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소충전소 구축 계획 여부에 따른 수용성 모델링 비교 및 분석

        하선영(Seonyeong Ha),이미정(Mijeong Lee),권현길(Hyungil Kwon),백종배(Jongbae Baek) 한국가스학회 2021 한국가스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현재 우리나라 에너지는 95%를 수입하여, 국제가격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따라서 높은 의존율을 줄이기 위하여 신에너지 개발이 필요하다. 그중 수소는 지구상 70% 물질로, CO2 배출량이 전혀 없어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물질이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도 2019년 1월‘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충전소 구축 계획은 2022년까지 310기였으나, 21.04.12 기준으로 57기가 구축되어 목표달성이 어려운 실정이다. 수소충전소 구축이 지연된 이유 중 지역 주민의 반대가 가장 큰 문제이다. 이는 수소충전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정책 이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중들의 찬반 인식 또는 태도를 수용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충전소 구축 유무에 따른 주민들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주민수용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전문가 의견 등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소충전소 구축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소충전소 구축계획이 있는 A 지역, 구축계획이 없는 B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SPSS를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LISREL(10.20)을 사용하여 두 지역의 사적 및 공적 수용성에 미치는 요인들의 모델을 비교분석 하였다. COVID-19로 인해 충분한 표본 수를 확보하지 못하였으나, 지역 및 표본 수를 확대하여 적용한다면 수소충전소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