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정보산업의 권역별 입지계수 기반 산업생태계 경쟁력 연구

        김윤겸(Kim, YoonKyum),김연정(Kim, YeonJeong)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5

        본 연구는 지식정보산업에 입지계수를 적용하여 전국 8개 권역별(서울권, 경인권, 강원권, 충청권, 대경권, 동남권, 호남권, 제주권) 산업생태계에 따른 경쟁력의 비교우위를 분석, 연구하였다. 세부적으로 산업생태계를 구성하는 기업특성 기반의 매출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를 분석 지표로 입지계수를 산출, 분석하였으며, 지역적 특성에 기반 지정학적ž행정적인 포괄적 관점으로 권역별 산업생태계 경쟁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서울과 경인권이 주축이 되는 수도권이 지식정보산업 경쟁력 측정지표인 입지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지식정보산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지역 간 산업 불균형 발전이 두드러졌다. 서울의 평균 입지 계수인 1.11과 비교 시 지방권역 중 충청권이 서울 포함, 미포함 모두 1이상의 높은 입지계수를 보여 지식정보산업에서의 경쟁력과 과학기술의 상관관계를 입증해 주었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포괄적 입지 선정 관점에서 수도권과 충청권을 제외한 지방권역 중 높은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장려해야 하는 권역으로는 대경권이, 산업경쟁력 육성과 발전 가능성이 높은 권역으로는 동남권으로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식정보산업의 입지적 타당성 검증과 비교 우위에 있는 산업생태계 조성의 요인을 토대로 지역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산업정책 제시에 일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industrial competitiveness across eight regions in South Korea by using Location Quotient (LQ) index, an indicator for competitiveness analysis,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industry, to select an optimal region with dominant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promote knowledge information industries and plans to balance regional development. For these goals, LQ Index was calculated by analyzing busines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business, number of workers, and total revenues. As a result, LQ index was the highest in Kyunggi-Incheon region among the metropolitan area, implying high concentr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industry in the metropolitan region and noticeable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These analyses showed an indirect correlation between competitiveness and science technology. The difference between 1.06 and 1.1 in Chungcheong area was that the former, or 1.06, was the LQ index with including Seoul, while the latter, or 1.1, was the index without including Seoul.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ecting a comprehensive location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Dongnam region has the greatest potential to raise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LQ index analysis. Also the region that needs to strengthen and encourage its competitiveness is Daekyung region.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의 대학 주요 성과지표가 신입생 충원율에 미치는 영향

        김윤겸 ( Yoonkyum Kim ),김주석 ( Juseuk K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팬데믹 시기의 대학 신입생 모집 유인요인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팬데믹 시기의 지방 4년제 대학의 각종 교육적 성과지표를 종합해 상호 간의 영향 관계를 SPSS 26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팬데믹 시기의 대학 신입생 충원율과 여러 다른 요인들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에서 재학생 충원율이 예측 변인으로 채택됐고 특히 대학만족도의 하위요인들과 신입생 충원율 간의 회귀분석에서는, 대학만족도의 온라인강의 하위요인이 신입생 충원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팬데믹 시기의 지방대학 신입생 충원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온라인강의에 대한 양적 및 질적 지원을 증대시키고, 재학생 충원율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대학지원정책에 관심을 두고 전략적으로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ttract college freshman to enroll in local univers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enrollment deci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the college freshman recruitment rate and certain factors, and that the enrollment rate and the quality of online lecture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college freshman recruitment rate. The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enroll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t is necessary to improve support for online lectures and provide various forms of university support to ensure student enroll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