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ison of Microleakag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Different Base Materials

        장은영,이제식,남순현,권태엽,김현정,Jang, Eunyeong,Lee, Jaesik,Nam, Soonhyeun,Kwon, Taeyub,Kim, Hyunjung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2

        이 연구는 깊은 와동에서 기저재로 사용되는 5개의 기저재용 재료를 대상으로 미세누출 및 압축강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발거된 영구 소구치 50개를 준비하여 베이스 재료에 따라 10개씩 군을 나누었다. 치아의 순면에 가로 5.0 mm, 세로 3.0 mm, 높이 3.0 mm 크기의 와동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1.0 mm 두께로 각 베이스 재료를 충전하였다. 이후 와동의 상방부를 composite resin으로 최종수복 시행하였으며, 시편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시킨 후 치아를 절삭하였고 실체현미경(× 30)을 이용해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였다. 압축강도 평가를 위해 각 재료 별로 5개씩의 원통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만능시험기를 이용해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 평가에서 Riva light cure<sup>TM</sup>가 가장 큰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Well-Root PT와 Biodentine이 가장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압축강도는 모든 군이 베이스 재료로서 받아들일 만한 강도를 보였다. Fuji II LC가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Well-Root PT가 가장 낮은 강도를 보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microleakages and compressive strengths of various base materials. To evaluate microleakages, 50 extracted permanent premolars were prepared. The teeth divided into 5 groups of 10 each according to the base materials. Cavities with a 5.0 mm width, 3.0 mm length, and 3.0 mm depth were formed on the buccal surfaces of the teeth. After filling the cavities with different base materials, a composite resin was used for final restoration. Each specimen was immersed in 2% methylene blue solution and then observed under a stereoscopic microscope (× 30). To evaluate the compressive strength, 5 cylindrical specimens were prepared for each base material.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measure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microleakage was highest in the Riva light cure<sup>TM</sup> group and lowest in the Biodentine<sup>TM</sup> and Well-Root<sup>TM</sup> PT groups. For the compressive strengths, in all groups, acceptable strength values for base materials were found.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was observed in the Fuji II LC<sup>TM</sup> group and the lowest strength in the Well-Root<sup>TM</sup> PT group.

      • KCI등재

        Evaluation of Sealing Effect and Working Time of Root Canal Filling MTA Materials

        김효진 (Hyojin Kim),김영진 (Youngjin Kim),남순현 (Soonhyeun Nam),권태엽 (Taeyub Kwon),김현정 (Hyunjung Kim)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aling effect and efficiency of root canal filling MTA (Endoseal, Endoseal MTA). A total of 106 extracted single rooted teeth were used and classified with group AH (AH-26), group PR (ProRoot MTA), group ES (Endoseal) and group EM (Endoseal MTA) depending on filled sealers. Time was measured in each group when sealers were filled.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subgroup A and subgroup B. The sealing of root canal walls and penetration of sealer in the dentinal tubule were evaluat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aling of root canal walls and dentinal tubule penetration of root canal filling MTA were inferior to AH-26 (p < 0.05). When compared with ProRoot MT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aling of root canal walls (p > 0.05), but dentinal tubule penetration was high (p < 0.05). Working time was shorter in root canal filling MTA than ProRoot MTA and AH-26 (p < 0.05). In conclusion, root canal filling MTA has lower root canal sealing effect than resin-based sealer, however, when in MTA needed root canal filling, it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본 연구의 목적은 근관 충전재로서 MTA(Endoseal, Endoseal MTA)의 밀폐 효과와 효율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106개의 발거된 단근치가 사용되었으며, 충전된 실러에 따라 AH군(AH-26), PR군(ProRoot MTA), ES군(Endoseal), EM군(Endoseal MTA)으로 나누어졌고, 모든 충전시 소요 시간이 측정되었다. 그 군들은 다시 A 하위군, B 하위군으로 나누어 근관벽과의 밀폐성과 상아세관내 실러의 침투도를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는 근관 충전용 MTA는 AH-26에 비해 근관벽과의 밀폐성과 상아세관 침투도는 떨어졌으며, ProRoot MTA와 비교시 근관벽과의 밀폐성은 차이가 없었지만, 상아세관 침투도는 높았다. 작업 시간은 근관 충전용 MTA가 ProRoot MTA와AH-26에 비해 짧았다. 결론적으로 근관 충전용 MTA는 레진계 실러보다 근관 밀폐 효과는 떨어지지만 MTA가 필요한 근관 충전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