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악골 편측 절제 환자에서 High Performance Polymer (PEKK)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공대룡,민경원,장기열,이경제,이선행 大韓齒科補綴學會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3

        When treating partial edentulous patients, it is important to use an appropriate restorative materials. Inappropriate restorative materials can adversely affect the outcome of prosthetic restorations. Zirconia and dental metal, which are currently and widely used materials, have a higher elastic modulus than cortical bone, so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 harmful force can be applied to the implant and the bone around the implant. Polyetherketoneketone (PEKK), a recently introduced material, has a elastic modulus similar to that of cortical bone, and has many advantages in terms of phys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at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tic treatment using PEKK was performed, and functional and esthetic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편악 부분 무치악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적절한 수복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하지 않은 수복 재료는 보철 수복의 결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료들인 지르코니아와 치과용 합금은 피질골보다 탄성 계수가 높아 외력 발생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 주위 골에 유해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최근 새롭게 소개된 재료인 Polyetherketoneketone (PEKK)은 피질골과 유사한 탄성계수를 가졌으며, 물리적 특성 및 생체 친화성에 있어서도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PEKK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치료를 진행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Correction - 상악 완전무치악에서 지르코니아 framework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변재준,장은선,공대룡,송주훈,이경제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1

        The article ‘The rehabilit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 with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using a zirconia framework: A case report’ authored by Jae- Joon Byun, Eun-Sun Jang, Dae-Ryong Kong, Joo-Hun Song and Gyeong-Je Lee, published in October issue [Vol 58, No 4]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2020), has an correction. In the above article, the financial grant has been erroneously omitted, so it would be disclosed as below. Funding: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2020. The article ‘The rehabilit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 with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using a zirconia framework: A case report’ authored by Jae- Joon Byun, Eun-Sun Jang, Dae-Ryong Kong, Joo-Hun Song and Gyeong-Je Lee, published in October issue [Vol 58, No 4]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2020), has an correction. In the above article, the financial grant has been erroneously omitted, so it would be disclosed as below. Funding: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2020.

      • KCI등재

        상악 완전무치악에서 지르코니아 framework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변재준,장은선,공대룡,송주헌,이경제 대한치과보철학회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8 No.4

        우식 및 치주질환등의 여러원인으로 다수의 치아를 발거 후 안면 및 치조골의 해부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상악의 경우 치조골이 치근의 방향과 경사로 흡수되고 잔존치조골이 짧아지면서 악궁의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비순각(Nasolabial angle)이 커지면서 입술의 지지를 상실하게 되어 안면의 심미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를 재건하기 위해 다양한 수복 치료가 제안될 수 있다. 무치악 환자에게 보철적 재건 방법 중 전통적인 총의치 치료가 선택될 수 있지만 환자의 대부분은 의치에 의한 통증과 불편감, 안정성 부족으로 자연치를 갖는 사람들보다 저작능력이 20%미만이다. 또한 의치가 신체의 일부가 아님을 인지하고 심리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작기능 향상과 유지, 안정 그리고 치조골을 보존 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과 고정성 보철 치료가 다른 대안이 될 수 있다. 상악 무치악 부위를 위한 임플란트 치료방법 선택 시 심미성을 위해 보철물의 변연을 원치 않거나 적절한 입술 지지, 발음의 향상, 구개를 덮지 않아 환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이용한 fixed detachable prosthesis 치료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잔존치조골 흡수로 부적절한 악간관계와 입술지지를 잃은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지르코니아 framework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치료를 진행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 KCI등재

        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기술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리 증례

        장은선,장근원,변재준,공대룡,송주헌,이경제,Jang, Eun-Sun,Jang, Geun-Won,Byun, Jae-Joon,Kong, Dae-Ryong,Song, Joo-Hun,Lee, Gyeong-Je 대한치과보철학회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8 No.3

        최근 치과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기술을 사용하여 의치의 금속구조물 제작이 가능하다. 이 방법에서 인상은 구강 스캔이나 모델 스캔으로 대체 할 수 있으며, 기존 주조 소환 방법에서 왁스 패턴은 CAD 소프트웨어에서 설계되고, 설계된 STL (standard template library) 파일을 DMLS 기법을 통해 국소의치의 최종 구성 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치과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 이용의 장점은 적합도와 정확성에 있다. 본 증례에서 지지 및 간접 유지 역할을 하는 교합면 레스트의 파절이 발생한 환자에서 DMLS 기술과 레이저 용접 기술을 사용하여 국소의치를 수리하였으며,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In recent years, digital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dentistry, which denture frameworks can be manufactured using 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technique. A traditional impression method can be replaced by oral scanning and wax pattern production process can be achieved by the use of CAD/CAM techniques. The designed STL files can be sent to DMLS devices to fabricate final component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RPD). The advantages of digital dentistry are concision and precision. In this case study, a fracture of occlusal rests providing support and indirect retention was repaired by DMLS and laser welding techniques. It shows satisfactory results in adaptation accurac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repaired den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