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문화 동아리 활동 참여자의 만족도 제고방안 연구

        구은자(Eun-Ja Koo),안성식(Sung-Sik A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생활문화는 지역의 주민이 일상 속에서 주체적으로 즐기는 문화활동을 의미하며, 개인활동을 넘어 개인과 공동체의 소통과 협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생활문화 활동은 삶의 질 제고와 공동체 발전을 위한 기제로도 작동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문화정책의 중요영역으로 설정되었고, 생활문화 공동체인 동아리 활동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성군 생활문화 진흥을 위해 동아리 참여자들의 생활 문화활동 만족도와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활문화 동아리활동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체수준의 요인은 신체적, 환경적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개별수준에서는 신체적요인인 건강회복과 체력증진, 환경요인인 시설 및 장소의 청결, 시설 및 장소의 흥미성/접근성/외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리활동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 첫째, 만족도와 중요도가 모두 높은 유지강화 영역인 심리적요인과 사회적요인, 휴식적요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두 번째, 동아리활동에 대한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중점개선 영역을 우선순위로 개선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Living culture signifies cultural activities enjoyed by residents in their daily lives and allow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beyond individual activities. Living culture activity can also serve as a mecha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o develop communities. Recently, living culture activity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area of cultural policy and club activity. Due to this, the living culture communities are drawing much attention.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living culture activities of club participants to promote the living culture in Hongseong-gun. As a result, factors that on an overall level increase satisfaction with living culture club activities have been identified as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an individual level, these factors included physical factors such as health recovery, physical improvem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cleanliness of facilities and locations and interesting features/accessibility/appearance of facilitie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management of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re the maintenance reinforcement areas with both high satisfaction and importance, social factors, and resting factors is necessary. Secondly, this study suggested that areas of high importance for club activities with low satisfaction should be improved as priority areas.

      • KCI등재

        한국 창작뮤지컬 관람동기의 중요도 연구

        구은자(Koo, Eun-Ja),이광호(Lee, Kwang-Ho),김혜원(Kim, Hye-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논문은 한국창작 뮤지컬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 창작 뮤지컬의 관람동기에 관한 중요도 연구이다. 중요 도 분석(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는 다 속성 모델의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성취도를 동시에 비 교 ․분석하는 평가기법이다. 이 분석은 고객들이 중시하는 요소와 이들 요소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를 매트릭스 상의 좌표로 표시하여 식별하는 방법으로 고객만족은 특성 속성에 대한 고객의 기대수준과 그러한 속성에 대한 실행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분석법을 통해 본 연구는 한국 창작뮤지컬 관람동기 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This study uses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on viewing motiv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creative musicals. The IPA is the evaluation techniques to simultaneously compare and analyze relativ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each attribute for multi-attribute models. This analysis uses the discerning method by displaying the matrix that includes the factors about which customers car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each factor. The customer satisfaction is determined by customer expectation for each attribute and its implementation level. This study, through this method, exam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n attributes of viewing motivations for Korean creative musicals.

      • KCI등재후보

        창작뮤지컬에 대한 선택속성이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구은자(Koo, Eun Ja)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3

        본연구에서는 한국 창작뮤지컬을 선택할 때 관람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이 관람 후 만족도와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선택속성은 창작뮤지컬의 내용구성 , 주연급배우 , 무대구성 , 연출 , 공연장 , 관람비 용, 직원서비스 , 다른 사람들의 평가로 총 8개의 측정항목이며 ,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8개의 선택 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공연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 분석결과 창작뮤지컬의 내용구성 , 뮤지컬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평가 , 창작뮤지컬의 주연급배우 , 연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연급배우에서는 배우의 연기력과 평소이미지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 무대구성에서는 조명장치와 세트디자인이 , 연출에서는 전반적인 안무와 배우캐스팅 , 내용구성에서는 기억에 남는 대사와 스토리내용 , 공연장에 대한 인식에서는 청결성과 주차시설 , 관람비용에 대한인식에서는 부대시설 이용요금 , 티켓가격 , 직원서비스에 대한 인식에서는 직원의 친절성과 전문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작뮤지컬의 열악한 제작환경에서 무엇에 더욱 집중해야하는지 시사점을 주며 , 관람객들에게 작품을 어떻게 인식시킬 것인가 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s that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 when spectators choose Korean creative musicals and their satisfaction after watching performances. The optional attributes are composed of 8 measurement aspects which include creative musical’s composition of content, leading actor, composition of stage, direction, theater, ticket price, service of staff and evaluation of others. The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 of satisfaction about 8 optional attributes on overall satisfaction about performance.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creative musical’s composition of contents had strongest influence followed by evaluation of others about musical, leading actor of creative musical and direction in order. The actor’s acting ability and usual image were most influential in aspect of leading actor. Light device and set design showed effects on composition of stage, overall choreography and casting of actors was influential in direction, and memorable lines and story were effective on composition of content. Also, cleanliness and parking facility were influential in theater recognition, subsidiary facilities charge and ticket price affected spectating costs, and finally kindness and professionalism of staffs was effective on staff service recognition. This analysis results suggest what to concentrate more on in inferior production environment of creative musical. Further, this study will be used whe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for how to imprint the work to spectators.

      • KCI등재

        뮤지컬산업진흥법 제정 필요성과 방향성 연구

        구은자(Eun-Ja Koo),김종헌(Jong-He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지난 20여 년간 뮤지컬은 한국 공연시장의 비약적 성장을 이끌어왔으나 2010년대 중반 성장의 정체기를 맞이했고, 뮤지컬산업으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독립장르의 인정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2022년 개정된 공연법에서 ‘뮤지컬’이 독립장르로 명시된 것은 뮤지컬 산업에 대한 제도적 지원의 근거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뮤지컬이 국내를 기반으로 한 공연시장에서 세계를 무대로 한 K-뮤지컬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선결되어야 하는 과제가 무엇인가를 고찰하고, 뮤지컬 시장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이고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투자가 필수조건이라는 인식 하에 법적ㆍ제도적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한국뮤지컬산업진흥법(가칭)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여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뮤지컬은 산업적 성장 잠재력이 크고, 현재의 정책과 지원제도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뮤지컬산업진흥을 위해서는 첫째 전담부서의 설치와 둘째, 공공기관(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의 설립, 셋째 인재양성과 뮤지컬의 창제작을 위한 창작거점조성을 핵심과제로 제시하였다. For the past 20 years, musicals have driven the Korean music industry to rapid growth, but starting from the mid-2010s, the industry has faced a stagnant period. As a solution, the Musical industry has been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to raise long-term and systematic support. Thus, with the revision of the Performance Act in 2022, the musical was specified as an independent genre, which led to additional institutional support. This study examines the tasks that must be addressed for the domestic-based Korean musical or K-Musical market to leap onto the world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enacting the Korea Musical Industry Promotion Act(tentatively named) and propose its direction. This research was done using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internet survey methods. The descrip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the industry has great growth potential, the current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are limited.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dedicated departments, public institutions (fund-manage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finally the creation of a creative base for musicals is proposed.

      • KCI등재

        합창 공연의 서비스품질인 물리적 환경, 상호작용 품질, 결과 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구은자(Koo, Eun-Ja),구영애(Ku, Yeong-ae),최성환(Choi, Su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2

        문화예술공연은 소비자가 경험을 통해 가치를 얻고자 하는 서비스의 한 영역으로서 소비자가 중요하게 판단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서비스산업과 분야에서 서비스품질에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 게 진행되고 있지만 공연사업에서는 서비스품질과 관련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이에 공연산업은 고유의 주제를 표현하 기 위하여 공연장의 서비스 품질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데 아직까지 공연예술의 관람객에 대한 이용형태별 공연예술의 선택 속성, 즉, 물리적 환경 품질, 상호작용 품질, 결과품질이 공연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합창 공연 이용객을 중심으로 합창 공연 이용형태에 따라 공연 선택 시 고려하는 물리적 환경 품질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작용 품질과 결과 품질,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A cultural and art performance is a domain of the service from which consumers want to get a value through the experience, and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service quality the consumers judge to be important is necessary. Also, there are active studies of service quality in various service industries and field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related to service quality in the performance business. In the performance industry, the service quality of the theater has a great influence in order to express the distinct theme, and yet, there has been no study of the influences of the choice factors of performing arts, the quality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interaction and the quality of the outcome of their selection of a performance of each type of use by the audience of performing arts.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considered by the audience of a choir performance in the selection of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use of the choir performance and analyze the influences of these factors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 the quality of outcom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uture.

      • 지역아동센터 문화예술교육사업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구은자(Eun-ja K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지역아동센터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와 사업운영사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지원체계 정립과 발전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지원체계의 틀에 기반하여 지역아동센터의 문화예술교육 지 원을 위한 각 지원주체가 상호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 세 가지 발전방안을 제시 하였으며,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의 역할을 강조하며 새로운 체계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술대학 진로지도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

        구은자(Eun-Ja K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분야 대학생들의 진로지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연구된 학술지 게재 논문과 석 · 박사학위 논문 총 74편의 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성별, 학년별, 예술분야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주제는 6가지 분석기준에서 적응 · 행동 · 경험과 관련된 주제가 총 24편(32.5%)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별연구에서는 남녀 전체 대상의 연구가 전체의 9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년별 연구에서는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9편으로 전체의 66%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에서의 동향을 살펴보면, 양적연구는 모든 주제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술분야별 연구동향에서는 무용(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포함)분야 연구가 54건으로 전체의 73%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제별로도 고르게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로지도 연구는 아직까지 세분화된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연구의 수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분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앞으로는 다양한 관점과 사회적 이슈, 학생들의 전공분야, 학년, 성별, 다양한 연구방법을 반영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concerning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rt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a total of 74 papers including journal articles,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06- 2016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period,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s, study subjects" gender, years in college, and field of study in the arts. Research top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ix criteria, an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24 studies concerning topics related to adaptation/ behaviors/ experiences, including career-related stress, career maturity, anxiety, preparation and development competences, accounting for 32.5% of the total. In terms of gender, 96% of research include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ree were conducted only for female students. In terms of year of study, 49 studies examined students in all years of study considered students in all years, accounting for 66% of the sample. Trends in research methods were characterized by the quantitative method applied in the study. Regarding the field of study in the arts, 54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dance (ballet, Korean dance, and contemporary dance), accounting for 73% of the total. In addition, topics in the field of dance were evenly covered by these studies. Most studies concerning career guidance in art colleges were difficult to categorize due to the small number of studies conducted in the sample.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reflects various perspectives, social issues, students" majors, year of study, and gender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 KCI등재

        공연예술에 대한 가치가 태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은자(Eun-Ja Koo),박수진(Su-Jin Pa),안성식(Sung-Sik A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9

        최근 문화산업은 한류의 성장과 더불어 발전가능성과 함께 극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매력적인 산업이다. 특히 대중성을 겸비한 공연예술 산업이 유망산업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공연예술 시장의 마케팅 기법도 다른 상품 시장처럼 소비자의 욕구와 수요에 맞추어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소비자들의 요구가 점점 다양해지고 개성화되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충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행동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공연예술 시장에서는 관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 관람객들이 가치에 대하여 지각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지각된 가치가 공연예술에 대한 태도형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공연예술에 대한 가치가 태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공연예술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태도가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공연을 기획하는 단체입장에서는 공연을 보러오는 관객을 중심으로 마케팅과 홍보를 진행할 수 있는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어 앞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질것을 기대해본다. Recently, the cultural industry has become an attractive industry which is having a dramatic effect with the rise of Hallyu offering many possibilities for development. Specially, the marketing techniques employed by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started to change to respond to consumer tastes and demands like other commodity markets, as the popular performing arts industry began to receive attention as a promising industr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behavior of consumers in order to actively deal with the demands and tastes of consumer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and individualized. The performing arts market need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s audience and to apply appropriate marketing techniques.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value of performing arts perceived by the audience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value, attitude formation and satisfaction with performing art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value of performing arts on attitude and customer satisfaction, a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pend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d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s intended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tilized as the cor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value and attitude towards performing arts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organizations that plan performances to improve their marketing and promotion around the audience and for more specific and detailed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SNS 특징이 관람자의 태도, 몰입,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연 관람객을 중심으로

        구은자(Koo, Eun-Ja),안정석(Ahn, Jung-Suk),김화례(Kim, Hwa-Rye)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6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공연예술분야에서 소비자에 대한 중요성이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소비자를 극장으로 끌어들이는 전략 또한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위하여 특히 온라인 매체의 하나인 SNS를 공연예술 마케팅에 반영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점차 경제적 중요성과 비중이 커져가고 있는 국내 공연예술 시장을 중심으로 SNS특성이 관람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마케팅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업계의 효율적인 고객관리전략과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공연예술 관람객를 대상으로 SNS특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관람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며, 또한 SNS특성이 관람객의 태도와 몰입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SNS특성에 대한 평가가 좋아지면 좋아질수록 공연예술에 대한 태도와 몰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연예술에 대한 태도와 몰입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관람자의 지속적 이용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considered that performing arts need to change to respond actively to the trend of our time and research on reflecting SNS, which is one of the online meda, on marketing of performing arts is considered necessary at a time when importance of consumers continues to increase in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strategy to attract consumers to the theater is getting more diversifi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future-oriented implications for a long-term development of the performing arts market to the performance production companies and investment firms through an actual analysis on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that is showing great possibility of commercial success recently among the performing art industry which is showing gradually increasing economic importance and propor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ffective customer management strategy and marketing strategy of performing arts industry to maximize satisfaction of viewers and utility of domestic performing art that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performing arts viewers towards SN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relationship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NS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and commitment of view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SNS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behavior of performing arts produced a mediating effect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viewers. According to the positive analysis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attitude and commitment to the performing arts increased when assessment on SNS characteristics improved,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viewers increased when attitude and commitment to the performing arts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