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시 CAOS를 이용한 측정과 수술 후 방사선학적 측정의 비교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송상준(Sang Jun Song),김선구(Sean Goo Kim),박경준(Kyoung J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2

        목적: Image free computer assisted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시, 삽입물 위치를 수술 중 측정한 각과 수술 후 방사선학적으로 측정한 각을 서로 비교 분석 하고, 수술 전후 하지의 역학적 축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2월부터 5월까지 navigation system (Vector Vision<SUP>®</SUP>, BrainLAB)을 이용하여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던 4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전후면상 대퇴골 삽입물과 기계적 축 사이의 각(FCA)과 경골 삽입물과 기계적 축사이의 각(TCA) 및 시상면상 경골삽입물의 후방 경사각(TCS)을 측정하였다. 수술 후 양 하지 전장 촬영과 경골 측면 사진을 촬영하여, 두 관측자의 측정치와,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측정치를 비교 분석하였고, 수술 전후 역학적 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평균 FCA는 외반 0.03±0.85˚, 평균 TCA는 외반 0,49±0.02˚ 였고 평균 TCS는 4.26±1.64˚였다. 관측자 1에 의해 측정한 평균 FCA는 외반 0.67±1.24˚, 평균 TCA는 내반 0.54±1.54˚였고 평균 TCS는 4.57±1.74˚였다. 관측자 2에 의해 측정한 평균 FCA는 외반 0.48±1.17˚, 평균 TCA는 내반 0.52±1.44˚였고 평균 TCS는 4.24±2.83였다. 각 관측자와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측정치는 양적 선형 관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관측자 1, 2에 의해 측정한 하지의 역학적 축은 각각, 평균 내반 13.96˚에서 평균 외반 0.04˚로, 평균 내반 14.12˚에서 평균 외반 0.08˚로 향상되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시,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삽입물을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었고,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삽입물의 위치 측정치와 수술 후 방사선학적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sured angle i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improvement in the mechanical axi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TKAs were performed using CADS between February and May 2004. We measured the mechanical axis in the preoperative orthograms. After inserting the implant, we measured the femoral component angle (FCA), tibial component angle (TCA) and tibial component slope (TCS) using the verification tool in CAOS, on the post-operative orthogram and X-ray of the lateral tibial view, 2 observers measured the FCA, TCA, TCS and mechanical axis. Results: The mean FCA, TCA and TCS using the verification tool in CAOS, were valgus 0.03±0.85°, valgus 0.49±1.02°, and 4.26±1.64°. The mean FCA, TCA and TCS by observer 1 were valgus 0.67±1.24°, varus 0.54±1.54°, and 4.57±1.74° and those by observer 2 were valgus 0.48±1.17°, varus 0.52±1.44°, and 4.24±2.8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angle by respective observers and the angle measured by the CAOS (p<0.05). The mechanical axis by observers 1 and 2 improved from varus 13.96° to valgus 0.04° and from varus 14.12° to valgus 0.08° respectively. Conclusion: CAOS affords the possibility of precisely placing the femoral and tibial components. The angles measured by the respective observers and in the CAO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자동 항법 장치와 고식적인 수술법에 따른 삽입물의 방사선 계측치에 대한 비교 분석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송상준(Sang Jun Song),김선구(Sean Goo Kim),임양진(Yang Jin Im),김만호(Man H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자동 항법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과 고식적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삽입물의 위치를 방사선학적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동 항법 장치를 사용하여 슬관절 전지환술을 시행하였던 40예와 고식적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중 연령, 성별, 진단명, 좌우, 사용한 기구, 후방십자인대 보존 여부 등을 조화시킨 40예를 대조군으로 하여 수술 후 방사선 사진상 대퇴골 인공삽입물의 내외반각(α각), 경골 인공삽입물의 내외반각(β각), 대퇴골 인공삽입물의 굴곡각(γ각), 경골 인공삽입물의 경사각(δ각)을 측정하고 전방 절흔(anterior notch)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α각, β각, δ각, 대퇴골 전방 절흔은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γ각은 자동 항법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군에서 평균 0.28±1.96°이었고 고식적인 슬관절 전치환술군에서 평균 2.39±2.73°(p<0.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자동 항법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과 고식적 슬관절 전치환술에서의 대퇴골 삽입물 내외반각, 경골 삽입물의 내외반각과 후경사각, 대퇴골 전방 절흔의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퇴골 삽입물 굴곡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동 항법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시 대퇴골 인공삽입물을 시상면상 보다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었다. Purpose: To compare radiologic measurements of femoral and tibial component position in the total knee replacement (TKR) using computer-assisted surgery (CAS) with those of conventional TKR. Materials and Methods: Two groups of 40 TKRs each were operated on using a CT-free navigation system or the conventional technique.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matched according to age, gender, diagnosis, prosthesis and PCL retaining or substitution. We measured femoral component frontal (α angle) and sagittal angle (γ angle), tibial component frontal (β angle) and sagittal angle (δ angle). We also studied whether femoral notch was present or no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α angle, β angle, δ angle and femoral notch between CAS and conventional TKR (p>0.05). The mean γ angle in the group of TKRs using CAS was 0.28±1.96°, and in the group of conventional TKRs was 2.39±2.73° (p<0.0001).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nclusion: Our study has shown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pha, beta, delta angle and incidence of femoral notching between CAS TKR and conventional TKR. Gamma angle was different statistically between CAS TKR and conventional TKR. The CAS afforded to precisely place femoral component in sagittal plan than conven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