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 알코올 범주성 장애 쥐에서 생후 달리기 운동의 mTOR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신경인지 효과

        김연희(YeonHeeKim),박세환(SeHwanPark),김민정(MinJeongKim),김태수(TaeSooKim),윤진환(JinHwanYoon)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1

        이 연구는 4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이 태아 알코올 범주성 장애 쥐의 뇌 해마 부위에서 mTOR 관련 단백질 발현과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FASD 유발 후 집단은 대조군(n=10), FASD 유발군(n=10), FASD 중강도 운동군(n=10)으로 구분하였다. 트레드밀 운동은 생후 22일부터 4주간 운동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연구 변인으로는 해마 부위에서 PI3K, AKT, AMPK, PI3K-mTOR, p70S6K와 Water maze test의 latency escape time을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는 평균과 표준오차 및 편차로 제시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one-way와 Two-way repeated measured ANOV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4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이 FASD 쥐의 PI3K, AKT, AMPK, PI3K-mTOR, latency escape time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트레드밀 운동은 FASD으로 유발된 신경학적 손상을 감소시켜 신경보호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hippocampal mTOR signaling related factors and cognitive function in rat pup with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s. The rat pups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group, the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group with treadmill exercise group. Treadmill exercise was started at postnatal day 22 after birth for 28 consecutive days (4wks). For this study, PI3K, AKt, AMPK, PI13K-mTOR in hippocampus region and moris-water maze test were conduc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n one way and two wa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are belows; mTOR related factor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in rat pups and then treadmill exercise increased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induced suppresses in hippocampal region. The spatial memory was decreased by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and that short-term treadmill exercise improved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induced impairment of spatial memory. Here, we show that treadmill exercise may provide therapeutic value for the treatment of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운동강도가 2형 당뇨 쥐 골격근의 AMPK, GLUT-4, MCT-1 발현 및 인슐린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김연희(YeonHeeKim),윤진환(JinHwanYoon),김광찬(KwangChanKim)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는 운동강도에 따른 당대사 조절기전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주령 된 제2형당뇨 쥐를 대상으로 당뇨 대조군 (n=10), 당뇨 고강도 운동군 (n=10), 당뇨 저강도 운동군 (n=10)으로 구분하여 운동을 실시하였다. 모든 운동군은 8주간 주 5회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그룹 골격근의 AMPKα1/2, GLUT-4, MCT-1의 발현 정도에서는 세 가지 변인 모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당뇨 대조군과 당뇨 고강도 운동군이 당뇨 저강도 운동군에 비해 발현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p<.05). 고혈당 클램프 수치를 분석한 결과 혈당 농도는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time (1 min)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인슐린 농도에서는 time (0 min, 5 min, 10 min), time·group, group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5).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 후 인슐린 저항성의 HOMA-IR 측정 결과는 당뇨 고강도 운동군에 비해 당뇨 저강도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1).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 볼 때 고강도 운동 보다는 저강도 운동이 당뇨 환자의 당대사 조절에 더욱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AMPKα1/2, GLUT-4, MCT-1 express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skeletal muscle of type 2 diabetic mice. The diabetic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iabetic control group (DE-CON: n=10), diabetic high-intensity exercise group (DE-HE: n=10), and diabetic low-intensity exercise group (DE-HE: n=10). Mice were subjected to treadmill exercise (5 day/8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mong the groups in terms of AMPKα1/2, GLUT-4 and MCT-1 expression in the skeletal muscles, with the DE-CON and DE-HE groups showing lower expression levels compared to the DE-LE group. Two 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hyperglycemic clamp levels. Alth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mong th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t 1 mi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sulin concentration at 0 min, 5 min, and 10 min. After the 8 weeks` treadmill exercise, the HOMA-IR of insulin resistance was measured. As a result, a tendency was found that the HOMA-IR of insulin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DE-HE group, compared to the DE-LE group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intensity exercise aid regulation glucose metabolism better than high-intensity exercise.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운동전 타우린 섭취가 당뇨 유발쥐의 지질대사, 글리코겐 함량 및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이윤경(YounKyungLee),김연희(YeonHeeKim),김형일(HyungIlKim),정혁(HyukJung),민진아(JinAhMin),서효빈(HyoBinSeo),류승필(SungPilRyu),이수천(SooChunLee)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2

        본 연구에서는 운동 1 시간 전의 타우린 섭취가 STZ 당뇨유발쥐의 지질대사 및 글리코겐 함량,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TZ에 의해 당뇨를 유발시킨 후 3일 동안 10분간 10 m/irin의 속도로 트레드밀 운동을 하였다. 실험 당일은 운동 1시간 전에 타우린 15 g/kg을 경구투여 시킨 후 20 m/min의 속도로 경사도 7도의 트레드밀에서 30분 동안 운동하였다. 저장지방의 중량은 당뇨유발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5) 실험전 혈당 농도는 당뇨유발군 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중성지방과 AI 역시 당뇨유발군 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5). 간과 골격근의 글리코겐 함량은 당뇨유발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본 연구에서는 STZ 당뇨유발쥐의 경우 운동시 1회성 타우린 섭취는 지질대사 및 글리코괜 항산화체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taurine administration just 1 h prior to exercise an blood lipid metabolism, glycogen storage, and antioxidant system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male rats. Twenty-one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s the subjects. They have fed commercial diet ad libitum for the experimental periods. After the diabetes occured by STZ, they exercise trained on the treadmill at 10 m/min, 10 min/d for 3 d. And then, at the experimental day, they orally adiminstered 15 g/kg of taurine just 1 h prior to exercise at 20 m/m, 7% of incline for 30 min. Stored-fat weight (mesentery, abdomen, epididymal)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ic group (p<.05).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before the experimental day was sing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 group (p<.05). Blood triglyceride was sing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 group (p<05). In addition, AI was also increased singificantly in diabetic group (p<.05). Liver and skeletal muscles glycogen cont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iabetic group (p<.05). Finally, MD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 group (p<.05). And SO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iabetic group (p<.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cute administration of taurine in STZ-induced diabetic rate has no effect on lipid metabolism, glycogenuse, and antioxida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