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여성체육인의 고용형태와 전문직업적 정체성 및 작업의식의 관계

        곽선행(SeonHangKuak),이웅기(WoongKiLee),강효민(HyoMinKang)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는 여성 체육인의 고용형태와 전문직업적 정체성 및 직업의식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으로는 2008년 현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스포츠 팀 또는 체육관련 직장여성 278명이었다. 일련의 연구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성체육인의 고용형태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에서 운영직이 정규직과 계약직 자율성은 보다, 소명의식은 운영직이 정규직보다, 전문조직의 활용은 계약직이 정규직보다, 운영직이 계약직과 정규직보다 높다. 둘째, 여성 체육인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의식의 차이에서 업무에 대한 의식과 직업환경에 대한 의식 모두 운영직이 정규직과 보다 높다. 셋째, 여성 체육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직업의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하위요인인 소명의식과 자율성이 높을수록 업무에 대한 의식과 직업환경에 대한 의식이 높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type and professional identity, job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 sports woma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8 professional sports woman who hav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and have working in field of sports occupation.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e used Windows SPSS/PC 13.0 Version, statistical technique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Explorator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First,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utonomy in job which the subordinate concept of professional identity were position of management more than full employment and underarm-ployment, a sense of mission position of management more than full employment, utiliz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 were underarm-ployment more than full employment, position of management more than full employment and underarm-ployment. Second,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business consciousness and job environment consciousness which the subordinate concept of job consciousness were position of management more than full employment. Third, higher autonomy in job and a sense of mission which the subordinate concept of professional identity had more business consciousness and job environment consciousness which the subordinate concept of job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