희 ( Youn Hee Lee ),임남훈 ( Nam Hoon Lim ),정민석 ( Min Seok Joung ),김중회 ( Joong Hoi Kim ),심상수 ( Sang Soo Sim ) 대한화장품학회 200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1 No.4

        알부틴, 유용성감초추출물(GLY),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AA2G), 에칠아스코빌에텔(EAE)은 현재 미백 기능성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성분들이다. 위의 미백 성분 중 어느 성분을 같이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미백효과가 더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tyrosinase 활성 억제와 B-16 melanoma cells에서 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알부틴과 유용성감초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정제된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였다. 유용성감초추출물(GLY)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AA2G)를 같이 사용하였을 때나 유용성감초추출물(GLY)과 에칠아스코빌에텔(EAE)을 같이 사용하였을 때는 유용성감초추출물(GLY)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가 상승하였으나 알부틴과 다른 성분들을 같이 사용하였을 때는 그러한 현상을 보여주지 못했다. B-16 melanoma cell을 이용한 MSH로 유도된 melanin 생성실험에서는 유용성감초추출물 (GLY)과 에칠아스코빌에텔(EAE)을 같이 사용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유용성감초추출물(GLY)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유용성감초추출물(GLY), 알부틴,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AA2G), 에칠아스코빌에텔(EAE)의 복합물을 일반적인 크림제형에 혼합하여 25℃, 45℃에서 30일간 안정성(stability)을 관찰하였으며 특이한 함량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유용성감초추출물(GLY)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AA2G), 에칠아스코빌에텔(EAE)은 같이 사용함으로서 미백효과를 더 상승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Recently, arbutin, oil soluble licorice extact (GLY), ascorbyl glucoside (AA2G), and ethyl ascorbyl ether (EAE) have been widely used as functional whitening ingredients. To Investigate which combination between the above agents could be more effective for whitening effect, tyrosinase activity and MSH-induced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were investigated. Both GLY and arbutin dose-dependently inhibited purified tyrosinase activity. The inhibitory effects of GLY with AA2A or EAE on Drosinase activity were more potent than those of GLY alone, whereas that of arbutin with other ingreadients did not show those effects. In MSH-induced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the mixture of Gly and EAE more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formation than Gly alone. Stability of mixture of GLY, arbutin, AA2A and EAE exposed at the temperature of 25℃, 45℃ for 30 days were also investigated. All of the combinations of whitening agents did not show any critical changes in their composition stability. These data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GLY and vitamin C derivatives such as AA2G and EAE may be useful for the promotion of whitening effect.

      • KCI등재

        산삼부정근 추출물의 효능·효과에 관한 연구

        유영근 ( Yung-geun Yoo ),정민석 ( Min-seok Joung ),이윤희 ( Youn-hee Lee ),최종완 ( Jong-wan Choi ),김중회 ( Joong-hoi Kim ),백기엽 ( Kee-yoeup Paek ) 대한화장품학회 200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식물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배양된 산삼부정근의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산삼부정근은 강원도 평창에서 채취한 110년생 천종산삼으로부터 유래된 캘러스에서 부정근을 유도한 후 절취하여 생물 배양기에서 액체 현탁액으로 대량 배양시켰다. 약 5주간의 배양기간을 거쳐 증식된 산삼부정근을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추출하여 산삼부정근 추출물을 얻었다 조직 배양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in vivo에서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직배양된 산삼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을 이용한 미백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삼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에서 두드러진 미백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차(p < 0.0001)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산삼의 주요 성분인 일부 saponin에 대한 tyrosinase 억제 실험 및 B-16 melanoma를 이용한 미백 실험을 실시한 결과 미백효과가 10% 이하로 낮게 나왔으며 인삼 및 홍삼 추출물의 경우에서도 산삼부정근 추출물과 같은 농도에서는 거의 미백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DPPH 실험에서는 산삼부정근 추출물이 0.05% 농도에서 85%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reviewed the application of an extract from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which had been grown through tissue culture as a cosmetic ingredient. The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were derived from mountain ginseng callus that was induced from mountain ginseng root whose origin is estimated to date back about one hundred years ago. The adventitious roots were separated from callus and grown in a 20 L bioreactor. In order to proliferate the adventitious roots, they were cultured for 5 weeks in bioreactor. Then the harvested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were dried and extracted. For verifying skin whitening effect of an extract from the tissue-cultured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in vivo, we performed the clinical test of it. The research showed the significant skin whitening effect of a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extract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01) between sample (2%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extract) and placebo. But, some saponins showed below 10%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B-16 melanoma. The extracts of red ginseng and ginseng which were the same concentration as the tissue-cultured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extract's showed littl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B-16 melanoma. In DPPH test, Anti-hydroxyl radical activity of 0.5% the tissue-cultured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extract was 86%.

      • KCI등재

        펄 안료의 입도분포에 미치는 분쇄시간 및 바인더의 영향

        소태섭 ( Tae-sup So ),고두진 ( Du-jin Go ),노희수 ( Hee-su Ro ),김상범 ( Sang-bum Kim ),김태원 ( Tae-won Kim ),김중회 ( Joong-hoi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0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0 No.4

        메이크업 제품에 있어서 특히 아이섀도나 블러셔와 같은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의 제조시 화사함이나 광택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펄 안료에 대하여 분쇄시간에 따른 입도분포 변화와 결합제로 사용되는 바인더의 영향에 따른 입도분포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고속 회전형 믹서기를 사용하였으며 레이져 회절·산란법을 이용하여 입도분포를 측정하였다. 평균경 5 ㎛의 펄 안료인 경우 120 s간 분쇄하였을시 4.5 ㎛로 입자경의 변화 폭이 작지만, 45 ㎛인 경우 27 ㎛로 현저히 작아지며 그에 따라 본래의 광택감도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인더의 경우, raw material의 입자사이즈에 따라 분쇄시간과의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바인더 함량에 따라 입자간의 응집에 의하여 발생하는 분립체의 입도분포의 변화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For pearl pigments used for splendor or gloss effect of make-up products, especially point make-up products like eye-shadow and blusher, we studied the vari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the grinding time and by the binder used as a binding agent. In this study, high speed mixer was used and the particle sire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light scattering method. In case of pearl pigments, its median diameter of 5 ㎛, the particle size was reduced to 4.6 um when it was ground for 120 s. When it was applied for the pearl pigment of 45 ㎛, the particle size was reduced to 27 ㎛. We confirmed that the latter was reduced more largely and the original gloss was reduced too. For the binder, we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particle size of raw material and grinding time.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binder contents on the vari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roducts by aggregation of parti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