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폐암 환자들의 일대일 설문조사와 의무기록의 흡연 습관 비교

        이의철 ( Eui Cheol Lee ),류정선 ( Jeong Seon Ryu ),김현정 ( Hyun Jung Kim ),조재화 ( Jae Hwa Cho ),곽승민 ( Seoung Min Kwak ),이홍렬 ( Hong Lyeol Lee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2 No.1

        연구배경: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에서 흡연 습관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폐암을 진단받고 입원한 225예 환자를 대상으로 흡연 습관에 대한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와 의무기록 사이의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의무기록의 흡연정보 누락과 두 자료원의 불일치에 기여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흡연 습관은 전반적으로 증등도의 일치도(κ=0.60)를 보였으며, 과거 흡연의 일치도(κ=0.49)가 가장 낮았다. 의무기록의 흡연정보 누락률은 18.2%였으며, 세포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편평상피세포암에 비하여 선암 환자에서의 누락률이 3배 높았다. 두 자료원 사이의 불일치는 65세 미만에 비해 65세 이상에서 3배 많았다. 결론: 의무기록의 흡연 정보는 중등도의 정확성을 가진다. 임상 시험에서 흡연 습관에 대한 자료원으로 의무기록 정보를 이용하는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smoking habit from the data obtained from the medical records of lung cancer patients against the data obtained form face-to-face interview questionnaires. Methods: The smoking habits of 225 lung cancer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never smoked, ex-smoker and current smoker in face-to-face interview questionnaire and medical record taken at the time of admission for a diagnosis. The overall agreement between two sources was evalu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agreement between two sources and the level of data omission of the smoking habits in medical records were analyzed su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smoking habit between two sources showed moderate overall agreement(Kappa (κ)=0.60). The lowest agreement was observed in the ex-smokers(κ=0.49).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an age of 65 or older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the increasing disagreement risk compared with those 64 or younger (OR 3.02; 95% CI 1.58-5.80). The omission rate of smoking habits in the medical records was 18.2%. Adenocarcinoma was shown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of associated with an increasing omission rate compar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R 3.00; 95% CI 1.19-7.59). Conclusion: The smoking habits obtained from medical record moderately reflect their true behavior. However, the smoking habit data from medical record should be used with caution when being used in a clinical study or cohort study of lung cancer. (Tuberc Respir Dis 2007; 62: 27-3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