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유기 IP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잠재적 가치와 판매전략 연구

        곡위광,송민정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1

        최근 중국 시장에서 캐릭터 IP를 이용한 마스크팩 패키지디자인이 매우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은 서유기 IP 마스크팩의 잠재적 시장 가치를 고찰하고,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는 마스크팩을 디자인하고 판매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미래 브랜드 시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범위는 중국 시장에서 마스크팩을 구매하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이며, 연구 방법은 첫째, 브랜드 IP의 개념과 중요성을 조사한다. 둘째, 203명의 15-49세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다. 셋째, 서유기 IP를 이용한 소백룡과 손오공 마스크팩 디자인을 하고 판매전략을 제시한다. 203명의 중국 마스크팩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결과, 마스크팩 패키지디자인 요소에서 패키지 이미지가 소비자들의 구매를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젓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29세가 마스크팩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서유기 IP는 중국 시장에서 슈퍼 IP로 성장할 수 있는 높은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서유기에 등장하는 소백룡과 손오공 이미지를 이용하여 마스크팩 디자인을 하였다. 소백룡이 기우제에서 비를 내려준다는 아이디어를 마스크팩의 수분 보충 기능과 연결 지어 디자인하였다. 손오공의 표정 변화를 이용하여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캐릭터 IP를 이용한 마스크팩 패키지디자인에 랜덤 판매전략을 적용한다면 마스크팩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mask pack package design using character IP is drawing keen attention in the Chines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tential market value of Western Europe IP mask packs, design mask packs tha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present sales strategies. These attempts are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future brand market. The scope of the study is for Chinese consumers who purchase mask packs in the Chinese market, and the research method first examines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brand IP. Second, a survey of 203 Chinese aged 15-49 is conducted. Third, design a mask pack for Sobaekryong and Son Goku using Seoyugi IP and present a sales strategy. As a result of a survey of 203 Chinese mask pack consumers, it was found that the package image acts as a factor that determines consumers' purchases in the mask pack package design ele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ose aged 20-29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using mask packs. Western Europe IP has a high potential value to grow into Super IP in the Chinese market. In this paper, the mask pack was designed using the images of Sobaekryong and Son Goku appearing in Seoyugi. If a random sales strategy is applied to the mask pack package design using such character IP,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competitive in the mask pack market.

      • KCI등재

        중국 현지화 브랜드 강화를 위한 교촌치킨 패키지디자인 연구- 중국 패키지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선호요소를 중심으로 -

        곡위광,장운초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1

        With the growth of the Chinese consumer market, various companies are entering China. In particular, Korea is entering China as an early stage of global branding as an environment for Korean companies to enter the Chinese market due to active cultural exchanges with China, but there are not many localized brand companies tailored to Chinese culture and lifestyl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 5 overseas franchise packages and Korean chicken packages in China, surveyed 110 Chinese consumers on design preferences in Shanghai, Hangzhou, and Beijing based on data from the Chinese delivery app Eulma, and produced 12 Kyochon chicken package designs. It was finally completed with an expert evaluation comparing the three Xi'an selected as additional surveys with the Chinese Kyochon Chicken Package, and proposed a plan to strengthen localization in China. As a result of the study, traditional colors, images, and regional-specific factors appeared in Chinese delivery food package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preferred elements that meant luck or path over traditional maintenance as the reason for their preference for consumer packages. In order to successfully strengthen localization in China, identifying needs and using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with good luck in the package will lead to effective result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the packaging of delivery food will be actively conducted from various academic perspectives. 중국 소비시장의 성장에 따라 다양한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고 있다. 특히 한중의 활발한 문화 교류로 인하여 한국기업의 중국 시장진출을 도모하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글로벌 브랜드화의 초기 단계로 중국에 진출하고 있으나, 중국문화와 생활습관에 맞춘 현지화 브랜드 기업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시장에 진출한 교촌치킨 브랜드의 현지화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 매장 수 상위 1~5위 해외 프랜차이즈 패키지와 한국 치킨 패키지의 특징을 분석하고, 중국 배달앱 '을마'의 데이터를 토대로 주요지역인 상하이, 항저우, 베이징의 상위 1~3위 패키지를 중국 소비자 110명을 대상으로 디자인 선호요소를 설문조사하고, 교촌치킨 패키지디자인 시안 12개를 제작하였다. 추가 설문조사에서는 3개 시안을 선정하여 기존 중국 교촌치킨 패키지와 비교한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완성하여 중국 현지화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배달음식 패키지에서 전통 색상과 전통적인 이미지, 지역 특화 요소가 나타났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패키지디자인 선호이유로 전통유지보다 행운의 의미를 지닌 요소를 선호한다는 결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공적인 중국 현지화 강화를 위해서는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고, 행운의 의미를 지닌 전통문화요소를 패키지디자인에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결과를 이끌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배달음식 포장디자인에 관한 후속연구가 다양한 학술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중·일 문화적 특징과 20대 선호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 -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표현을 중심으로-

        곡위광,송민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2

        한국의 카카오톡, 중국의 위챗, 일본의 라인은 각국의 대표 적인 SNS로, 한·중·일의 이모티콘은 문화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모티콘 주요 사용층인 2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모티콘 디자인 트렌드와 선호 이 모티콘 특징을 분석하여 나타나는 문화 특징을 분석하고 보 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한·중·일 SNS 20대 사용자와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표현 이 모티콘 1위부터 3위까지이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조사로 한·중·일의 이모티콘과 문화 특징을 분석하고 20대 사용자의 사회적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실증 조사로 카카오톡, 위챗, 라인 이모티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한·중·일 20대 설문조사로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표현 이모티콘을 선정하 고, 다속성 비교분석하여 평가 검증한다. 연구결과, 한국은 포 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형성은 비교적 낮았으며 재미를 중시하는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유추된다. 중국은 상형성이 높게, 창의성은 낮게 나타났으며 용두모자[虎头帽] 등 중국 문화 요소가 드러났다. 일본은 즉시성이 높게, 포용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모티콘에서 일본의 서브컬처(Subculture) 스타 일이 나타났다. 한국의 이모티콘은 정확한 감정표현 부분에 서 개선하여 본분의 감정 전달 보조 역할 보완이 요구되며 필 요하다. 중국은 넓은 이모티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 하여 이모티콘의 재미와 의미 전달을 명확히 하여 사용자의 사용 욕구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이모티콘의 경우 타 콘텐츠 캐릭터의 이모티콘 제작을 줄이고 이모티콘이 보 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지표로 삼고 발전하여 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중·일 3개국 이모티콘 디자인 아이디어와 제작에 필요한 디자인 전략을 구축함으로써 향후 이모티콘 디자인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representative SNSs of each country are kakao talk in Korea, WeChat in China, and online in Japan.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bjectiv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prefer ences of emoji design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moji design, focusing on users in their twenties, who ar e the main users of emoji, and to improve. The target is the top three emojis of joy, sadness, anger and surprise in three countries. Metho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mojis were analyz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so cial characteristics of users in their 20s were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mojis were analyzed. Result Korean emojis are more inclusive and le ss pictorial. China emojis have greater pictoriality but les s creativity. Japan has greater immediacy but less inclusi veness. Conclusion Korean emojis must better portray e motion. The China emojis should be fun and meaningful. Fewer anime-themed Japanese emojis are needed. It will help develop the emoji design business by creating desig n strategies.

      • KCI등재

        중국 전통화장품 브랜드 ‘화시즈’의 마케팅 전략 연구- 한·중·일 MZ세대의 전통화장품 선호도를 중심으로 -

        곡위광,장운초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3

        현대의 화장품 패키지는 브랜드이미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MZ세대는 국가와 인종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 다양한 문화에 쉽게 친숙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화장품 브랜드 강화의 일환으로 한·중·일 전통화장품의 특징을 분석하고 중국 전통화장품 브랜드 '화시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연구범위는 MZ세대의 소비경향과 한·중·일 전통화장품과 중국 전통화장품 브랜드 ‘화시즈’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를 통해 한·중·일 전통화장품의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전통요소를 지닌 한·중·일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을 사례조사한다. 또한, MZ세대가 가지고 있는 전통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화시즈’ 브랜드의 소비 경향을 통계로 분석하고, 전문가 분석을 진행하여 현대 중국 전통화장품 브랜드 ‘화시즈’의 MZ세대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화시즈’를 비롯한 현대의 전통화장품은 주로 고령층을 대상으로 전통적이고 고급화된 이미지를 강조하며, 이는 개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난 MZ세대의 선호와 차이가 있었다. MZ세대의 선호를 조사하여 마케팅 전략을 세운 결과, 전통문화와 신기술 융합을 통해 소비자의 경험 가치를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며, 재미성과 독특함을 중시하는 패키지디자인 전략이 MZ세대의 ‘화시즈’ 브랜드 친밀도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적용되어 소비층을 확장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Modern cosmetics packages play a role in strengthening the brand image. The MZ generation is easily familiar with various cultures due to their low resistance to the country and race. As part of strengthening traditional brand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metics packages in Korean·Chinese·Japanese and proposes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traditional Chinese brand Huaxizi. The scope of the study focuses on the consumption trend of the MZ generation, and is the traditional Korean·Chinese·Japanese cosmetics brand “Huaxizi”. The research method establish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raditional Korean·Chinese·Japanese packag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onducts a case study on the design of Korean·Chinese·Japanese cosmetics packages with traditional elem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tradition of the MZ generation, the consumption trend of the “Huaxizi" brand is analyzed as statistics and expert analysis is conducted to propose the MZ generation marketing strategy of the modern Chinese traditional cosmetics brand “Huaxizi". As a result of the study, modern traditional cosmetics packages, including ”Huaxizi," emphasize traditional and advanced images mainly for the elderly, which differed from the preference of the MZ generation, which was found to value individualit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references of the MZ generation and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it is important to expand consumer experience valu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new technologies, and package design strategies that value fun and uniqueness are applied to the MZ generation's "Huaxizi" brand intimacy and brand identity.

      • KCI등재

        생성형 AI를 통한 다각화된 융합 콘텐츠 제작을 위한 커리큘럼 제안 -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장운초 ( Zhang Yun-chao ),곡위광 ( Gao Wei-gua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7 No.-

        생성형 AI의 등장 이후 현재 생성형 AI는 간략화된 텍스트와 이미지를 토대로 콘텐츠 생성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하였으며, 텍스트 기반 모션, 3D, 영상 생성기술 등 활용 분야가 확장되었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공지능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재, 미래인력인 디자인과 대학생들에게 기술기반의 융합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 이해 및 실무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생성형 AI 영상 제작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평가하여 생성형 AI의 디자인교육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구범위는 영상디자인 교육과 생성형 AI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디지털 전환 시대 교육 변화를 바탕으로 생성형 AI의 이론적 지식을 확립하고 영상디자인 분야 생성형 AI 도구를 파악한다. 둘째,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육 사례와 콘텐츠 제작 사례를 바탕으로 영상 콘텐츠를 위한 생성형 AI 도구를 분석한다. 셋째,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습 목표와 틀을 구상하고 이를 전문가 평가하여 생성형 AI를 활용한 실무중심의 영상디자인 교육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영상 콘텐츠 시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생성형 AI 기술과 비교하여 현재 생성형 AI 영상 콘텐츠 제작 교육은 이론적 이해와 단일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보편적인 과정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영상 분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성형 AI 교육 설문조사에서는 역량 및 시간적 어려움을 보조할 생성형 AI 기술 교육 수요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무중심의 생성형 AI 영상 제작 교육 방안을 고안하고 이를 전문가들이 평가하여 실무 역량을 강화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미래 사회에서 생성형 AI를 보조 도구로 활용하는 것은 작품성과 창의성, 아이디어의 표현방식을 고안하고, 기술과 예술을 융합한 특색있는 디자인을 가능케 한다. 생성형 AI의 올바른 활용 교육은 미래 시장을 선도할 디자이너를 육성하는 매우 중요한 교육이라 볼 수 있다. Currently, Generative AI can create content based on simple text and images, and the fields of application such as text-based motion, 3D, and video have been expanded. As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merges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echnology-based convergence education is important to design and college students who are future personnel. This study proposes and evaluates effective Generative AI video production instruction plans for understanding AI and practical use, there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design education for Generative AI. The scope of the study is video design education and Generative AI. The research method first identifies Generative AI' theoretical knowledge and Generative AI tools in the field of video design based on educ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the technology in the field of video content is analyzed through Generative AI education and content production cases. Third, we devise Generative AI learning goals and frameworks and propose practical video design education by expert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to Generative AI technology used in the market, Generative AI video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mainly consisted of a general process using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a single program. In a Generative AI education survey for students enrolled in the design field, the demand for Generative AI technology education to assist the creator's competence was confirmed. Therefore, a practical-oriented Generative AI video production education plan was devised, and experts evaluated it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 class to strengthen practical competency. Using Generative AI as an auxiliary tool in the future society enables a unique design by devising a way of expressing workability, creativity, and ideas, and by fusion of various technologies. Education for the correct use of Generative AI is very important to foster designers that will lead the futur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